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국내제약

신약 개발 적절한 약가 보상 필요

jean pierre 2012. 10. 26. 10:51
반응형

신약 개발 적절한 약가 보상 필요

 

29일 "제약강국으로 가는길" 토론회

 

제약 강국으로의 길을 모색해 보는 자리가 마련된다.

 

새누리당 김희국 의원은 29()국회의원회관 소회의실에서 산학연 전문가 및 정관계 인사를 초청한 가운데제약강국으로 가는 길이란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한다.

 

주제발표를 맡은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현병환 박사는 글로벌 제약산업 대비 국내 제약산업은 1.6% 정도의 규모로 매우 낮은 수준이라고 지적하고제약산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신약의 혁신성에 대한 적절한 약가보상시스템 확보로 기업 투자를 유도해야 한다고 주장할 예정이다.

 

토론자로 나선 박만식 상무는 제약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1,000억원 미만 제약사가 90%에 육박하는 영세적인 산업구조를 재편하지 않으면 글로벌 제약사에게 시장을 모두 뺏길 지도 모른다면서 제약산업 구조조정을 건의했다.

 

토론회 사회는 권영근 연세대학교 생명시스템대학 교수가 맡고, 남수연 유한양행 R&D연구센터 상무, 이의경 성균관대학교 약학대학 교수, 안도걸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 국장, 박민식 스틱인베스트먼트 상무, 정윤택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제약선진화팀 팀장 등이 토론자로 나선다.

 

김희국 의원은 제약산업은 전세계적으로 인구고령화에 따라 증가하고 있는 질병의 극복을 위해서 중요한 산업으로 부각되고 있으며, 미래의 성장잠재력 역시 타 산업에 비해서 매우 높은 편이기 때문에 우리나라가 제약강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해서는 부가가치가 높은 신약개발 위주로 현 제약산업이 재편되어 기업들이 신약개발 R&D 투자를 크게 늘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라고 밝혔다.

 

이어서 비록 우리나라 제약산업의 전반적인 기술수준이 선진국 대비 50 ~ 60%대에 머물러 있고 국제경쟁력은 세계 25위로서 아직은 걸음마 단계지만, 자원이 부족하고 우수인재가 많은 우리나라에서 국가 신성장동력으로 추진하기에 적합한 산업분야로서 연구개발에 대한 합리적인 지원과 시행착오를 거쳐서 개발된 신약에 대해서 합리적인 약가결정, 신약개발에 대한 정부지원의 선택과 집중이 이뤄진다면 일자리 창출과 더불어 신약개발을 통한 제약강국으로 가는 길이 멀지 않을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