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DF 자가면역질환 과제, 5천억원 규모 글로벌 기술이전
한올바이오파마, 스위스에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단장 묵현상, 이하 사업단)은 범부처전주기신약개발사업을 통해 지원한 한올바이오파마㈜(대표 박승국, 윤재춘, 이하 한올)의 ‘신규 작용기전의 중증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항체 개발’ 과제가 스위스 로이반트 사이언스(Roivant Sciences)*에 기술이전 됐다고 20일(수) 밝혔다.
한올의 HL161BKN 자가면역질환 치료 항체 기술은 지난 2012년 6월과 2014년 10월, 범부처전주기신약개발사업의 과제*로 선정되어 각각 8억 원, 24억 원의 정부출연금을 지원 받은 바 있다.
이번 기술이전은 국내에서 개발된 신규 타겟(Novel Target) 혁신 신약 중 첫 번째 대규모 기술수출 사례로, 한올은 계약 체결을 통해 로이반트 사이언스사가 HL161BKN 자가면역질환 치료 항체 기술을 북미, 중남미, 유럽연합(EU), 영국, 스위스, 중동, 북아프리카 지역에서 독점 생산, 판매에 독점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했다.
계약에 따라 한올은 로이반트 사이언스로부터 3천만 달러(약 325억원)의 계약금과 5년에 걸쳐 분할 수령 예정인 연구비 2천만 달러(약 217억원), 단계별 마일스톤 4억5천250만 달러(약 4천600억원) 등 총 5억250만 달러(약 5천452억원)의 정액기술료와 매출에 따른 경상기술료(로열티)를 지급 받게 된다.
한올의 HL161BKN은 자기 신체를 공격하여 자가면역질환을 일으키는 병원성 자가항체(Pathogenic Autoantibody)를 분해시켜 제거하는 새로운 작용 기전의 First-in-Class 항체신약으로 지난 9월, 중국 기업 하버바이오메드(HarbourBioMed)에 HL161BKN 항체신약 포함 8,100만 달러(약 910억원) 규모 기술이전 성과를 낸 바 있다.
묵현상 단장은 “사업단이 지원한 한올바이오파마 과제의 괄목할만한 기술이전 성과를 알리게 되어 기쁘게 생각한다”며, “사업단의 전문적인 과제 선정 및 지원을 통해 성숙된 과제들이 가시적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보다 적극적인 노력을 펼치겠다”고 밝혔다.
한편, 사업단은 2011년 9월 출범 이후 지난 6년 간, 지원과제 23건의 국내외 기술이전을 성공적으로 이끌며 정액 기술이전료로만 약 4.5조 원의 기술이전액을 달성하는 등 국가 R&D 지원 사업에서의 상업화 성공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의약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사평가원, 2018년도 환자분류체계 공개 (0) | 2017.12.27 |
---|---|
광주‧전남 한방병원 부적정 청구행태 드러나 (0) | 2017.12.26 |
심평원대구지원, 대구·경북 의약계와 현장소통의 장 (0) | 2017.12.22 |
HIRA시스템 해외진출, 바레인 다음은 이란 (0) | 2017.12.19 |
초고령화시대 약사·약국 역할 모색 (0) | 2017.12.19 |
최도자 의원, ‘안전’상비의약품 명칭 변경 발의 (0) | 2017.12.15 |
2017년 보건의료기술진흥 유공자 정부포상 시상식 (0) | 2017.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