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노, VUNO Med®-DeepECG 관련 신기술 국내 특허
정상 심전도 신호 속 숨은 부정맥 위험 알려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뷰노(대표 이예하)가 AI 기반 심전도 분석 소프트웨어 VUNO Med®-DeepECG®(이하 DeepECG) 관련 신기술인 ‘심전도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국내 특허가 등록 결정됐다고 20일 밝혔다.
이번에 등록된 뷰노 특허 기술은 정상 신호에 숨어있는 부정맥의 위험성을 알려주는 딥러닝 알고리즘이다. 특정 시점의 심전도를 측정했을 때 심방 세동이나 심방 조동이 관찰되지 않더라도 과거 심방 세동이나 심방 조동이 발생했을 가능성과 미래의 발생 가능성을 탐지한다.
심방 세동과 심방 조동은 심방에서 발생하는 부정맥으로, 초기에는 간헐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병원에서 일회성 심전도 측정으로는 정확한 탐지가 어려울 수 있다.
홀터(Holter)검사나 패치(Patch)형 장치를 통해 장시간 심전도 측정이 가능하나 이 같은 방법은 짧게는 하루, 길게는 2주간 연속적인 측정을 해야 하고 피부에 장시간 부착한 상태로 생활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뷰노의 기존 딥러닝 모델을 고도화해 개발한 이번 특허 기술을 활용하면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해당 기술은 심전도 신호를 분석해 심방 세동이나 심방 조동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그 결과를 출력한다. 만약 해당 부정맥이 발생하지 않았다면, 과거에 발생하여 모르고 지나갔거나 미래에 발생할 가능성을 출력한다.
이예하 뷰노 대표는 “특허로 등록된 이번 기술은 현재 연구 개발 중인 DeepECG 솔루션의 후속 버전에 탑재될 예정”이라며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일상에서도 개인이 심혈관질환을 모니터링하고 적시에 치료받을 수 있도록 돕는 뷰노 솔루션을 개발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뷰노 DeepECG 솔루션의 세부 모델로 VUNO Med®-DeepECG® AMI(AI기반 급성심근경색 선별 소프트웨어)와 VUNO Med®-DeepECG® LVSD(AI기반 좌심실수축기능부전 선별 소프트웨어), VUNO Med®-DeepECG® Hyperkalemia(AI기반 고칼륨혈증 선별 소프트웨어)가 지난해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를 획득한 바 있다.
'◆의료/병원/바이오벤처 > ◁바이오벤처,의료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엔젠바이오, 폴란드 암 센터 향 제품 공급 수주 (0) | 2025.01.22 |
---|---|
초음파 리프팅 기기 울쎄라, 전세계 300만회 시술 (0) | 2025.01.21 |
큐라클, “CP01-R01 반려견 만성신장질환 임상3상 계획 승인” (0) | 2025.01.20 |
티씨노바이오사이언스, 'TXN10128' FDA 희귀의약품 지정 (0) | 2025.01.17 |
지씨셀,이뮨셀엘씨주 9년 연장 추적결과 발표 (0) | 2025.01.16 |
딥바이오, 혁신의료기기 재인증 성공 (0) | 2025.01.16 |
바디텍메드, 중국 오토바이오와 MOU (0) | 2025.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