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병원/바이오벤처

임신 중 요오드 필요량 10% 증가, 일반인 비해 1.6배 이상

jean pierre 2014. 5. 20. 08:19
반응형

임신 중 요오드 필요량 10% 증가, 일반인 비해 1.6배 이상

 

부족 시 태아 신경인지능력발달 장애, 미숙아 위험

 

 

서울대학교병원 김경원교수(내분비내과)16일 그랜드힐튼서울호텔에서 열린 서울국제내분비학술대회 기자간담회에서 임신 중 산모의 갑상선 건강을 지키는 것이 산모나 태아를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고 밝혔다.

 

김경원 교수는 요오드는 해조류나 어패류 등을 통해 섭취할 수 있는 성분으로, 요오드를 이용해 갑상선호르몬을 만들기 때문에 갑상선호르몬의 필수 요소라 할 수 있다. 임신을 하게 되면 태아에게 있어 유일한 요오드 공급원이 산모가 되기 때문에, 임신 전에 비해 산모의 요오드 필요량은 증가한다고 설명했다.

 

한국은 삼 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지형이기 때문에 전통적으로 요오드를 충분히 섭취하는 국가다. 요오드는 해조류에 많이 포함된 것은 물론, 천일염 등에도 포함되어 있어 천일염을 이용해 만든 장류를 통해서도 요오드를 섭취할 수 있다. 한국은 외국에서 권장하는 양보다 더 많은 양의 요오드를 섭취하고 있기 때문에 임신한 경우 별도의 요오드공급은 필요치 않다고 덧붙였다.

 

또한, 김 교수는 요오드가 부족할 경우 산모가 갑상선기능저하증을 겪을 수 있는데, 임신 중 명백한 갑상선기능저하증은 태아의 신경인지능력 발달에 부정적 영향을 주기 때문에 반드시 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구결과, 명백한 갑상선기능저하증은 임신합병증의 증가와 관련성이 있다고 일관되게 나타났다. , 미숙아로 태어날 위험이 증가하거나, 저체중아 출산 및 유산을 경험할 수 있다.

 

따라서 태아 및 산모의 건강을 위해 갑상선기능을 적절하게 유지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한편, 요오드가 지나치게 과다 섭취되었을 경우에도 갑상선 기능에 이상이 생길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김 교수는 우리나라는 요오드 섭취량이 많은 편이지만 과다섭취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질환들에 대한 인지가 부족한 상황이다. 요오드 섭취와 갑상선 질환에 대해서는 여전히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