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엔젠바이오, 퀀타매트릭스와 치매 진단사업 협력
업무 협약...치매 조기진단 정확성 향상 기대
NGS 정밀진단 플랫폼 기업 엔젠바이오(354200, 대표이사 최대출)는 체외진단 기술기업 퀀타매트릭스(대표이사 권성훈)와 치매 진단 분야 관련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치매 진단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와 진단 기술의 상용화를 가속화하기 위한 것으로, 양사는 치매 예방을 위한 협력 의지를 담고 있다.
협약의 주요 내용은 ▶ 혈액 기반 치매 조기진단 제품 개발 협력 ▶ 공동 연구개발(R&D) ▶ 해외 유통 및 사업화 협력 ▶ AI 기반 데이터 분석 플랫폼 공동 개발 등이다.
엔젠바이오는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GS) 기술과 퀀타매트릭스의 혈액 기반 분자면역 진단 솔루션 기술을 융합시켜 더욱 민감하고 정밀한 치매 진단 플랫폼을 개발하는 데 집중할 예정이다.
또한,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치매, 루이소체 치매 등 다양한 치매 유형에 대한 신규 진단기술을 공동으로 연구개발할 계획이다.
퀀타매트릭스는 알츠하이머에 관여하는 네 가지 바이오마커를 동시에 측정하여 알츠하이머병을 조기 진단할 수 있는 '알츠플러스' 제품을 보유하고 있으며, 지난 12월 보건복지부 고시에 따라 의료현장에서 비급여 처방이 가능해졌다.
또한, 엔젠바이오는 혈액 검사 기반 퇴행성 뇌 질환 진단 및 모니터링 기술에 대한 미국과 일본 특허를 출원했으며, 치매 환자에서 특이적으로 증가하는 마이크로 RNA(miRNA)를 탐지하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기존의 복잡한 진단 과정에서 발생하는 한계를 극복하고, 치매 조기 진단의 정확성을 대폭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뿐만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서도 혁신적인 치매 진단 솔루션을 선보이며 선도적인 입지를 확보할 계획이다.
권성훈 퀀타매트릭스 대표이사는 “엔젠바이오의 첨단 NGS 기술과 퀀타매트릭스의 혁신적인 진단 플랫폼이 결합되어 치매 조기 진단의 패러다임을 전환할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며 "이번 협약이 양사의 혁신적인 성장을 이끄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최대출 엔젠바이오 대표이사는 “퀀타매트릭스와의 협력을 통해 NGS 기반 치매 진단 솔루션을 더욱 정교화시켜 전 세계적으로 치매 예방과 치료를 지원할 수 있는 진단 생태계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치매 진단 시장은 고령화가 심화되는 글로벌 트렌드와 맞물려 연평균 1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마켓리서치퓨처에 따르면 알츠하이머 치매 진단시장 규모는 2023년 45억 달러(한화 약 6조 5천억 원)에서 연평균 8.9% 성장해 2032년에는 2배에 달하는 88억 달러(한화 약 12조 8천억 원)로 커질 전망이다.
반응형
'◆의료/병원/바이오벤처 > ◁바이오벤처,의료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온코닉테라퓨틱스, 차세대 표적항암제 비임상연구결과 발표 (0) | 2025.02.14 |
---|---|
사이노슈어 루트로닉 ‘모자이크3D’, 글로벌 특허 (0) | 2025.02.14 |
제이앤피메디, 삼진제약과 MSA 업무협약 (0) | 2025.02.14 |
셀리드, 코로나19 관련논문 국제 학술지 게재 (1) | 2025.02.12 |
셀루메드, 골형성치료제 캐파 최대 2배 증설 (0) | 2025.02.11 |
큐라클, CU06시신경 세포 보호 효과 데이터 공개 (0) | 2025.02.07 |
제이브이엠, 작년 연매출 1594억원 역대 최고 (0) | 2025.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