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D 키트루다, 비소세포폐암 2차 이상 치료에 보험 급여
한국 MSD(대표 아비 벤쇼산)는 자사의 항 PD-1 면역항암제 ‘키트루다’(성분명: 펨브롤리주맙)가 보건복지부 국민건강보험 ‘요양급여의 적용기준 및 방법에 관한 세부사항 고시’에 따라 오는 8월 21일부터 백금 기반 항암화학요법 치료 도중 또는 이후 질병의 진행이 확인된 국내 비소세포폐암 환자 중 PD-L1 발현이 양성(발현 비율≥50%)인 환자의 치료제로 건강 보험 급여가 적용된다고 밝혔다.
급여 적용 대상은 백금 기반 항암화학요법 치료 도중 또는 이후에 질병의 진행이 확인된 국내 비소세포폐암 환자 중 PD-L1 발현이 양성(발현 비율≥50%)인 환자로, 고식적(palliative) 요법 2차 이상인 경우에 한해 적용된다. (단, EGFR 또는 ALK 변이가 확인된 환자는 이러한 변이에 승인된 치료제를 투여한 후에도 질병의 진행이 확인된 경우)
PD-L1 발현 여부는 PD-L1 IHC 22C3 PharmDx 동반진단검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3주에 1회 30분 동안 약 2 mg/kg (백금 기반 항암화학요법에 실패한 경우)을 정맥으로 점적 주입한다. 이번 급여 적용 시 환자 부담금은 약제 상한 금액의 5%로 14만 3천원 또는 28만 6천원(몸무게에 따라 상이)이다.
폐암은 국내 부동의 암 사망률 1위로, 암으로 인한 사망 환자 5명 중 1명은 폐암이 원인이다. 폐암으로 사망한 환자는 연간 총 17,440명이며, 폐암 환자의 5년 상대생존율은 23.5%로 (모든 병기(1~4기) 포함) 5명 중 4명이 5년 이내에 사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비소세포폐암은 전체 폐암의 약 80%를 차지한다.
진행성 비소세포폐암 환자 중 PD-L1이 1% 이상 발현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PD-L1 발현율에 따라 도세탁셀과 키트루다의 생존기간 및 무진행 생존기간을 비교한 KEYNOTE-010 연구 결과, PD-L1≥50% 환자에서 키트루다 투여군이 도세탁셀 투여군에 비해 전체 생존기간(OS, Overall Survival)이 약 50% 개선됐다.(2 mg/kg 투여군 HR 0·54, 95% CI 0·38–0·77; p=0·0002, 10 mg/kg 투여군 HR 0·50, 0·36–0·70; p<0·0001) 이 연구를 통해 키트루다는 PD-L1 발현율이 높은 환자에서 치료 효과가 높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현재까지 유일하게 비소세포폐암에서 1∙2차 치료제로 모두 사용 가능한 면역항암제 키트루다는 2015년 3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이필리무맙 투여 후 진행이 확인된 수술이 불가능하거나 전이성인 흑색종 환자의 치료제로 승인 받았다.
이후 2016년 4월 흑색종 1차 및 백금 기반 항암화학요법 치료 도중 또는 이후 질병의 진행이 확인된 국내 비소세포폐암 환자 중 PD-L1 발현이 양성(발현 비율≥50%)인 환자의 치료제로 추가 승인을 받았으며, 2017년 3월 진행성 비소세포폐암 1차 치료제로 적응증을 확대했다.
'◆제약 > ▷외자계제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흉터치료제 더마틱스 울트라 ‘힐링 데이트’ 성료 (0) | 2017.08.23 |
---|---|
사노피파스퇴르,‘박씨(朴氏, Vaxi) 가족’을 찾습니다 (0) | 2017.08.23 |
암젠, 프롤리아,안정성및 효과 입증 (0) | 2017.08.22 |
로슈 “허셉틴, 장기 효과∙안전성 재확인” (0) | 2017.08.22 |
한국화이자제약 ‘류마 서밋’ 성료 (0) | 2017.08.18 |
다케다제약, 항인테그린제제 킨텔레스 급여 출시 (0) | 2017.08.18 |
GSK 자궁경부암 백신 ‘서바릭스’, 항문암 확대 승인 (0) | 2017.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