◆의료/병원/바이오벤처

치매학회, 서울시-한의사회 어르신 건강증진 시범사업 재고 요청

jean pierre 2016. 7. 14. 10:19
반응형

치매학회, 서울시-한의사회 어르신 건강증진 시범사업 재고 요청

치매의 명확한 진단방법 부재. 치료방식 안전성 미확보 주장

서울시와 한의사회가 공동 진행하는 어르신 한의약 건강증진 시범사업에 치매학회가 반발하고 나섰다.

이 학회는 14일 관련 자료에서 서울시의 어르신 한의약 건강증진 사업은 매우 우려스럽다며 재고해 달라고 촉구했다.

대한치매학회는 지난 2007년부터 서울시가 진행해 온 치매사업에 적극 동참하였고, 노인건강사업의 필요성에 적극 공감하지만 이번에 제시한 사업의 내용이나 방법에 대해 간과하기 어려운 문제점과 위험성이 있다는 지적이다.

치매학회의 주장은 치매나 경도인지 장애는 간이정신상태검사나 노인우울척도 같은 방법으로 진단이 불가능 하며, 다양한 원인질환에 의해 발생하는 만큼 명확한 원인을 밝히는게 우선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즉 환자의 병력과 뇌영상, 정밀신경심리검사 등의 추가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치매 혹은 경도인지장애를 일으키는 질환에 대해서 진단이 가능하다는 주장이다.

따라서 서울시가 밝힌 내용은 마치 혈액검사에서 간수치가 비정상일 경우 간암으로 진단해버리고 이에 대한 추가 정밀 검사 없이 암 치료를 하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아 매우 우려스럽다는 입장이다.

나아가 좋은 취지에도 불구하고 사업목적이 왜곡될 수 있으며, 결과 또한 파장이 클 것이라고 강조했다.이어 치매학회가 우려하는 부분은 치료방식의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번 사업에 쓰인다고 홍보되고 있는 총명침, 과립 한약 등은 비록 경험적으로 한의학에서 쓰여 온 치료법이라 하더라도, 대상자들에게 약물의 구체적인 성분과 침술 방식이 명확하게 공지되지 않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또한 치료 후에 생길 수 있는 부작용에 대한 대책도 부족한 상황이므로, 이런 과정이 선행되지 않는 사업진행은 시민의 건강과 안전을 담보로 하는 위험한 도박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한편 치매학회는 의사, 간호사, 심리학전공자, 사회사업가, 작업치료사등 치매와 직간접적으로 연관이 있는 전문가들이 모여 구성된 학회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