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ST, 만성 판상 건선 치료제 ‘DMB-3115’ 미 FDA임상 3상
순차적으로 유럽 9개국에서 임상 3상 시험계획 신청 예정
동아에스티(대표이사 회장 엄대식)는 지난 24일 미 FDA로부터 만성 판상 건선 치료제로 개발 중인 'DMB-3115’의 임상 3상을 승인받았다고 25일 밝혔다.
DMB-3115는 얀센이 개발한 ‘스텔라라(우스테키누맙, Ustekinumab)’의 바이오시밀러다. 스텔라라는 면역 매개 물질 인터루킨(IL)-12와 인터루킨(IL)-23의 p40 subunit을 차단함으로써, 염증세포의 활성화를 억제하는 바이오의약품이다. 판상 건선과 건선성 관절염, 크론병 및 궤양성 대장염과 같은 염증성 질환의 치료제다. 스텔라라는 2019년 IQVIA Data기준 7조원의 매출을 기록한 블록버스터 제품이다.
동아쏘시오홀딩스와 메이지세이카파마는 지난 2013년부터 DMB-3115의 공동 개발을 추진해 왔다. 지난해 7월 효율적인 글로벌 프로젝트 수행을 위해 동아에스티로 개발 및 상업화에 대한 권리가 이전되어 현재는 동아에스티와 메이지세이카파마가 공동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DMB-3115는 2018년 유럽 및 국내에서 전임상이 완료됐으며, 2019년 11월부터 유럽에서 건강한 성인 대상으로 DMB-3115와 스텔라라의 약동학적 특성을 비교 평가하기 위한 임상 1상이 진행 중이다.
이번 글로벌 임상 3상은 동아쏘시오홀딩스 계열사인 디엠바이오에서 생산한 임상시료를 사용해 중등도에서 중증의 만성 판상 건선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하며, DMB-3115와 스텔라라 피하주사의 유효성, 안전성, 면역원성을 비교하기 위해서 무작위 배정, 이중 눈가림, 다기관, 평행 비교, 활성 대조 시험으로 진행된다.
동아에스티는 1분기 내 미국 임상 3상을 개시하고, 순차적으로 유럽 9개국에서 임상 3상 시험계획을 신청할 예정이다. 글로벌 시장을 조기 선점하기 위해 임상 완료 후 스텔라라의 미국과 유럽에서 물질특허가 만료되는 2023년 9월과 2024년 7월에 출시할 계획이다.
동아에스티 관계자는 “DMB-3115의 글로벌 3상 임상을 성공적으로 끝마쳐 우수한 품질과 경제성을 두루 갖춘 바이오의약품을 전 세계에 공급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제약 > ▷국내제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동제약, 지난해 해외사업 ‘성과’…전년比 59% 증가 (0) | 2021.01.25 |
---|---|
현대약품, 프로바이오틱스 ‘바기메드’ 출시 (0) | 2021.01.25 |
대웅제약 ‘호이스타정’, 타미플루처럼 코로나 예방 최초 경구제 개발 (0) | 2021.01.25 |
GC녹십자, 세계 최초 중증형 헌터증후군 치료제 허가 (0) | 2021.01.25 |
유나이티드제약, ‘아트로맥콤비젤 연질캡슐’, 국내 최초 개발 (0) | 2021.01.22 |
GC녹십자, 세계 최초 중증형 헌터증후군 치료제 허가 (0) | 2021.01.22 |
한독, 여드름 치료제 ‘클리어틴’, 여신강림 지원 (0) | 2021.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