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사/의약품유통/▷약사, 약사회,약대,약국,학회

김대업, 전성분 표시의무화 시행 준비 극히 미비

jean pierre 2018. 11. 15. 07:37
반응형

김대업, 전성분 표시의무화 시행 준비 극히 미비

"정부는 약업계 선의 피해 없도록 준비 철저히 해야"

김대업 후보는 전성분 표시 의무화와 관련하여 "여러 약국에 확인한 결과, 대한약사회 차원은 물론 제약사 및 도매를 통해서도 이 제도의 시행을 안내받은 바가 없음을 확인하였을 뿐만 아니라, 전성분표시가 안 된 제품들을 확인해본 결과 사용(유효)기간이 아직 남아 있는 제품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제도 시행에 유연성을 가져야 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김 후보측은 이와 관련하여 "제조 및 공급사의 책임이 가장 우선임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약국에 안내는 물론 회수 및 교환 조치를 전혀 하지 않고 있다. 정부 역시 이 제도의 핵심 이해관계자인 약국에 제도시행을 충분하게 안내하지 못했으며, 제조유통사가 기존 유통품에 대해 필요한 노력을 다하도록 계도하지 못한 책임에서 자유롭지 못할 것"임을 지적했.

또 "대한약사회는 더더욱 사전에 제도 시행을 인지하고, 제약사 및 도매에 대해서는 회수 및 교환 정책을 확인하고, 일선 약국에는 제도 시행을 충분히 안내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했어야 마땅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현재까지 확인한 바에 의하면 대한약사회는 회원에게 적절한 처리지침을 안내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는게 김후보측 설명이며 "이는 현재 약사회 회무시스템이 얼마나 부실한 상태인지를 여실히 증명하는 것"이라고 강조했.

김 후보측은 따라서 "보건복지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전성분 표시 제도 시행에 필요한 제반 조치들이 극히 미비한 상황으로 인해, 일선약국에서 부당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충분한 계도 기간을 보장해야 한다. 또한 제조유통사로 하여금 전성분 미표시 의약품에 대하여 회수 및 교환 조치하고, 그 결과를 보고하도록 하는 등 후속조치를 철저히 하여 제도의 연착륙을 도모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