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치성 갑상선암 치료제 후보물질 개발
대구첨복재단 신약개발지원센터 및 실험동물센터 연구팀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이사장 이영호, 이하 대구첨복재단) 신약개발지원센터(센터장 손문호, 이하 신약센터)의 황하영·진정욱·조성진 박사팀 및 실험동물센터(센터장 김길수, 이하 동물센터) 전용현 박사팀은 경북대학교병원 선도형신약개발사업단(단장 이재태) 이인규 교수팀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후보물질 개발연구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ERRγ 조절기전의 경구용 미분화갑상선암 치료 후보물질의 디스커버리 연구’ 논문이 JMC에 최종 게재됨에 따라, 퍼스트인클라스(First-in-class) 미분화갑상선암 치료제 신약을 개발함에 있어서 세계적 권위지의 과학적인 입증을 받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현재 비임상진입을 위한 최종검증 연구 등의 막바지 추가 연구에 사력을 다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 경구투여 가능한 개발 후보물질이 ERRγ(Estrogen-related Receptor Gamma)와 결합한 결합구조를 X-ray 결정화법을 이용하여 규명하였으며, 이러한 표적 단백질과의 결합을 통해 선택적이고 효과적으로 그 기능을 조절할 수 있음을 보고하였다.
특히 ERRγ 단백질의 기능조절을 통해 궁극적으로 세포내 나트륨 요오드 공수송체 (sodium iodide symporter; NIS)의 기능을 향상시켜, 여러 항암치료 특히 미분화갑상선암에 사용되는 방사성요오드 치료법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다는 것이 이번 연구의 중요한 결과라 하겠다
특히 희귀난치성 질환인 미분화갑상선암 치료제는 개발만 되면 빠른 시장 진입이 예상되고 있다. 최근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의 후보물질 최종검증 과제를 성공적으로 마친 후 비임상시험을 추진 중이다.
향후 관련 후보물질에 대해 글로벌 신약후보물질로 패스트 트랙(Fast-track) 임상시험 등의 시도와 함께 다국적제약사와 라이센싱 및 공동연구 등의 시장 선점을 통해 가능한 한 빠른 가시적 성과창출을 진행할 계획이다.
이 연구는 보건복지부 지원으로 수행되었으며 연구결과는 신약개발분야 최고권위 학술지인 저널오브메디스널캐미스트리(JMC, JCR ranking 4.24%)지에 표지 논문으로 선정되어 2월 28일 게재되었다.
'◆의료/병원/바이오벤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멸 세포 인식 및 포식 작용시 대식세포의 암전이 억제 규명 (0) | 2019.03.17 |
---|---|
인천시 - 가천대 길병원, 닥터카 운영 (0) | 2019.03.12 |
건양대병원-뷰노 스마트 헬스케어·의료혁신 연구 협약 (0) | 2019.03.11 |
글로벌 임상시험 증가세로 전환 (0) | 2019.03.07 |
인천·서해권역 최초 인공심장 수술 성공 (0) | 2019.03.05 |
이화의료원, LG U+와 국내 최초 ‘스마트 수면병실’ 오픈 (0) | 2019.02.22 |
이화의료원, 로보케어와 공동 연구 업무 협약 (0) | 2019.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