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올바이오, 차세대 신약개발 우수 인재 육성 앞장
약학 전공자 제약·바이오 업계 차세대 리더 발굴
![](https://blog.kakaocdn.net/dn/dsTa2r/btspoktIZmj/t5IeqoyCtKaZIUOG3vkE10/img.jpg)
한올바이오파마(공동대표 정승원, 박수진)가 차세대 신약개발 인재 육성에 나선다. 자체 심화 학습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전문 교육을 제공하고, 현장 학습 기회 제공으로 제약·바이오 업계 진출을 독려하는 등 핵심 우수 인재 확보에 적극적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의 ‘산업기술인력 수급실태조사’에 따르면 2021년 바이오헬스, 자동차, 철강, 반도체, 조선 등 12대 주력 산업 기술인력은 168만1천423명으로 2019년 대비 1.4% 증가하며 회복세를 보였지만 부족 인원은 전년 대비 3.3% 늘어나 지속적인 인력 부족 상태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바이오헬스 산업의 부족 인력 비율은 3.4%로 소프트웨어 산업 4.0%에 이어 화학 산업과 함께 공동으로 인력부족산업 2위를 차지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발표한 ‘바이오헬스 인재양성 방안’에 의하면 바이오헬스 분야는 지속적인 산업 발전으로 향후 2027년까지 약 10.87만 명의 추가 인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하지만 관련 직업계고·대학(원) 졸업생 중 바이오헬스 산업에 진출하는 예상 5년간 인력은 약 3.4만 명에 불가해 향후 인재 영입을 위한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정부는 ‘바이오경제 2.0 원탁회의’를 통해 2030년까지 바이오경제 생산 규모 100조원, 수출 규모 500억달러 달성을 목표로 바이오 산업을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우선 2030년까지 바이오의약품 분야에서 15조원의 민간 투자를 지원하기로 했으며, 인력 양성을 위해서는 대규모 생산공정 실습시설 구축, 산학융합형 교육확대 등을 추진한다.
이 외에도 기관들의 바이오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다양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KBIOHealth, 이하 재단)은 2025년까지 완공을 목표로 한 ‘바이오의약품생산 전문인력양성센터’로 연간 800~1000명의 교육생을 배출할 계획이다.
이러한 상황 속 한올바이오파마(이하 한올)는 바이오헬스 미래 인재 육성을 위해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지난해부터는 약학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한 ‘약대생 아이디어 공모전’을 개최하여 전문 인력들의 업계 진출을 독려하고 있다.
약대생들을 대상으로 한 한올의 아이디어 공모전은 상금이 아닌 미국 바이오클러스터 투어, 학술 심포지엄 참여 기회 등 다양한 진로를 접해볼 수 있는 ‘경험’ 기반의 수상 혜택을 내세운 것이 특징으로 지난해 총 19팀(38명)의 참가자들을 모으며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지난 6월에는 대상을 수상한 ‘한땀팀(영남대학교 송해린, 신지현 학생)’과 함께 5박 7일 간 한올의 미국 오피스가 위치한 록빌 지역을 비롯해 하버드 의과대학교, 메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의 랩을 방문했다.
또한 뉴론(NurrOn Pharmaceuticals), 인테론(Interon Laboratories, Inc) 등 보스턴에 위치한 글로벌 바이오 기업 종사자들과의 만남을 통해 신약개발 과정과 관련 직무를 탐색하는 시간을 가졌다.
링크드인을 활용한 인력모집 및 구직활동 사례가 늘어남에 따라 참여자 대상의 링크드인 채널도 운영 중이다. 올 하반기에는 제2회 아이디어 공모전을 개최할 예정이다.
향후에는 공모전 참가 자격을 약학을 비롯해 의학, 생명공학 등 신약개발 연관 전공자로 확대하는 등 잠재 업계 종사자들과의 접점을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인도네시아의 의사들을 대상으로 신약개발 전반에 걸친 직무를 경험할 수 있는 R&D 맞춤형 연수 프로그램인 ‘제약 산업 펠로우십(Pharmaceutical Industry Fellowship Program)’을 운영하고 있다.
참여자들은 총 2년에 걸쳐 대웅그룹에서 진행하는 임상 개발 및 프로젝트 관리, 임상 운영 및 인허가, 전임상/CMC, 사업개발 등 4가지 신약개발 사업에 참여해 실무 경험을 쌓을 수 있다.
지난 해 두 명의 인도네시아 의사를 선발한데 이어 올해는 12명을 추가 모집했으며 올 9월부터 본격화될 예정이다.
한올바이오파마 관계자는 “한올바이오파마는 미래 경쟁력의 가장 중요한 원천을 인재 육성으로 삼고 아끼지 않는 투자를 하는 기업으로서 국내외 핵심 인재 발굴 및 육성을 통해 R&D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며 “현재 운영 중인 자체 교육 프로그램을 점진 확대 운영해 업계 내 전문 인력 유입을 늘리고, 우수 인재들이 찾아오는 글로벌 바이오 신약 개발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말했다.
반응형
'◆제약 > ▷국내제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한양행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0) | 2023.08.01 |
---|---|
보령컨슈머헬스케어, ‘코엔자임 Q10 맥스’ 출시 (0) | 2023.08.01 |
대웅제약 파트너사 에볼루스,매출 1억9500만 달러로 상향 (0) | 2023.08.01 |
동아에스티, 스위스 바젤투자청 KPBMA 맞춤형 프로그램 가입 (0) | 2023.08.01 |
대웅제약 건강몰, ‘에너씨슬 퍼펙트샷’ 30만병 판매 (0) | 2023.08.01 |
GC녹십자, 혈액제제 ‘GC5107B’ 미국 FDA 본격 허가심사 돌입 (0) | 2023.08.01 |
동아에스티, 2분기 매출 1,541억원 (0) | 2023.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