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국내제약

제약계 "병원 불공정 약가 후려치기, 중단해야 한다"

jean pierre 2014. 1. 18. 14:03
반응형

제약계 "병원 불공정 약가 후려치기, 중단해야 한다"

 

제약협회-KRPIA, 정부에 자본주의 자율경쟁 도모해야

 

 

시장형 실거래가 시행을 앞두고 의료기관들이 갑을 위치를 적극 악용해 약품단가 후려치기와 이에따른 인센티브를 위해 작년 낙찰가 대비 20-60%의 저가 견적서를 요구하고 나서 제약계가 이에대한 우려를 표명하고 대책을 요구했다.

 

한국제약협회와 KRPIA는 이와관련 17일 오후 2시 공동기자회견을 열고 의료기관들이 이러한 행위를 자제해 줄 것과 정부의 실효성 있는 실태조사와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양 협회는 이날 시장형실거래제도가 시행도 되기 전인데 벌써 의료기관들은 우월적 지위를 악용해 불공정한 행위를 일삼고 있는데 2월부터 제도가 시행되면 어떤 상황이 펼쳐질지 뻔하다며 우려감을 표했다.

 

또한 제약업계는 작년 의약품 일괄약가인하 등 의약품 매출 급감 및 구조조정으로 매우 어려운 상황인데 병원의 과도한 저가납품 요구가 제약업계에 유통시장 혼란을 조장, 의약품의 안정적 수급에 심각한 차질을 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경호 회장은 지금 벌어지고 있는 상황은 정부가 당초 시장형실거래가제도로 얻고자 했던 유통투명화, 재정안정화 등 원래 취지와 많이 벗어나있다병원계가 요구하는 인하율은 제약 산업이 무너지는 선까지 와있으며, 이는 의약품의 안정적인 공급에도 차질이 생길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이회장은 또한 복지부는 시장경제의 대원칙을 준수해 공정거래에 반하는 부당행위를 제재해 줄 것과 시장형실거래가제도 협의체가 신속한 논의를 통해 1월 말까지 대체할 수 있는 방안을 꼭 마련해달라고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다국적의약산업협회 김진호 회장은 실거래가제도는 단순히 국내제약사를 떠나 다국적사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는 제도로, 정부는 산업이 발전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줘야 하는데 걸림돌이 되고 있다이 제도가 계속 진행되면 따라오는 후유증 또한 만만치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