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의료/병원/바이오벤처 13733

올림푸스한국, 차세대 초음파내시경‘EU-ME3’공급

올림푸스한국, 차세대 초음파내시경‘EU-ME3’공급국내 최초 순천향대 부천병원에서 가동 올림푸스한국(대표 타마이 타케시)은 오늘(24일) 자사의 차세대 초음파 내시경 프로세서 ‘EU-ME3’가 국내 의료기관 중 최초로 순천향대학교 부속 부천병원(병원장 문종호)에 도입됐다고 밝혔다. 순천향대학교 부속 부천병원(이하 순천향대 부천병원)은 서부권역을 대표하는 상급종합병원이다. 37개 진료과와 다양한 전문 진료센터를 운영하며 지역 의료의 중심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최신 의료 장비의 적극적인 도입과 연구를 통해 환자 중심의 첨단 의료 환경을 지속적으로 구축하고 있다. 이번 도입은 지난 6월 국내에 출시된 ‘EU-ME3’의 첫 임상 활용 사례로, 순천향대 부천병원은 이를 통해 췌장·담도 질환의 정밀 진단 및 치..

씨젠, 美 ADLM서 글로벌 진단 패러다임 전환 선언

씨젠, 美 ADLM서 글로벌 진단 패러다임 전환 선언세계 최초의 ‘무인 PCR’ 시대 개막 씨젠(Seegene, Inc.)이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ADLM 2025(Association for Diagnostics & Laboratory Medicine)에서 무인 PCR 자동화 시스템 ‘CURECA™(큐레카)’와 진단 데이터 분석 플랫폼 ‘STAgora™(스타고라)’를 공개하며 글로벌 진단 패러다임 전환을 선언했다. CURECA™는 PCR 검사 과정 전반을 완전자동화한 세계 최초의 시스템으로, 샘플 보관·전처리·핵산 추출·증폭·결과 분석까지 모든 단계가 사람의 개입 없이 진행된다. 이 시스템은 24시간 연속 검사가 가능하며, 휴먼 에러를 최소화해 검사 결과의 일관성과 신뢰도를 크게 높였다.특히 전처리 ..

듀켐바이오,‘프로스타시크’ 식약처 승인

듀켐바이오,‘프로스타시크’ 식약처 승인차세대 전립선암진단 방사성의약품국내 방사성의약품 시장의 선도기업 듀켐바이오(대표이사 김상우, 176750)는 차세대 PSMA(전립선 특이 막 항원) 표적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 방사성의약품 ‘프로스타시크 주사액(18F-플로투폴라스타트, ProstaSeek™)’에 대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22일 품목허가를 획득했다고 밝혔다. 프로스타시크는 브라코(Bracco) 그룹의 자회사인 블루 어스 다이그노스틱스(Blue Earth Diagnostics)가 개발한 의약품으로, 2023년 미국에서 'POSLUMA'라는 제품명으로 FDA 승인을 받았으며, 듀켐바이오가 국내 독점 라이선스를 확보하여 상용화를 진행한다. 이번 허가를 통해 프로스타시크는 전립선 절제술 또는 방사선 치료..

씨이랩-바이오써포트,제약바이오 AI 품질관리 시장 공략

씨이랩-바이오써포트,제약바이오 AI 품질관리 시장 공략AI 영상분석과 GMP 품질관리의 플랫폼 공동 개발Vision AI 전문기업 씨이랩(대표 윤세혁, 채정환, 189330)은 GMP(제조품질관리) 및 밸리데이션 컨설팅 전문기업 바이오써포트(대표 김경민)와 제약·바이오 산업 현장의 제조 품질관리 AI 솔루션 공동 개발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씨이랩의 AI 영상분석 기술과 바이오써포트의 GMP 품질시스템 컨설팅 역량을 결합해 바이오·제약 산업에 특화된 AI 플랫폼 개발과 AI GMP 공동 사업 추진을 목표로 한다. 양사는 씨이랩의 AI 위생품질관리 솔루션 XAIVA ON-DEVICE(엑스아이바 온디바이스) 솔루션에 바이오써포트의 GMP 설계 및 밸리데이션 ..

이니바이오 보툴리눔 톡신 ‘이니보’ 중남미 첫 인허가

이니바이오 보툴리눔 톡신 ‘이니보’ 중남미 첫 인허가 ‘이니보주 100단위(INI101)’ 페루 정식 인허가 승인 이니바이오(대표 이기세, 조익환)의 보툴리눔 톡신 제제인 ‘이니보 (inibo)’가 페루 의약품관리국(DIGEMID)으로 부터 신규 품목 허가를 획득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미 태국에서 해외 첫 인허가를 받은 후 3개월여 만에 중남미 신규 국가에서의 허가 획득으로 글로벌 시장의 진출이 순항 중이다. 페루는 중남미에서도 미용 의료 시장이 급격히 성장하는 국가로 이번 허가를 통해 글로벌 톡신 브랜드로 ‘이니보(inibo)’의 입지를 더욱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니바이오는 2022년 페루 현지의 유통파트너와 독점 공급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해당 기업은 페루에서 다양한 메디컬 에스테틱..

J&J서지컬비전, ‘엘리타 실크 라식’ 캠페인 모델로 버추얼 휴먼 지니

J&J서지컬비전, ‘엘리타 실크 라식’ 캠페인 모델로 버추얼 휴먼 지니MZ세대 중심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본격화안과 의료기기 전문기업 존슨앤드존슨 서지컬비전(대표 성종현)이 차세대 시력교정술 ‘엘리타 실크(SILK, Smooth Incision Lenticular Keratomileusis) 라식’의 브랜드 캠페인 모델로 버추얼 휴먼 ‘지니(ZINI)’를 발탁했다고 22일 밝혔다. 실크 라식은 자사의 각막 굴절 레이저 장비인 엘리타(ELITA™ Femtosecond Laser System)를 이용한 시력교정술이다. 난시 유무와 관계없이 근시 굴절 이상을 교정할 수 있으며, 작은 직경의 레이저가 빠르게 이동해 부드럽고 촘촘한 절개를 구현, 각막 조직의 손상이 적은 것이 특징이다. 임상 연구에 따르면, 실..

셀루메드, 펩타이드 기반 차세대 골이식재 개발나서

셀루메드, 펩타이드 기반 차세대 골이식재 개발나서단백질 개발 노하우와 AlphaFold3 접목바이오 의료기기 전문 제조기업 셀루메드(049180)는 AI 기반 단백질 구조 예측 프로그램인 ‘AlphaFold 3’를 활용해 펩타이드 기반 차세대 골이식재 개발에 본격 착수했다고 22일 밝혔다. 셀루메드는 현재 정형외과용 골이식재 ‘라퓨젠 DBM(Demineralized Bone Matrix)’과 치과용 골이식재 ‘라퓨젠 덴탈(Rafugen Dental)’을 주력 제품으로 생산하고 있다. 골이식재는 골형성 능력과 생체친화성(인체 조직과의 거부반응이 없는 성질)이 핵심 요소이며, 회사는 새로운 펩타이드 결합 기술을 통해 이 두 요소를 더욱 향상시킬 계획이다. 특히, 기존 적응증을 넘어 암 수술 후 골재건 등 ..

한국형 정밀영양 컨소시엄 통합 워크숍' 성료

한국형 정밀영양 컨소시엄 통합 워크숍' 성료 연구진행 현황 및 최신 맞춤영양 트렌드 정보 등 공유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와 한국형 정밀영양 컨소시엄(Korean Precision Nutrition Consortium, 이하 KPNC)이 주최한 '한국형 정밀영양 컨소시엄 통합 워크숍'이 7월 18일 서울 LW컨벤션 크리스탈홀에서 성공적으로 개최되었다. KPNC는 식약처 주관의 식생활 안전기반 확충 사업의 '영양위해평가 기반 취약계층 정밀영양 안전관리 기반 마련 연구' 과제를 수행하는 대규모 연구진으로, 가천대학교(주관연구기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고려대학교, 식품안전정보원, 켐아이넷(주), 한국식품연구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및 정밀영양협회로 구성되어 있다. 이번 워크숍은 한국형 정밀영양 사업 소..

제테마, 내부 역량 강화 위한 세미나 성료

제테마, 내부 역량 강화 위한 세미나 성료 글로벌 메디컬 에스테틱 전문기업 제테마(216080)는 판교 글로벌 R&D 센터에서 임직원 대상 ‘JETEMA 연자 초청 세미나'를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교육은 필러와 보툴리눔 톡신 시장의 최신 트렌드와 제품 특성에 대한 임직원의 이해를 높이고, 향후 영업 및 마케팅 전략 수립에 도움 주기 위해 마련됐다. 강연에는 대한리프팅학회 수석학술이사 룩스웰의원 홍한빛 원장이 연자로 참여했다. 그는 ‘시술 후 자연스러운 얼굴 연출을 위한 테옥산 RHA 필러 시술법’을 설명했다. 홍 원장은 “시술 직후 발생하는 초기 염증은 필러의 모양을 뭉개는 큰 원인인데 열을 가하지 않고 부드럽게 혼합하는 테옥산의 가교 공정은 염증을 유발할 수 있는 히알루론산 파편의 ..

엔젠바이오-애질런트 테크놀로지스, 업무협약

엔젠바이오-애질런트 테크놀로지스, 업무협약 AI SW 기반 유전체 분석사업 확대 엔젠바이오가 글로벌 진단·생명과학 기업 애질런트 테크놀로지스 코리아와 AI 유전체 분석 기술 강화를 통해 국내외 시장 확대에 나선다. 정밀진단 플랫폼 전문기업 엔젠바이오(354200, 대표이사 김민식)는 글로벌 생명과학·진단 솔루션 기업인 애질런트 테크놀로지스 코리아(Agilent Technologies Korea, 대표이사 유재수)와 AI SW 기반 정밀 유전체 분석사업 확대를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엔젠바이오의 AI 기반 유전체 분석 소프트웨어와 애질런트의 전장엑솜시퀀싱(Whole Exome Sequencing, WES) 기술을 결합해, 국내 주요 대형병원을 대..

씨엔알리서치, 창립 28주년 기념 홈페이지전면 리뉴얼

씨엔알리서치, 창립 28주년 기념 홈페이지전면 리뉴얼‘지디웹 디자인 어워드’ 수상씨엔알리서치(359090, 대표 윤문태)는 창립 28주년을 맞아 홈페이지를 전면 리뉴얼하고, 업계 최초로 ‘지디웹 디자인 어워드’ 웹부문 위너 프라이즈를 수상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리뉴얼은 유엘디자인과의 협업으로 진행됐다.새로운 홈페이지는 28년간 축적된 씨엔알리서치의 전문성과 핵심 역량을 체계적으로 구조화해 전달력과 사용자 경험을 대폭 향상시켰다. 임상 전문가뿐 아니라 주주, 구직자, 일반 이용자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의 소통을 강화하여 기업의 비전과 가치를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필요한 정보를 손쉽게 탐색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또한, 글로벌 다국가 접근성을 대폭 향상시키며 ‘글로벌 임상 허브’로 도약하려는 씨엔알..

연속혈당측정기 최초 당뇨환자 심장합병증 입원율 감소

연속혈당측정기 최초 당뇨환자 심장합병증 입원율 감소애보트 '프리스타일 리브레,Real-world 연구 결과 공개애보트는 자사의 연속혈당측정기(CGM) 프리스타일 리브레가 Real-world 연구인 REFLECT에서 연속혈당측정기 최초로 당뇨병 환자의 심장 합병증으로 인한 입원 위험을 유의미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REFLECT 연구는 비치명적 심근경색, 비치명적 뇌졸중, 관상동맥질환, 심부전, 심방세동, 심혈관 사망 등 당뇨병 환자에게 흔히 발생하는 다양한 심혈관 질환을 종합적으로 분석했으며,연속혈당측정기가 저혈당 이력이나 심장 질환 관련 입원 여부와 관계없이 제1형 당뇨병 환자의 심혈관 합병증 중증도를 완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처음으로 밝힌 연구이다. 이번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인슐린을..

펩트론, '루프원' 품목허가 획득

펩트론, '루프원' 품목허가 획득1개월 지속형 전립선암및 성조숙증 치료제 펩트론(대표이사 최호일)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1개월 지속형 전립선암 및 성조숙증 치료제 ‘루프원’의 품목허가를 받았다고 15일 밝혔다. 루프원은 펩트론이 자사의 장기 지속형 치료제 플랫폼을 적용하여 개발하여 승인 받은 최초의 의약품으로 자체 생산하는 첫번째 상업 생산 제품이다. LG화학과 체결한 루프원의 국내 독점 판매 계약에 따라 펩트론은 제조를, LG화학은 국내 판매를 담당하게 된다. 양사는 약 800억 원 규모로 추정되는 국내 전립선암 및 성조숙증 치료제 시장을 본격적으로 공략할 계획이다. 특히, LG화학은 성장호르몬 제제 ‘유트로핀’을 통해 국내 소아 내분비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는 만큼, 연계 질환인 성조..

셀레믹스, 롱리드 라이브러리 프렙 키트 출시

셀레믹스, 롱리드 라이브러리 프렙 키트 출시롱리드 시퀀싱 시장 공랷...효소기반 혁신제품NGS(차세대염기서열분석, Next Generation Sequencing) 기술플랫폼 기업 셀레믹스(대표이사 이용훈, 김효기)는 효소 기반의 혁신적인 롱리드 라이브러리 프렙 키트(Enzymatic Long-read Library Preparation Kit)를 새롭게 출시하며 급성장하는 롱리드 시퀀싱(Long-read Sequencing) 시장 공략에 본격적으로 나선다고 16일 밝혔다. 셀레믹스가 독자 개발한 이 제품은 효소 기반의 DNA 절편(fragment) 처리 기술과 비드(Bead) 기반의 선택적 분리 기술을 적용해 기존의 기계적 파편화 및 사이즈 선택 과정 없이도 평균 약 2kb 수준의 롱리드(Long-re..

JW바이오사이언스, ‘AutoTEC a120’ 국내 론칭

JW바이오사이언스, ‘AutoTEC a120’ 국내 론칭조직 샘플 블록 자동화 시스템JW바이오사이언스는 일본 병리학 자동화 전문기업 ‘사쿠라 파인텍(Sakura Finetek)’의 연속 자동 포매(embedding) 시스템 ‘Tissue-Tek AutoTEC a120’을 국내에 론칭했다고 16일 밝혔다. ‘AutoTEC a120’은 업계 최초이자 유일한 전자동 연속 포매(embedding) 시스템으로 병리 진단 과정 중 환자의 조직 샘플을 파라핀 블록으로 만드는 공정을 자동화한 장비다. 포매는 환자에게 채취한 조직 샘플을 검사용 블록으로 제작하는 과정을 뜻한다. 질병 진단의 정확성과 직결되는 현미경 분석을 위해 조직을 일정한 두께로 절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시스템은 자동화 장치와 전용 케이스(Para..

큐라클, CU71(알츠하이머 후보물질) 전임상 결과 발표

큐라클, CU71(알츠하이머 후보물질) 전임상 결과 발표알츠하이머병 최고 권위 학회 ‘AAIC 2025’서난치성 혈관질환 특화기업 큐라클(365270, 대표이사 유재현)은 오는 27일부터 31일까지 캐나다 토론토에서 열리는 ‘알츠하이머 협회 국제 컨퍼런스(AAIC 2025, Alzheimer’s Association International Conference)’에서 자사의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후보물질 ‘CU71’의 전임상 연구 결과를 포스터 형식으로 발표한다고 15일 밝혔다. AAIC는 알츠하이머병 및 치매 분야에서 세계 최대이자 가장 권위 있는 국제 학회로, 전 세계 1만 4천여 명 이상의 의료진, 연구진, 제약바이오 업계 관계자들이 참여해 최신 연구 성과를 공유하는 학술 교류의 장이다. 큐라클은 이..

제테마-강원창조경제혁신센터 업무협약

제테마-강원창조경제혁신센터 업무협약 바이오산업 생태계 활성화 협력글로벌 메디컬 에스테틱 전문기업 제테마(216080)는 강원창조경제혁신센터와 자사 글로벌 판교 R&D 센터에서 바이오 에스테틱 혁신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협약식에는 남정선 제테마 대표이사, 이해정 강원센터 대표이사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양측은 △오픈이노베이션 프로그램 운영 △인프라 교류 △인적 자원 공유 등을 추진한다. 우수한 기술력과 서비스 역량을 보유한 스타트업을 발굴, 주력 사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차세대 혁신 기술 및 아이템 확보에 적극 나설 예정이다. 또 오는 15일부터 ‘바이오 에스테틱 오픈이노베이션’ 프로그램 참가기업을 모집한다. 제테마와 기술 교류 및 협업을 통해 실질적인 사업화와 실증 기회를..

엔젠바이오, 베트남 대형 병원 2곳 연속 수주

엔젠바이오, 베트남 대형 병원 2곳 연속 수주글로벌 시장 확대 기반 실적 성장 본격화정밀진단 플랫폼 전문기업 엔젠바이오(354200, 대표이사 김민식)는 베트남 호치민시 대형병원 ▲ HCMC Oncology Hospital과 ▲ Blood Transfusion and Hematology Hospital 2곳에서 NGS(차세대 염기서열분석) 정밀진단 제품 수주에 성공했다고 14일 밝혔다. 해당 수주 규모는 지난해 전체 수주 실적의 약 70%에 해당하며, 이는 동남아 시장 내 확고한 입지를 반영하는 것이다. HCMC Oncology Hospital은 호치민시에 위치한 베트남 남부 최대 규모의 국립 암 전문 병원으로, 연간 약 50만 명 이상의 암 환자를 진료하며, 약 1,000병상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

셀바스AI, 강동경희대병원에 ‘메디보이스’ 공급

셀바스AI, 강동경희대병원에 ‘메디보이스’ 공급 EMR, ENR부터 의료 AI 에이전트까지 라인업 확장인공지능·음성인식 전문기업 셀바스AI(108860)가 강동경희대병원 영상의학과에 의료 음성인식 솔루션 ‘셀바스 메디보이스(SELVAS MediVoice)’를 공급했다고 14일 밝혔다.이번 공급은 영상 판독과 동시에 음성으로 소견을 기록하는 실시간 음성기록 환경을 구현한 것으로, 의료 AI 에이전트(AI Agent) 기반 병원 자동화의 초기 단계로 평가받을 것을 기대하고 있다. 메디보이스는 의료영상(PACS)시스템과 연동해 판독 중 발생하는 전문 의료용어 음성을 STT(Speech-to-Text) 기술로 실시간 변환하고, 이를 구조화된 판독 소견으로 자동 기록하는 솔루션이다. 이번 구축을 통해 영상의학과..

마크로젠-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 산학협력단 업무협약

마크로젠-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 산학협력단 업무협약 세종 지역 바이오산업 혁신 및 인재 양성 선도마크로젠(대표 김창훈)은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 산학협력단과 지역혁신중심대학지원체계(RISE) 및 기회발전특구 수요맞춤형 지원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마크로젠 강남 본사에서 진행된 이번 협약식에는 마크로젠 서정선 회장과 김창훈 대표, 홍익대학교 윤구영 부총장과 한정희 산학협력단장 등 양 기관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대학의 연구 역량과 마크로젠의 첨단 바이오 기술을 결합하여 세종지역의 산업 혁신을 선도하고, 기회발전특구 지정을 통한 산업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추진됐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RISE 체계 및 기회발전특구 수요맞춤형 지원사업의 공동..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