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리어드사이언스, 헤파토스콥(Hepatoscope) 애플리케이션 출시
간섬유화, 간경변증의 진행단계 및 개선양상등 담아
길리어드사이언스코리아(대표이사 이승우)는 6월 2일 의료전문가를 위한 아이패드 전용 애플리케이션으로서 만성 B형 간염 환자의 간섬유화 진행단계를 보여주는 헤파토스콥(Hepatoscope)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길리어드의 헤파토스콥 애플리케이션은 의료전문가가 만성 B형 간염 환자들에게 자신의 간 조직 상태 및 항바이러스제 치료를 통해 간 질환 증상이 개선되어가는 과정을 섬유화 지표별 이미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도와줌으로써 적극적인 치료와 복약 순응도를 제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의료전문가는 헤파토스콥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간섬유화, 간경변, 간암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건강한 간이 변화하는 모습을 간의 형태, 간세포 표면 및 현미경으로 관찰한 간세포 조직 등 3가지 버전으로 환자진료에 활용 할 수 있다.
간섬유화는 만성 B형 간염으로 인해 간세포 조직이 염증과 괴사를 반복하며 딱딱하게 굳어 기능을 상실하는 과정으로, 간경변 및 간암으로 진행될 수 있어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특히 국내 만성 B형 간염 환자의 5년 누적 간경변증 발생률은 23% 가량으로, 국내 전체 간경변증 환자의 70%에서 B형 간염 표면항원이 관찰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서울병원 소화기내과 최문석 교수는 이와 관련해 “만성 B형 간염 환자의 경우, B형 간염 바이러스가 복제∙증식하는 과정에서 인체의 면역체계가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간세포를 공격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간 손상의 위험이 높다.”며,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간섬유화의 진행상태를 확인하여야 하며, 꾸준한 항바이러스제 치료는 간섬유화 및 간경변증으로의 진행을 늦추고, 간암 발생의 위험을 줄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지난 2013년 란셋(Lancet) 지에 게재된 테노포비르(제품명 비리어드)의 제3상 임상연구(102, 103 연구)의 하위 분석 결과에 따르면, 테노포비르 치료를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기저시점과 치료 5년 차에 간 생검을 시행한 결과 간섬유화 및 간경변증 개선 효과가 나타났다.
즉 테노포비르 치료군 중 간 생검을 실시한 환자(N=348)의 96%의 경우 간섬유화가 더 이상 악화되지 않거나 조직학적으로 개선되었으며, 기저시점에 간경변증(Ishak score 5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던 환자의 74%(N=71/96)의 경우 5년 간의 치료 후 간섬유화 지표가 감소했다(Ishak score 5점 미만).
길리어드사이언스코리아 의학부 반준우 전무는 “과거에는 만성 B형 간염의 조직손상으로 인한 섬유화가 진행된 경우 이를 되돌릴 수 없다는 것이 교과서적인 의견이었으나, 최근 효과적인 항바이러스제 치료를 통한 손상된 간의 조직학적 개선 효과를 입증하는 대규모 연구 결과들이 발표되었다.”며, “길리어드는 간 조직 손상의 진행단계 및 증상의 개선양상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헤파토스콥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임상현장에서 환자들을 치료 및 관리하는 의료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길리어드 헤파토스콥 애플리케이션은 아이패드 앱스토어(App store)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제약 > ▷외자계제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브비 ‘나눔의 날’, 소외 이웃을 위한 전직원 봉사 (0) | 2015.06.03 |
---|---|
메나리니, 풀케어 손발톱건강 캠페인 전개 (0) | 2015.06.03 |
바이엘, MSD 일반의약품 사업부 인수 (0) | 2015.06.03 |
다케다, 베돌리주맙 효능 및 비용효과성 조명 (0) | 2015.06.02 |
세계 최초 당뇨 환자 프로 싸이클팀,대회 출전 (0) | 2015.06.01 |
AZ, 비소세포폐암치료제 'AZD9291' 가능성 확인 (0) | 2015.06.01 |
GSK ‘렐바 엘립타’, 6월 1일부터 보험급여 적용 (0) | 2015.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