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케다제약, 유럽당뇨병학회서 네시나 신규 데이터 발표
hsCRP-제2형 당뇨환자 2차 심혈관계 사건 발생 연관성 발견
한국다케다제약(대표 마헨더 나야크, 이하 “다케다제약”)은 지난 9월 11일부터 15일까지 포르투갈 리스본에서 열린 유럽당뇨병학회(EASD) 제 53회 연례 학술대회에서 네시나 (성분명: 알로글립틴) 관련 총 4건의 초록이 발표됐다고 밝혔다.
여기에는 네시나의 3상 임상연구인 EXAMINE (EXamination of CArdiovascular OutcoMes: AlogliptIN vs. Standard of CarE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and Acute Coronary Syndrome) 의 사후(post-hoc) 분석 결과가 포함돼 있다.
이번 사후 분석은 제 2형 당뇨병 환자 중 최근 심혈관계 사건을 경험한 환자의 심혈관계 관련 사망, 비치명적 심근경색, 뇌졸중의 주요 심혈관계 이벤트(MACE)가 베이스라인 hsCRP(고감도 C-반응성 단백)의 수치와 관계가 있는지 평가했다. hsCRP 는 심혈관계 질환 발병 가능성에 대해 예측할 수 있는 독립적인 표지자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 결과는 학회 기간 중 12일에 진행된 ‘심혈관계 사망과 관련한 바이오마커’ 세션의 포스터 발표를 통해 발표됐다
이번 분석 결과를 보면 베이스라인에서 hsCRP가 더 높은 환자가 혈압, 공복 혈당, 당화혈색소 및 LDL 콜레스테롤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0개월의 추적조사 기간 동안 주요 심혈관계 사건의 누적비율은 베이스라인에서 hsCRP가 1 mg/l 미만인 환자가 11.5%(119건), 1~3 mg/l인 환자는 14.6%(209건)이었으며, 3 mg/l을 초과한 환자는 18.4%(287건)으로 hsCRP가 높은 환자일수록 심혈관계 사건의 누적비율이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01).
베이스라인에서 hsCRP가 3 mg/l를 초과한 환자는 1mg/l미만인 환자와 비교해 추후 주요 심혈관계 사건, 비치명적 심근경색, 심부전으로 인한 입원 및 각종 원인으로 인한 사망과 각각 개별적인 연관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심혈관계 사건 발생 비율은 LDL 콜레스테롤 수치와 hsCRP가 모두 낮은 환자에서 11.0%(128건), LDL 콜레스테롤은 낮지만 hsCRP가 높은 환자는 14.4%(100건), LDL 콜레스테롤은 높지만 hsCRP가 낮은 환자는 15.6%(194건), 두 수치 모두 높은 환자는 21.3%(182건)였다 (P<0.001).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제 2형 당뇨병 환자 중 최근 급성관상동맥증후군(ACS)을 겪은 환자의 hsCRP가 2차 심혈관계 사건 발생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러한 관련성은 LDL 콜레스테롤 수치와는 별개인 독립적 효과로, 또는 부가적 효과로도 나타났다.
본 연구의 주 저자인 강동경희대병원 황유철 교수는 "제 2형 당뇨병 환자에게서 심혈관질환은 주요 사망 원인이다. 네시나 EXAMINE 연구의 사후 분석에서 hsCRP 가 심혈관질환 재발의 독립적인 예측 인자이며, 스타틴 치료를 통해 저밀도 콜레스테롤을 70 mg/dl 미만으로 충분히 낮춘 경우에서도 hsCRP 측정을 통해 주요 심혈관계 질환 이벤트 (MACE)의 재발을 예측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며, "이러한 결과는 제2형 당뇨병, 특히 중증 심혈관계질환인 급성관상동맥증후군 환자의 예후 및 치료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제약 > ▷외자계제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4가 독감백신 개발, 온가족 예방접종으로 예방률 높아져 (0) | 2017.09.27 |
---|---|
프라닥사 이중요법, 와파린 삼중요법 대비 출혈율 낮춰 (0) | 2017.09.27 |
옵디보와 여보이 병용요법, 수니티닙 대비 우월한 전체생존율 (0) | 2017.09.26 |
화이자, ‘챕스틱 투스텝 케어’출시 (0) | 2017.09.25 |
13가 단백접합백신, 19A 혈청형원인 침습성 질환 예방. 보균율 감소 (0) | 2017.09.23 |
박스터, ‘2017 마취의학 전문가 포럼’ 개최 (0) | 2017.09.23 |
화이자제약, 희귀질환치료제 빈다켈 장기 임상연구 결과분석 (0) | 2017.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