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모더나, 국제에이즈백신이니셔티브(IAVI)와 협력
세균성 및 바이러스성 감염 예방, 치료 노력
mRNA 치료제 및 백신 분야 선도 바이오테크 기업 모더나는 7일 비영리 과학 연구 단체 국제에이즈백신이니셔티브(IAVI)와 전세계적인 공중보건 위협을 해결하기 위해 mRNA 기술을 사용하는 파트너십을 맺었다고 발표했다.
2020년 한 해에만 HIV/AIDS, 결핵, 항생제 내성 세균성 장염, 코로나19와 같은 질병에 감염된 환자 수가 최소 9,500만 명이며, 사망자 수는 400만 명 이상으로 추정된다.
이번 협업은 모더나의 mRNA 플랫폼 기술력과 IAVI의 연구 개발 전문성을 결합해 해당 감염성 질환의 유병율이 높은 저소득 국가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백신과 항체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모더나 CEO 스테판 방셀은 “IAVI와 협력을 통해 mRNA우수한 기술을 널리 활용하고, 세계 공중보건 개선과 다양한 질병을 예방하는데 공헌할 수 있다는 사실을 기쁘게 생각한다”며, “속도, 규모, 유연성을 모두 갖춘 모더나의 mRNA 플랫폼은 현재와 미래의 신종 병원균에 대응하기에 최적화되어 있다.”고 말했다.
또한 “모더나의 mRNA 기술력과 IAVI의 연구 및 개발 전문성을 결합해 세계 공중보건 위협들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고 덧붙였다.
IAVI의 CEO 마크 파인버그는 "설립된 이래 지난 25년 동안 IAVI는 공중보건 개선을 위해 우리의 과학적 발견을 보다 많은 인류가 이용할 수 있는 솔루션으로 전환하는 데 힘써왔다”며 “모더나의 혁신적인 mRNA 플랫폼은 가장 어려운 공중보건 문제의 해결을 가속화할 수 있는 백신과 항체 후보들을 빠르게 생산하는 열쇠가 될 수 있다.”고 전했다.
또한 “IAVI와 모더나의 파트너십은 상호 보완적인 전문성과 공동의 목표를 가진 두 기관이 긴급한 글로벌 공중 보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협업을 하는 특별한 사례”라고 강조했다.
mRNA 기술은 기존의 재조합 단백질 합성이나 세포 시스템에 비하여 더 빠르게 임상 시험을 위한 재료를 생산할 수 있다.
양사는 이러한 생산 속도의 이점을 활용해 연구 개발 속도를 높일 수 있기를 바라고 있다. 제품이 효과적이고 안전한 것으로 입증되면 신속하게 대량 제조가 가능하다.
반응형
'◆제약 > ▷외자계제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릴리, ‘릴리랄라 걷기 챌린지’ 진행 (0) | 2022.04.12 |
---|---|
BMS·화이자, 엘리퀴스 출혈 안전성 조명 (0) | 2022.04.12 |
MSD, 대한내분비학회 춘계학술대회서 특별 심포지엄 (0) | 2022.04.12 |
한국로슈-굿피플,‘힐링투게더’ 5기 참가자 모집 (0) | 2022.04.11 |
암젠 ‘루마크라’, 임상 연구2년 분석 결과 발표 (0) | 2022.04.11 |
오가논 프로페시아, CI 적용한 새로운 패키지 (0) | 2022.04.11 |
바이엘 아순덱시안, 심방세동 환자 대상 (0) | 2022.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