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자티딘 제제 위장약도 잠정 판매중지.처방제한
식약처, NDMA조사 결과 13개 품목서 검출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이의경)는 최근 위장약 라니티딘에 대한 조치 이후 유사한 구조의 니자티딘에 대한 조사를 마치고, 원료의약품 전체에 대한 불순물 관리대책과 니자티딘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식약처는 지난 ‘19.9.26.자로 ‘라니티딘’에 대한 NDMA조사결과 발표 이후, ‘라니티딘’과 유사한 화학구조를 가진 ‘니자티딘’ 성분 원료의약품(4종) 전체 제조번호 및 사용 완제의약품을 수거하여 검사하였다.
그 결과, ‘니자티딘’ 원료의약품 일부 제조번호에서 NDMA가 잠정관리기준(0.32ppm)을 미량 초과하여 검출되었으며, 니자티딘 1일 최대 복용량(300mg)을 평생 복용하는 것을 전제로, 국제의약품규제조화위원회 가이드라인(ICH M7)과 중앙약사심의위원회의 전문가 자문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설정했다.
이에 식약처는 해당 기준초과 제조번호 원료를 사용한 완제의약품 전체에 대한 수거 검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 완제의약품 13개 품목에서 NDMA가 미량 초과 검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식약처는 잠정 관리기준을 초과한 니자티딘 완제의약품 13개 품목에 대하여 잠정적으로 제조·판매 중지 및 회수 조치하고, 처방을 제한하도록 조치하였다.
니자티딘의 NDMA 검출량 및 복용환자수는 종전 발사르탄(최대검출량 112.1ppm, 36만명) 및 라니티딘(최대검출량 53.5ppm, 144만명) 보다 낮은 최대검출량 1.43ppm, 복용환자 2만2천명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최대검출량 기준으로 발사르탄의 1/78, 라니티딘의 1/37 수준에 해당한다.
식약처는 원료의약품 불순물 관리대책으로, 합성 원료의약품 전체에 대해 원료 제조·수입업체 및 완제의약품 제조·수입업체에서 자체적으로 NDMA 등 불순물 발생가능성에 대한 평가 및 시험을 실시하고, 발생가능성 평가결과는 2020년 5월까지, 시험결과는 2021년 5월까지 식약처에 보고토록 지시하였으며 업체 지시와는 별개로 식약처 차원의 각종 원료의약품 안전관리 강화 방안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아울러, 시중 유통 ‘니자티딘’ 원료의약품 및 완제의약품을 수거·검사한 결과, 일부에서 NDMA가 잠정관리기준을 미량 초과하여 검출되었다.
니자티딘은 위산과다, 속쓰림, 위궤양, 역류성식도염 등 치료약에 사용하는 성분으로 국내‧외 4개 제조소에서 만든 4종의 니자티딘 원료의약품이 있다.
이에 따라 식약처는 NDMA가 잠정관리기준을 미량 초과하여 검출된 완제의약품 13품목에 대해 잠정적으로 제조 및 판매를 중지하고, 처방을 제한하도록 조치하였다.
이번 조치는 시중 유통 원료와 사용 완제의약품 전체에 대하여 시험을 실시하고 선제적, 예방적 차원에서 조치하는 것이며, 동 결과를 외국 규제기관과도 공유할 예정이다.
한편 식약처는 작년 발사르탄 및 최근 라니티딘·니자티딘과 같은 합성 원료의약품에서 NDMA 등 불순물이 검출됨에 따라, 합성 원료의약품 전체에 대한 NDMA 등 불순물 검출 여부에 대한 조사를 업체 자체적으로 실시하도록 지시하였다
또 상기 발생가능성 평가 및 시험검사를 업체 자체적으로 실시하고, 그 요약 결과를 발생가능성 평가는 ‘20년 5월까지, 시험검사는 ’21년 5월까지 식약처에 공문으로 보고토록 하였다.
식약처는 업체 자체조사 지시와는 별도로 식약처 차원의 원료의약품 안전관리 강화 방안을 지속 추진할 예정이다.
식약처는 전문가들로 구성된 ‘라니티딘 중 NDMA 발생원인 조사위원회’를 통해 니자티딘에서의 NDMA 생성원인에 대해서도 보다 정확한 원인을 분석할 계획이다.
이와관련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병‧의원, 약국에서 잠정 판매중지 된 의약품이 처방‧조제되지 않도록 조치하였다고 밝혔다.
해당 의약품을 복용 중인 환자 수는 총 2만2천명(22,482명, 21일 기준)이며, 해당 의약품 처방 의료기관은 1,197개소, 조제 약국은 2,162개소로 집계됐다.
지난 22일 00시부터 해당 의약품이 병‧의원, 약국에서 처방‧조제되지 않도록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의약품안전사용정보시스템(DUR)을 통해 처방・조제를 차단하고, 건강보험 급여 적용도 정지하였다.
한편 환자의 경우 상담을 통해 위궤양치료제 등의 복용이 필요한 경우 문제의약품에 한해 병‧의원에서 재처방을 받은 후 약국에서 재조제가 가능하며, 기존에 처방을 받은 병ㆍ의원 또는 약국에서 의약품의 재처방ㆍ재조제시 1회에 한해 환자 본인이 부담해야하는 본인부담금이 발생하지 않는다.
아울러, 조치대상 의약품 중 의사의 처방 없이 약국에서 직접 구입이 가능한 일반의약품도 약국을 방문하여 교환 또는 환불 받을 수 있다.
한편 정부는 제약사가 현재 유통 중인 해당 의약품을 원활하게 회수할 수 있도록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약품관리종합정보센터)으로 보고된 의약품 유통정보를 해당 제약사에 제공할 예정 이다.
또한, 해당 의약품을 구매한 도매업체, 의료기관, 약국에도 의약품 공급내역 정보를 제공하여 회수 및 반품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연번 구분 제품명 업체명 1 전문의약품 니자액스정 150 밀리그램 (니자티딘 ) 화이트생명과학 2 전문의약품 니잔트캡슐 (니자티딘 ) 에이프로젠제약 3 전문의약품 니지시드캡슐 150mg(니자티딘 ) 대우제약 4 전문의약품 셀자틴정 (니자티딘 ) 텔콘알에프제약 5 전문의약품 위자티딘정 150 밀리그램 (니자티딘 ) 우리들제약 6 일반의약품 자니티딘정 75 밀리그램 (니자티딘 ) 알보젠코리아 7 일반의약품 자니틴정 (니자티딘 ) 경동제약 8 전문의약품 자니틴정 150 밀리그램 (니자티딘 ) 경동제약 9 전문의약품 자니틴캡슐 150 밀리그램 (니자티딘 ) 경동제약 10 일반의약품 틴자정 (니자티딘 ) 씨트리 11 전문의약품 틴자정 150 밀리그램 (니자티딘 ) 씨트리 12 일반의약품 프로틴정 (니자티딘 ) 바이넥스 13 전문의약품 휴자틴정 150mg(니자티딘 ) 휴비스트제약
'◆의약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평원,2019년 정부혁신 우수사례 경진대회동상 (0) | 2019.11.25 |
---|---|
심사평가원, 다문화 가정 의료권익 보호에 앞장서 (0) | 2019.11.25 |
심사평가원, 지역 아동·청소년 겨울의류 후원 (0) | 2019.11.22 |
심평원, 건보공단 지역사회에 건강보험 연구지식 확산 (0) | 2019.11.20 |
심사평가원 의정부지원, 지역의 청년인재 적극지원 (0) | 2019.11.20 |
심평원 의정부지원, 현장중심 찾아가는 서비스 (0) | 2019.11.20 |
심사평가원, ‘심기일전’ 인권주간 행사 개최 (0) | 2019.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