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정책

공적마스크 공급업체 소수만 선정..불가피한 조치

jean pierre 2020. 3. 9. 08:01
반응형

공적마스크 공급업체 소수만 선정..불가피한 조치

정부 직접 해명나서..."독점. 특혜는 아니다"

 

공적마스크 유통업체인 지오영과 백제약품에 독점적 특혜를 부여했다는 등의 일각에서의 문제제기에 대해 정부가 직접 해명하고 나섰다.

기획재정부·식품의약품안전처·조달청은 9일 이와 관련해 "마스크 약국 판매를 위해서는 전국적 약국 유통망과 전문성을 보유한 지오영·백제약품을 유통채널로 선정하는 것이 불가피한 선택이었다"고 입장문을 냈다.

정부는 이같은 조치에 대해 "공적마스크 판매처 선정시 공공성과 접근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했으며, 국민 보건의료를 1차적으로 담당하고, 전국 23000여개소를 갖춰 접근성이 높은 약국을 판매처로 최우선 선정했다.“고 밝혔다.

공급업체로 선정된 지오영 직거래 약국은 국내 최대로 전체 약국의 60% 수준인 14000여개에 달하며 이번 마스크 수급 안정화 대책과 함께 거래 약국을 17000개로 확대했다고 밝혔고, 거래하지 않는 나머지 약국 5000여곳은 백제약품이 공급을 맡은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약국 유통업체를 지오영·백제약품 2곳으로 선정한 것은 유통경로를 효과적으로 추적·관리하고 매점매석이나 폭리와 같은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전담업체 관리·유통이 효율적이기 때문이다"고 강조했다.

이어 "약국 유통업체에 독점적 공급권을 부여한 것이 아니다"면서 "유통과정의 효율성을 고려해 민·4개 업체·기관이 서로 협력해 공적 공급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득을 취한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정부는 조달청의 마스크 제조업체와 공적 마스크 계약단가는 9001000, 정부가 약국 유통채널로 선정한 의약품 제조업체 지오영과 백제약품의 약국 공급가는 1100원이라고 밝혔다.

따라서 공급업체는 장당 100원의 이익을 보고 이를 단순계산하면 하루 평균 560만장을 공급하기 때문에 하루 마진은 56000112000만원이 된다. 그러나 실제로 인건비. 공급에 필요한 차량유류비 등 공급에 소요되는 각종 부대비용을 고려하면 사실상 이익을 보기는 힘든 상황이다.

또한 공적마스크의 소비자가격이 1장당 1500원이고, 23000여개 약국의 마스크 판매에 따른 마진은 장당 400원씩을 친다면 약국의 이익은 하루 224000만원이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