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약류통합시스템, 주민번호 없는 투약정보 43만건
최도자 의원, 마약법 11조 위반, 재발방지 대책마련 해야
지난 8월 15일부터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이 운영되고 있으나, 시행 3개월 동안 주민번호 없는 투약정보가 43만건이나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바른미래당 간사인 최도자 의원은 8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 운영현황 자료를 받아, “주민번호 없는 투약정보는 마약류관리에 관한 법률 제11조를 위반한 것”이라며 “재발방지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최도자 의원이 받은 자료에 따르면, 식약처가 운영하는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은 시행 3개월간 총 2,283만건의 취급보고를 하였으며, 매일 1만 5천여명의 보고자가 약 43만건의 보고를 입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환자에게 마약류가 처방된 정보는 3개월간 19,927,819건으로 그 중 환자의 이름이나 주민번호 등의 식별번호가 제대로 보고되고 있는 사례는 19,501,437건 이었다. 그 중 “1111111111111” 등 무의미한 번호로 넣는 경우 등 주민등록 및 외국인등록 번호의 규칙에 적합하지 않은 식별번호를 입력하거나 정보 일부가 누락된 사례는 426,382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도자 의원은 “올해 연말까지는 시스템 정착을 위한 계도기간임을 감안해도 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의무입력 정보가 누락된 사례가 너무 많다”고 지적하며, “병․의원의 의도적인 허위․조작이나 반복적인 누락은 없는지 식약처가 철저히 감독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의약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르신 대상포진 환자, 국가적 지원대책 필요 (0) | 2018.10.10 |
---|---|
심사평가원 광주지원, 병원 ‘현장 컨설팅’ 처음 도입 (0) | 2018.10.10 |
2020년 항바이러스제 비축량 1/3 부족발생 (0) | 2018.10.10 |
심평원대전지원, 잠자는 진료비 33억7천만원 찾아줘 (0) | 2018.10.05 |
건보공단, 인니 건보공단 직원 실무연수 (0) | 2018.10.05 |
건보공단, 건보의료이용 지도 구축 연구 심포지엄 (0) | 2018.10.04 |
60세 이상 여성 갱년기질환자 크게 늘었다 (0) | 2018.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