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사/의약품유통/▷약사, 약사회,약대,약국,학회

서울시약, 화상투약기 품목확대 즉각 철회 촉구

jean pierre 2025. 3. 31. 08:07
반응형

서울시약, 화상투약기 품목확대 즉각 철회 촉구

추가성분 중에 위험한약 많아..특정기업 이익 우선 정책

 

화상투약기 품목 확대와 관련 서울시약사회는 성명을 내고 즉각 철회를 촉구했다.

시약사회는 "화상투약기 취급품목 확대로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고려해야 하는 의약품까지 기계를 통해 판매되는 위험한 상황이 초래되었으며, 이번 조치가 공중보건 체계를 심각하게 훼손하고, 약사의 전문성을 약화시키며, 국민의 복약 안전성을 현저히 저하시킬 것"이라고 우려했다.

서울시약사회는 이번 정부의 조치와 관련, 지난 2년간 시범사업을 했으나 설치한 곳이 9곳에 불과했으며, 이는 사업자체의 효과를 1차적으로 검증한 것으로 실용성이 부족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므로, 이번 조치는▲기업 이익을 위한 졸속 행정, 국민 건강은 뒷전인 정책이라고 비난했다.

또 약사법에는 약국외 장소에서 의약품 판매를 금지하고 있음에도 규제 샌드박스를 빌미로 기존 법 체계를 무시한데 이어 추가 규제완화까지 염두에 두고 있다고 지적하고, 나아가 약사법이 요구하는 ‘직접 복약상담’의 법적 취지를 심각하게 훼손하여 환자의 연령, 질환 이력, 병용 약물, 부작용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복약상담을 최소화함으로써 의약품 안전 사용 원칙을 무너뜨리게 된다고 밝혔다.

또한 해당 의약품들이 환자 상태에 따라 면밀하고 신중하게 복용하지 않으면, 심각한 부작용이 유발되는 약이 포함되어 있는데, 화상 투약기로 상담을 하더라도, 대면 상담에서 알 수 없는 환자 건강상태와 약물 오남용과 부작용여부를 파악할 수 없어, 국민의 약물 안전성을 저하시킬 것이라고 우려했다.

서울시약사회는 전반적인 상황을 고려하면 이 정책은 특정 업체의 이익을 국민건강보다 우선시하는 것에 불과하며, 정부가 밝히는, 농어촌지역의 의약품접근성 강화는 공공심야약국 확대및 지역약국 지원 정책등 실질적인 정책마련이 더 효과적이라고 강조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