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심평원, 치매 진료 첫 평가 결과 공개
< 치매 1차 적정성평가 개요 > ▪ 평가목적: 정확한 진단을 통한 적기 치료 제공을 유도함으로써, 증상 악화를 지연시키는 등 치매 의료서비스 질 향상을 도모 ▪ 평가대상(889기관, 52,504건) - (대상기관)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병원, 요양병원, 정신병원, 의원 - (대상기간) 2021년 10월 ~ 2022년 3월(6개월) 외래 진료분 - (대상환자) 외래에서 치매약을 처음 처방받은 치매환자 ▪ 평가내용: 신경과,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혹은 치매관련 교육 이수 의사 비율 등 ▪ 평가결과 - (종합점수) 평균 72.9점 - (평가등급) 1등급 223기관으로 전체 25.1% |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김선민, 이하 ‘심사평가원’)은 ‘1차 치매 적정성평가’ 결과를 12월 28일(수) 심사평가원 누리집 및 모바일 앱(건강e음)을 통해 공개한다.
치매는 만성 퇴행성으로 진행되며, 기억장애 외에도 사고력장애, 언어장애, 인격장애 등으로 일상생활에 중대한 지장을 주는 질환이다.
급속한 고령화에 따라 치매환자 규모 및 사회적·경제적 부담이 증가되고 있으며, 가정에서도 치료와 간병으로 인하여 가계 부담과 가족 갈등, 가족 해체 등 고통이 심화되고 있다.
2020년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추정 치매환자는 약 84만 명이고, 연간 국가치매관리 비용은 총 17조 3천억 원(GDP의 약 0.9%)으로 추정된다. 이 중 진료비용이 약 2조 8천억 원을 차지하고 있다.
치매는 조기에 진단하여 적절한 치료를 제공하면 증상악화를 지연시킬 수 있다. 또한, 인구 고령화 심화로 매년 환자수와 진료비 증가가 예상됨에 따라 치매 의료서비스 질 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심사평가원은 신규 치매 외래 환자에게 정확한 진단 및 적기 치료를 제공하여 증상 악화를 지연시키는 등 치매 의료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해 치매 적정성평가를 처음 시행했다.
평가지표는 4개로, 신규 치매 외래 환자의 ▲담당 의사 중 신경과,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혹은 치매에 대한 교육을 이수한 의사의 비율, 치매 원인 확인 등을 위한 ▲구조적 뇌영상검사 시행률 ▲혈액검사 시행률,기억력, 사고력 등을 보는 ▲선별 및 척도검사 시행률을 평가했다.
평가 결과 종합점수 평균은 72.9점이고 종합점수 1등급은 전체의 25.1%인 223기관이며, 전국 모든 권역에 분포됐다.
평가지표 중 치매 진료 의사의 전문성을 평가하는 신경과,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혹은 치매 관련 교육을 이수한 의사의 비율은 전체 80.9%로 나타났다.
신규 치매 외래 환자 중 구조적 뇌영상검사(CT 또는 MRI)를 시행한 환자의 비율은 전체 63.9%이며,필수 혈액검사 27항목을 모두 시행한 환자의 비율은 전체 35.7%로 나타났다.
또한, 선별 및 척도검사는 시행률이 전체 91.6%이고, 의원의 경우 전체 87.1%로 다른 종별보다 낮았다.
모니터링지표는 5개로 치매 증상 및 질병의 경과를 평가하는 ▲신경인지기능검사 시행률 ▲이상행동증상 평가 비율 ▲일상생활장애 평가 비율과, 신규 치매 외래 환자의 항정신병 약물 사용 현황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항정신병 약물 투여율, 지역사회 활동 활성화를 위한 ▲지역사회 연계 비율로 구성됐다.
치매안심센터에 등록된 치매환자 비율을 보는 지역사회 연계비율은 모니터링 결과 75.2%로,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지역사회 연계를 더욱 활성화 할 필요가 있다고 보여진다.
정영애 평가실장은 “치매 적정성평가는 초기 치매 환자의 외래 진료를 대상으로 정확한 진단과 치료의 전문성에 중점을 두었으며, 이번에는 첫 평가로 의료기관 종별 결과가 다소 차이를 보였다” 고 전했다.
심사평가원은 국민들이 치매 초기부터 가까운 우수병원에서 치료하고 관리 받는데 도움이 되도록 평가 결과를 공개했다. 앞으로 평가를 진행하면서 의료서비스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보완해 나갈 계획이다.
반응형
'◆의약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케이메디허브, 약대생 대상 실무실습을 위한 기회 제공 (0) | 2023.01.17 |
---|---|
공급 중단 보고대상 의약품 재고현황 서비스 (0) | 2023.01.06 |
[2023신년사] 김선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장 (0) | 2023.01.02 |
영유아 10명 중 4명 감기에 여전히 항생제 사용 (0) | 2022.12.28 |
케이메디허브, 현대바이오사이언스 호주 진출 지원 (0) | 2022.12.27 |
건강보험공단, 약가협상체계 품질경영시스템 인증 (0) | 2022.12.27 |
심평원, ‘내부통제체계 구축’ 위기 대응력 강화 (0) | 2022.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