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사평가원, DUR 고도화 시범사업 8월부터 실시
약물사용 모니터링 시스템 통한 환자 안전 기반마련
|
|
|
|
|
|
|
|
|
|
|
|
|
|
|
|
|
|
약물사용 사후 모니터링 보고 시스템 |
|
|
|
|
|
|
|
|
| ||||||
|
|
|
|
처방(의사) |
|
|
|
|
|
재방문 |
|
|
|
|
|
|
|
|
|
|
| ||||||||||||
|
약물사용 사후 모니터링 보고 |
|
|
|
|
|
대상자 등록 (복용전) |
|
|
|
|
|
모니터링수행 |
|
시스템보고 |
|
|
|
|
|
|
| |||||||||||
|
금기·노인주의의약품 |
|
|
조제(약사) |
|
|
|
|
|
유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알레르기·이상반응 모니터링 보고 시스템 |
|
|
|
|
|
|
|
|
| ||||||
|
|
|
|
처방(의사) |
|
|
|
|
|
|
|
|
|
|
| |
|
|
|
|
| ||||||||||||
|
알레르기·이상반응 모니터링 보고 |
|
|
|
|
|
대상자 등록 (방문) |
|
|
모니터링 수행 |
|
|
시스템 보고 |
|
|
|
|
|
|
|
|
|
|
| |||||||||
|
모든 의약품 |
|
|
조제(약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특정질환 약물투여 안전관리 시스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특정질환 약물투여 안전관리 |
|
|
처방(의사) |
|
|
대상자 등록 (방문) |
|
|
정보기록 |
|
|
시스템 보고 |
|
|
|
|
|
|
|
|
|
|
|
|
| |||||||
|
신·간질환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김승택, 이하 ‘심사평가원’)은 DUR고도화 시범사업을 20개 요양기관을 대상으로 8월 1일(수)부터 시행한다.
이번 시범사업은 2018년 ‘DUR 고도화를 위한 발전방안 연구용역’결과를 바탕으로 약물사용 전후 포괄관리 기반을 마련하고자 추진하게 됐다.
고도화 사업의 주요 내용은 ▲의․약사 추가 안전 활동 시스템 마련 ▲DUR 전산시스템 개선이다.심사평가원은 2008년부터 의약품 안전성과 관련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의사와 약사에게 제공하여 부적절한 약물사용을 사전에 점검하는 DUR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금기 및 노인주의 의약품에 대한 사전 점검 후 처방 및 조제 시점에서 약물 부작용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약물사용 사후 모니터링 보고 시스템을 운영한다.
또한 처방․조제된 의약품에 대한 이상반응을 수집하는 알레르기․이상반응 모니터링과 특정질환(신․간질환) 약물투여 안전관리 보고 시스템을 마련했다.
DUR 시스템 사용자인 의․약사의 요구를 반영하여 DUR 팝업 시 보류기능을 신설했다.
또한 처방관련 문의 전달 및 기록․공유 등 의․약사간 소통지원 시스템 및 개인투약이력 동의절차를 개선했다.
심사평가원은 의약단체협의 및 DUR 점검유형․요양기관 종별․지역 구분 등을 고려하여 총 20기관(상급종합병원 2기관, 종합병원 2기관, 병원 1기관, 의원 4기관, 약국 11기관)을 시범사업 참여기관으로 선정했다.
김미정 DUR관리실장은 “그간 국회 및 의약단체 등에서 제기한 DUR 정보제공 이후의 약물 사후관리 부재에 대한 관리기반을 마련하여 약물사용에 대한 환자 안전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전하며, 시범사업에 참여하는 의․약사들의 적극적인 협조를 부탁했다.
'◆의약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약처, 건기식 기능성평가 가이드 개정발간 (0) | 2019.08.02 |
---|---|
심사평가원, 한림대학교와 업무협약 체결 (0) | 2019.08.02 |
대구첨복재단 세포독성항암주사제제 GMP 인증 (0) | 2019.08.01 |
식약처-건보공단, 업무협약 체결 (0) | 2019.07.31 |
건강보험료 세대당 월 11만 1256원, 혜택은 20만 8888원 (0) | 2019.07.31 |
심사평가원, 6월 진료심사평가위원회 심의사례 공개 (0) | 2019.07.31 |
심평원 창원지원, 대학생 현장실습의 장 마련 (0) | 2019.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