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4/06/28 9

삼양그룹, ‘2023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삼양그룹,  ‘2023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ESG경영 성과 담아삼양그룹(김윤 회장)은 지주회사와 상장 계열사 3곳의 2023년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성과와 비전을 담은 ‘2023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하고 홈페이지에 게시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지속가능경영보고서는 △지주회사 삼양홀딩스 △식품∙화학 계열사 삼양사 △패키징 계열사 삼양패키징 △퍼스널 케어 소재 전문 계열사 KCI 등 4개 회사가 지난 한 해 동안 전개한 ESG 활동 내용과 성과를 수록했다. 삼양홀딩스는 실무부서에서 최고 의사결정기구까지 이어지는 투명한 ESG 거버넌스를 구축해 ESG 경영시스템을 내재화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지속가능경영 전략의 성과와 문제점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ESG위원회를 설치한 데 이어 ESG..

시지바이오, ‘재생의료 솔루션’ 임상적 유용성 공유

시지바이오,  ‘재생의료 솔루션’ 임상적 유용성 공유세계족부족관절학회서 바이오 재생의료 전문기업 시지바이오(대표이사 유현승)는 최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세계족부족관절학회(IFFAS) 2024’에서 런천 심포지엄을 개최하고, 임상적 근거에 입각해 족부족관절 분야 치료에서 자사 제품이 좋은 치료 옵션임을 소개하는 시간을 가졌다고 28일 밝혔다. 세계족부족관절학회(IFFAS)는 족부족관절학 분야의 학문과 진료, 연구, 교류, 발전을 위해 전 세계 정형외과 전문의들이 모이는 학회다. 북미, 남미, 유럽, 아시아, 오세아니아 등 5개 대륙별로 순회하면서 세계학술대회를 개최하고 있으며, 아시아 첫 번째로 한국에서 개최됐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처음으로 진행된 오프라인 학회인만큼 중국, 일본, 동남아 지역을 비..

대웅제약,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대웅제약,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환경∙사회∙지배구조 전 부문 강화 대웅제약(대표 이창재·박성수)은 지난 1년 간의 ESG 경영 성과 및 향후 계획을 담은 2024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8일 밝혔다. 지속가능경영보고서는 대웅제약 홈페이지에서 열람 가능하다. 올해로 두 번째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한 대웅제약의 ESG 전략은 ‘인류와 지구의 건강을 지키는 대웅제약(CARE for people and planet)’이다.  ‘이중 중대성 평가’를 통해 의약품 안전 및 품질강화, 화학물질 및 유해물질 관리 등 중점 관리를 위한 9개 핵심 이슈를 선정했다.  이중 중대성 평가란 기업의 경영활동이 사회·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기업 재무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 요인을 동시에 고려하는 평가 방식..

제23회 보령암학술상, 삼성서울병원 선종무 교수

제23회 보령암학술상, 삼성서울병원 선종무 교수  식도암 치료의 새로운 패러다임 제시보령(구 보령제약)과 한국암연구재단(이사장 임석아)이 제23회 보령암학술상 수상자로 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선종무 교수를 선정했다. 제23회 보령암학술상 시상식은 28일 서울대학교병원 암연구소에서 진행되며, 수상자인 선종무 교수에게는 상금 3,000만 원과 상패가 수여된다. 선 교수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분자종양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삼성서울병원 전임의, 조교수 등을 거쳐 현재 성균관대 의대와 삼성서울병원에서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선 교수는 폐암·식도암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로, 임상 현장에서 면역항암제의 응용과 신약개발 임상에 대해 중점적으로 연구 중이다. 특히 선 교수는 2021년 세계적인..

제이엘케이-아주대 암 진단 AI ‘정확도99%’

제이엘케이-아주대 암 진단 AI  ‘정확도99%’  논문 발표. 뇌졸중 이어 암 진단 세계 선도의료 AI 1호 상장기업 제이엘케이(322510, 대표 김동민)는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연구진과 공동으로 연구한 ‘실시간 AI 암 진단 솔루션’의 임상적 효과를 검증한 논문이 세계적 권위의 의료 학술 저널에 게재돼 기술 혁신성과 과학적 중요성을 인정 받았다고 밝혔다. 해당 논문은 동일초점 레이저 내시경을 이용한 AI 조직병리학(Artificial intelligence-based real-time histopathology of gastric cancer using confocal laser endomicroscopy)을 연구한 것으로 높은 임팩트 팩터를 보유한 네이처 파트너 저널스(Nature partner j..

대한당뇨병학회 DMJ, JCR 2023 Impact Factor는 '6.8'

대한당뇨병학회 DMJ, JCR 2023 Impact Factor는 '6.8'Endocrinology and Metabolism 분야 상위 10% 대한당뇨병학회(이사장 차봉수)가 발행하는 Diabetes & Metabolism Journal(DMJ)의 2023년도 Impact Factor (IF, 영향력지수)가 6.8로 발표되었다. 이는 Clarivate Analytics가 운용하는 Web of Science 등재 학술지 인용보고서(JCR)에 따른 결과이며 SCIE-Endocrinology and Metabolism 분야 전년도 145개 저널 중 30위에서 올해 186개 저널 중 18위로 상승하였다. 다수의 권위있는 내분비/대사분야 학술지들의 2023년도 Impact Factor가 대부분 하락하는 상황에서..

경기도약, '한약제제 분류 문제는 식약처의 직무유기'

경기도약, '한약제제 분류 문제는 식약처의 직무유기''한약제제 분류 식약처 역할 아니다' 발언 강력 비판 경기도약사회는 한약제제와 관련한 식약처 담당자의 발언에 대해 강력하게 항의하고 나섰다. 최근 식약처 한약정책과장은 기자간담회를 통해 "한약제제 분류는 식약처 단독이 아니라 의무, 약무를 담당하는 보건복지부가 주관이 되어 시민단체, 약사회, 한약사회 등이 다 같이 진행해야 한다"면서 "한약(생약)제제 분류는 우리 역할이 아니다"라고 강변한 바있다. 이에 경기도약사회는 성명을 내고 "직무유기, 떠넘기기로 일관한 식약처의 궁색한 변명이며,한약제제 분류 식약처의 책임있는 자세를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도약사회는 "약사법 제2조 제6호에는 한약제제란 한약을 한방원리에 따라 배합하여 제조한 의약품을 말한다 로 ..

서울시약, 한약사 문제 해결 속도 높인다

서울시약, 한약사 문제 해결 속도 높인다 24분회공동 대국민 서명운동 약사법 개정 추진서울시약사회가 금천구 소재 한약사 개설약국 사태를 계기로 약사와 한약사의 면허에 따른 업무범위를 명확히 하기 위한 약사법 개정에 속도를 높인다. 서울특별시약사회(회장 권영희)는 지난 25일부터 릴레이 집회 현장과 25개 분회 소속 회원 약국에서 약사와 한약사의 역할을 명료화하는 약사법 개정을 촉구하는 대국민 서명운동에 돌입했다.이번 서명운동은 ‘약사는 약국을, 한약사는 한약국을 개설하고, 약사와 한약사는 각자의 면허범위 내에서 의약품을 조제·판매할 수 있다는 것’ 등이 약사법 개정에 반영돼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최근 한약사들이 약국과 동일한 형태의 한약국을 개설하고 면허범위를 벗어난 의약품을 취급할 뿐만 아니라 ..

한미-GC녹십자 공동 연구 ‘파브리병 치료제(LA-GLA)’ 주목

한미-GC녹십자 공동 연구 ‘파브리병 치료제(LA-GLA)’ 주목 ‘세계 최초 월 1회 피하투여 용법’으로 공동 개발중인 신약       한미사이언스 핵심 사업회사 한미약품과 GC녹십자가 공동 개발중인 ‘파브리병 치료제(LA-GLA)’가 기존 치료제 대비 신장기능과 혈관병 및 말초신경장애 개선 효능이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LA-GLA는 한미약품과 GC녹십자가 ‘세계 최초 월 1회 피하투여 용법’으로 공동 개발중인 파브리병 치료 혁신신약으로, 기존 치료제들의 한계점을 개선한 차세대 지속형 효소대체요법 치료제다. 한미약품에 따르면 최근 독일 함부르크에서 열린 ‘Update on Fabry Disease 2024’ 1)에서 희귀 유전성 대사질환 파브리병 치료제 ‘LA-GLA(코드명 : HM154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