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의료/병원/바이오벤처 13723

씨엔알리서치, 창립 28주년 기념 홈페이지전면 리뉴얼

씨엔알리서치, 창립 28주년 기념 홈페이지전면 리뉴얼‘지디웹 디자인 어워드’ 수상씨엔알리서치(359090, 대표 윤문태)는 창립 28주년을 맞아 홈페이지를 전면 리뉴얼하고, 업계 최초로 ‘지디웹 디자인 어워드’ 웹부문 위너 프라이즈를 수상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리뉴얼은 유엘디자인과의 협업으로 진행됐다.새로운 홈페이지는 28년간 축적된 씨엔알리서치의 전문성과 핵심 역량을 체계적으로 구조화해 전달력과 사용자 경험을 대폭 향상시켰다. 임상 전문가뿐 아니라 주주, 구직자, 일반 이용자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의 소통을 강화하여 기업의 비전과 가치를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필요한 정보를 손쉽게 탐색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또한, 글로벌 다국가 접근성을 대폭 향상시키며 ‘글로벌 임상 허브’로 도약하려는 씨엔알..

연속혈당측정기 최초 당뇨환자 심장합병증 입원율 감소

연속혈당측정기 최초 당뇨환자 심장합병증 입원율 감소애보트 '프리스타일 리브레,Real-world 연구 결과 공개애보트는 자사의 연속혈당측정기(CGM) 프리스타일 리브레가 Real-world 연구인 REFLECT에서 연속혈당측정기 최초로 당뇨병 환자의 심장 합병증으로 인한 입원 위험을 유의미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REFLECT 연구는 비치명적 심근경색, 비치명적 뇌졸중, 관상동맥질환, 심부전, 심방세동, 심혈관 사망 등 당뇨병 환자에게 흔히 발생하는 다양한 심혈관 질환을 종합적으로 분석했으며,연속혈당측정기가 저혈당 이력이나 심장 질환 관련 입원 여부와 관계없이 제1형 당뇨병 환자의 심혈관 합병증 중증도를 완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처음으로 밝힌 연구이다. 이번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인슐린을..

펩트론, '루프원' 품목허가 획득

펩트론, '루프원' 품목허가 획득1개월 지속형 전립선암및 성조숙증 치료제 펩트론(대표이사 최호일)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1개월 지속형 전립선암 및 성조숙증 치료제 ‘루프원’의 품목허가를 받았다고 15일 밝혔다. 루프원은 펩트론이 자사의 장기 지속형 치료제 플랫폼을 적용하여 개발하여 승인 받은 최초의 의약품으로 자체 생산하는 첫번째 상업 생산 제품이다. LG화학과 체결한 루프원의 국내 독점 판매 계약에 따라 펩트론은 제조를, LG화학은 국내 판매를 담당하게 된다. 양사는 약 800억 원 규모로 추정되는 국내 전립선암 및 성조숙증 치료제 시장을 본격적으로 공략할 계획이다. 특히, LG화학은 성장호르몬 제제 ‘유트로핀’을 통해 국내 소아 내분비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는 만큼, 연계 질환인 성조..

셀레믹스, 롱리드 라이브러리 프렙 키트 출시

셀레믹스, 롱리드 라이브러리 프렙 키트 출시롱리드 시퀀싱 시장 공랷...효소기반 혁신제품NGS(차세대염기서열분석, Next Generation Sequencing) 기술플랫폼 기업 셀레믹스(대표이사 이용훈, 김효기)는 효소 기반의 혁신적인 롱리드 라이브러리 프렙 키트(Enzymatic Long-read Library Preparation Kit)를 새롭게 출시하며 급성장하는 롱리드 시퀀싱(Long-read Sequencing) 시장 공략에 본격적으로 나선다고 16일 밝혔다. 셀레믹스가 독자 개발한 이 제품은 효소 기반의 DNA 절편(fragment) 처리 기술과 비드(Bead) 기반의 선택적 분리 기술을 적용해 기존의 기계적 파편화 및 사이즈 선택 과정 없이도 평균 약 2kb 수준의 롱리드(Long-re..

JW바이오사이언스, ‘AutoTEC a120’ 국내 론칭

JW바이오사이언스, ‘AutoTEC a120’ 국내 론칭조직 샘플 블록 자동화 시스템JW바이오사이언스는 일본 병리학 자동화 전문기업 ‘사쿠라 파인텍(Sakura Finetek)’의 연속 자동 포매(embedding) 시스템 ‘Tissue-Tek AutoTEC a120’을 국내에 론칭했다고 16일 밝혔다. ‘AutoTEC a120’은 업계 최초이자 유일한 전자동 연속 포매(embedding) 시스템으로 병리 진단 과정 중 환자의 조직 샘플을 파라핀 블록으로 만드는 공정을 자동화한 장비다. 포매는 환자에게 채취한 조직 샘플을 검사용 블록으로 제작하는 과정을 뜻한다. 질병 진단의 정확성과 직결되는 현미경 분석을 위해 조직을 일정한 두께로 절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시스템은 자동화 장치와 전용 케이스(Para..

큐라클, CU71(알츠하이머 후보물질) 전임상 결과 발표

큐라클, CU71(알츠하이머 후보물질) 전임상 결과 발표알츠하이머병 최고 권위 학회 ‘AAIC 2025’서난치성 혈관질환 특화기업 큐라클(365270, 대표이사 유재현)은 오는 27일부터 31일까지 캐나다 토론토에서 열리는 ‘알츠하이머 협회 국제 컨퍼런스(AAIC 2025, Alzheimer’s Association International Conference)’에서 자사의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후보물질 ‘CU71’의 전임상 연구 결과를 포스터 형식으로 발표한다고 15일 밝혔다. AAIC는 알츠하이머병 및 치매 분야에서 세계 최대이자 가장 권위 있는 국제 학회로, 전 세계 1만 4천여 명 이상의 의료진, 연구진, 제약바이오 업계 관계자들이 참여해 최신 연구 성과를 공유하는 학술 교류의 장이다. 큐라클은 이..

제테마-강원창조경제혁신센터 업무협약

제테마-강원창조경제혁신센터 업무협약 바이오산업 생태계 활성화 협력글로벌 메디컬 에스테틱 전문기업 제테마(216080)는 강원창조경제혁신센터와 자사 글로벌 판교 R&D 센터에서 바이오 에스테틱 혁신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협약식에는 남정선 제테마 대표이사, 이해정 강원센터 대표이사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양측은 △오픈이노베이션 프로그램 운영 △인프라 교류 △인적 자원 공유 등을 추진한다. 우수한 기술력과 서비스 역량을 보유한 스타트업을 발굴, 주력 사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차세대 혁신 기술 및 아이템 확보에 적극 나설 예정이다. 또 오는 15일부터 ‘바이오 에스테틱 오픈이노베이션’ 프로그램 참가기업을 모집한다. 제테마와 기술 교류 및 협업을 통해 실질적인 사업화와 실증 기회를..

엔젠바이오, 베트남 대형 병원 2곳 연속 수주

엔젠바이오, 베트남 대형 병원 2곳 연속 수주글로벌 시장 확대 기반 실적 성장 본격화정밀진단 플랫폼 전문기업 엔젠바이오(354200, 대표이사 김민식)는 베트남 호치민시 대형병원 ▲ HCMC Oncology Hospital과 ▲ Blood Transfusion and Hematology Hospital 2곳에서 NGS(차세대 염기서열분석) 정밀진단 제품 수주에 성공했다고 14일 밝혔다. 해당 수주 규모는 지난해 전체 수주 실적의 약 70%에 해당하며, 이는 동남아 시장 내 확고한 입지를 반영하는 것이다. HCMC Oncology Hospital은 호치민시에 위치한 베트남 남부 최대 규모의 국립 암 전문 병원으로, 연간 약 50만 명 이상의 암 환자를 진료하며, 약 1,000병상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

셀바스AI, 강동경희대병원에 ‘메디보이스’ 공급

셀바스AI, 강동경희대병원에 ‘메디보이스’ 공급 EMR, ENR부터 의료 AI 에이전트까지 라인업 확장인공지능·음성인식 전문기업 셀바스AI(108860)가 강동경희대병원 영상의학과에 의료 음성인식 솔루션 ‘셀바스 메디보이스(SELVAS MediVoice)’를 공급했다고 14일 밝혔다.이번 공급은 영상 판독과 동시에 음성으로 소견을 기록하는 실시간 음성기록 환경을 구현한 것으로, 의료 AI 에이전트(AI Agent) 기반 병원 자동화의 초기 단계로 평가받을 것을 기대하고 있다. 메디보이스는 의료영상(PACS)시스템과 연동해 판독 중 발생하는 전문 의료용어 음성을 STT(Speech-to-Text) 기술로 실시간 변환하고, 이를 구조화된 판독 소견으로 자동 기록하는 솔루션이다. 이번 구축을 통해 영상의학과..

마크로젠-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 산학협력단 업무협약

마크로젠-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 산학협력단 업무협약 세종 지역 바이오산업 혁신 및 인재 양성 선도마크로젠(대표 김창훈)은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 산학협력단과 지역혁신중심대학지원체계(RISE) 및 기회발전특구 수요맞춤형 지원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마크로젠 강남 본사에서 진행된 이번 협약식에는 마크로젠 서정선 회장과 김창훈 대표, 홍익대학교 윤구영 부총장과 한정희 산학협력단장 등 양 기관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대학의 연구 역량과 마크로젠의 첨단 바이오 기술을 결합하여 세종지역의 산업 혁신을 선도하고, 기회발전특구 지정을 통한 산업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추진됐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RISE 체계 및 기회발전특구 수요맞춤형 지원사업의 공동..

큐라클, BBB Stabilizer ‘CU71’ 물질특허 우선권 출원

큐라클, BBB Stabilizer ‘CU71’ 물질특허 우선권 출원7월 국제학회 AAIC서 전임상 데이터 발표 난치성 혈관질환 특화기업 큐라클(365270, 대표이사 유재현)은 알츠하이머병 치료제로 개발중인 BBB(뇌혈관장벽) Stabilizer ‘CU71’에 대해, 물질특허 우선권을 주장하는 신규 특허를 출원했다고 11일 밝혔다.이번 특허는 지난해 7월 출원한 CU71의 물질특허에 신규 화합물 합성과 전임상 효능 데이터를 추가 반영해, 권리 범위를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출원됐다. CU71은 Rivasterat(CU06)에 이어 큐라클의 신약개발 플랫폼 SOLVADYS®를 통해 발굴된 혈관내피기능장애 차단제 계열의 First-in-Class 신약 후보물질이다. 노화, 독성 물질, 만성 염증 등으로 ..

시지바이오,최소침습 척추수술 전략 확대

시지바이오,최소침습 척추수술 전략 확대절개 줄이고 회복 빠르게…로봇 시스템 고도화바이오 재생의료 전문기업 시지바이오(대표 유현승)는 의료로봇 전문기업 큐렉소(대표 이재준)와 손잡고, 척추 수술용 로봇 시스템 고도화를 위한 공동 개발에 착수했다고 11일 밝혔다. 양사는 최근 큐렉소 본사에서 ‘통합 척추 수술 솔루션 개발 및 확산을 위한 협력 체계 구축’을 주요 내용으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수술용 로봇, 척추 임플란트, 내시경 기반 수술 기법을 하나의 플랫폼으로 통합하는 정밀 수술 시스템을 공동 개발할 계획이다. 이번 협력은 시지바이오가 지속 추진해온 ‘최소침습 척추 수술 전략’을 한층 확장하는 차원이다. 기존 절개 중심의 척추 수술은 출혈과 감염 위험이 크고 회복 기간이 길다는 한계가 있었지만..

지씨셀, 듀셀과 인공혈소판 CDMO 계약 체결

지씨셀, 듀셀과 인공혈소판 CDMO 계약 체결줄기세포 유래 인공혈소판 ‘DCB-101’생산.지원지씨셀(대표 원성용, 김재왕)은 인공혈소판 연구개발 기업 듀셀(대표 이민우)과 줄기세포 유래 인공혈소판 ‘DCB-101(en-aPLT™)’에 대한 CDMO 계약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계약은 듀셀이 독자적으로 개발한 줄기세포 기반 인공혈소판 생산 플랫폼 (en-aPLTTM)을 활용해, 임상 규제 수준에 부합하는 의약품의 생산 및 품질시험을 수행하고, 제품의 시장 진입을 가속화하기 위한 전략적 협력이다. 체결식은 9일 경기도 용인에 위치한 지씨셀의 셀 센터에서 이민우 듀셀 대표와 원성용 지씨셀 대표 및 각 사 관계자들의 참석 하에 진행됐다. 듀셀은 국내 최초로 줄기세포 기반의 독자적인 인공혈소판 제조..

유비케어, 전자동 산제 분포기 ‘DP-9S’ 출시

유비케어, 전자동 산제 분포기 ‘DP-9S’ 출시 조제 장비 라인업 강화디지털 헬스케어 플랫폼 대표 기업 유비케어(대표 김진태)는 일본 타카조노(Takazono)의 전자동 산제 분포기 ‘DP-9S’를 국내 약국 및 동물병원 시장에 공식 출시했다고 10일 밝혔다. 유비케어는 그동안 포장 조제 자동화 장비인 ‘오토팩’을 통해 약국과 병의원에 효율적인 조제 솔루션을 제공해왔다. 이번에 새롭게 선보이는 ‘DP-9S’는 산제(파우더)는 물론 과립, 정제, 캡슐 등 다양한 제형을 단일 기기로 처리할 수 있는 멀티 제형 대응 기능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분포 속도는 분당 최대 55포까지 설정할 수 있어 대량 조제 업무에서도 높은 생산성을 자랑하며, 자동 인쇄 기능을 통해 포장지에 처방 정보를 실시간으로 인쇄할 수 ..

안지오랩, 치주건강 건기식 원료 美 FDA NDI 허가

안지오랩, 치주건강 건기식 원료 美 FDA NDI 허가'ALH-L1005’ 북미시장 진출 목적 안지오랩(대표이사 김민영, 251280)은 자체 개발한 치주염 예방 및 개선 기능성식품 원료인 ‘ALH-L1005’가 미국 식품의약품청(US FDA)으로부터 신규 건강기능식품 원료(New Dietary Ingredient, NDI #1397)로 허가 받았다고 9일 밝혔다. 안지오랩은 혈관신생(Angiogenesis) 억제를 근간으로 하는 의약품과 건강기능식품을 연구 개발하는 회사이며 경구용 습성 황반변성치료제 ALS-L1023은 임상 2상을 완료하고 식약처로부터 임상3상 IND 승인을 받은 후 한림제약에서 스핀 오프한 상명이노베이션이 현재 임상 3상을 준비하고 있다.이번 미국 FDA로부터 NDI로 허가받..

제테마, ‘JAM 라이브 세미나’ 성황리 개최

제테마, ‘JAM 라이브 세미나’ 성황리 개최 글로벌 메디컬 에스테틱 전문기업 제테마(216080)는 서울 강남비비의원에서 ‘JAM 라이브 세미나 (더톡신X테옥산)’를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8일 밝혔다. JAM(Jetema Academic Meeting)은 에스테틱 분야의 시술 노하우와 최신 트렌드를 전 세계 의료진에게 공유하는 제테마 공식 학술 행사다. 스위스 프리미엄 히알루론산 필러 브랜드 ‘테옥산’의 특징을 알리고, 테옥산 필러와 제테마더톡신 제품을 활용한 컴바인 시술 노하우를 공유하기 위해 기획됐다. 국내 의료진을 대상으로 한 행사에서 연자로 나선 강남비비의원 박수범 원장은 입 주변 다이내믹 근육 구조와 움직임을 고려한 디자인 전략을 주제로 ‘테옥산’과 ‘제테마더톡신’ 제품 이론을 설명했다.이어 라..

뇌졸중학회, 급성 뇌경색 치료약 테넥테플라제 치료 지침 발표

뇌졸중학회, 급성 뇌경색 치료약 테넥테플라제 치료 지침 발표필요성 및 임상적 근거 Journal of Clinical Neurology에 게재대한뇌졸중학회(회장 한림의대 황성희, 이사장 성균관의대 김경문)는 7월 7일 뇌경색 환자들의 예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초급성기 뇌경색 치료약인 테넥테플라제(Tenecteplase)의 국내 빠른 도입이 시급함을 호소하였다. 테넥테플라제는 뇌경색 환자에서 초급성기 치료인 정맥내혈전용해제로 기존 치료제인 알테플라제(tPA)의 개량 약물이다. 이미 2000년 6월에 심근경색 환자의 혈전용해치료제로 FDA 승인이 되었고, 국내에서는 2003년에 승인되어 심근경색 환자에서 사용되었던 약물이다. 테넥테플라제는 기존 치료제인 알테플라제(rtPA)에 비해 투약 방식이 단순하고..

씨엔알리서치, 복지부 ‘디지털 바이오 스마트 임상’ 사업 참여

씨엔알리서치, 복지부 ‘디지털 바이오 스마트 임상’ 사업 참여176억 원 규모의 임상 지원 플랫폼 구축 씨엔알리서치(359090, 대표 윤문태)는 보건복지부가 주관하는 연구개발 사업 ‘디지털 바이오 스마트 임상 지원 플랫폼 구축 및 개발(K-HOPE 프로젝트)’에 참여기관으로 선정됐다고 7일 밝혔다. 이 사업은 국가 전략 자산인 인체자원은행을 디지털화하고, 인공지능(AI), 메타버스, 디지털 트윈 등 최신 기술을 활용해 정밀 맞춤형 임상시험 체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총 176억 원 규모로 2025년부터 2027년까지 3년간 추진되며, 화순전남대학교병원이 주관연구기관으로 총괄한다. 씨엔알리서치는 이번 프로젝트에서 주요 암 레지스트리 연구, 가상대조군(External Control Arm) 활용..

유비케어, 주차별 처방 실적 분석 솔루션 출시

유비케어, 주차별 처방 실적 분석 솔루션 출시‘Weekly Pro’...종별·지역별 세분화된 분석 가능디지털 헬스케어 플랫폼 대표 기업 유비케어(대표 김진태)는 의약품 처방 실적을 주 단위로 분석할 수 있는 솔루션 ‘Weekly Pro’를 출시했다고 7일 밝혔다. ‘Weekly Pro’는 전국 8,000여 개 약국 패널의 원외 처방 데이터를 기반으로, 주 단위 약품별 실적을 추정·분석해 제공하는 솔루션이다. 매주 금요일, 직전 금요일부터 이번 주 목요일까지의 데이터를 집계해 제약사에 제공하며, 이를 통해 주간 및 누적 실적은 물론 전년·전월 동기 대비 실적 변화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종별 데이터’를 통해 종합병원, 병원, 의원 등 의료기관 유형별 실적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

나이벡, ‘BIO USA 2025’서 펩타이드 기술력 호평

나이벡, ‘BIO USA 2025’서 펩타이드 기술력 호평 노화역전·약물전달 기술 주목 펩타이드 융합 바이오 전문기업 나이벡(대표이사 정종평)이 근감소증 치료제와 차세대 약물전달 플랫폼 ‘펩타델(PEPTARDEL)’에 대한 글로벌 공동개발 및 상업화에 본격 나선다.회사는 지난달 미국에서 열린 ‘BIO USA 2025’에서 핵심 파이프라인인 노화역전 펩타이드 기반 근감소증 치료제와 차세대 약물전달 플랫폼 ‘펩타델(PEPTARDEL)’을 중심으로 글로벌 제약사들과 심도 있는 기술 협의를 진행했다고 4일 밝혔다. 이번 BIO USA에서 나이벡은 줄기세포 활성 펩타이드를 활용한 노화 대응 기술과 전임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양한 글로벌 제약사들과 공동연구개발에 대한 논의를 활발히 이어갔다. 특히, 치료제가 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