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바늘주사 급여시행기준 재검토 필요
혈액노출 주사기바늘 안전바늘로 전면 교체해야
감염병 예방 및 의료종사자 안전대책의 일환으로 올 하반기 시행 예정인 1회용 안전바늘주사기 급여시행기준에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최도자 의원(국민의당)에 따르면, 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1회용 안전바늘주사기를 응급실과 혈액매개 감염질환 환자 치료에만 사용할 수 있도록 급여화 계획을 검토하고 있지만, 이는 반쪽짜리 대책에 그칠 것이라고 평가했다.
정부는 1회용 주사기 재사용에 따른 혈액매개성 감염질환 집단감염 사태가 사회적으로 큰 파장이 되자, 2016년 11월부터 건강정책심의위원회를 개최하고 감염예방 및 환자안전을 위한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실제 복지부와 심평원은 의료종사자의 안전까지 도모하기 위해 안전주사기 및 안전정맥카테터를 포함한 안전바늘주사기의 급여 여부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동안 의료종사자의 주사바늘 자상사고는 가장 큰 감염질환 발생의 원인으로 지적돼 왔다. 특히 B형간염, C형간염, AIDS, 매독 등 혈액매개 감염질환은 의료비용 증가는 물론 노동력 손실과 사망 위험성까지 문제로 인식되면서 안전대책 마련이 시급히 요구됐다.
하지만, 의료기관에서 주사바늘 자상사고가 발생하면 개인의 부주의나 과실로 돌리거나 정확한 보고 없이 대부분 무마해 왔다. 매년 의료종사자 100명 중 2명 이상이 자상사고를 경험하지만 개인의 책임으로 전가해 왔기 때문에 대책 마련에는 소홀했다
최도자 의원은 “정부 대책은 의료현장에서 혈액매개 질환자 여부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적절한 감염예방 대책이 될 수 없다”며 “혈액이 노출되는 주사기바늘은 모두 안전바늘로 바꿔야 할 것이다”라고 지적했다.
'◆의약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노화산업 중요성 논의 및 체험의 장 열려 (0) | 2017.11.08 |
---|---|
심사평가원 의정부지원 , 구조 및 응급처치교육 실시 (0) | 2017.11.08 |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정책의 성공적 이행 방안 제시 (0) | 2017.11.05 |
임상본부, 아시아 최대규모 임상시험 국제행사 개최 (0) | 2017.10.26 |
100% 비급여 진료한 의료기관 5년간 2배증가 (0) | 2017.10.26 |
심평원 ‘글로벌스탠더드 경영대상’ 5년 연속대상수상 (0) | 2017.10.25 |
피부양자 10명이상 등록 건보 직장가입자 78명 (0) | 2017.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