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국내제약

신약조합,의약품 IP Management 과정' 수료

jean pierre 2019. 7. 23. 03:31
반응형

신약조합,의약품 IP Management 과정' 수료

70명 배출.,. 국제 IP환경 변화에 능동 대응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이사장 김동연)은 지난 718일부터 19일까지 2일간 서울바이오허브의 협조로'의약품 IP Management 과정' 교육을 실시하여 수료생 70명을 배출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교육은 신약연구조합에서 추진하는 제약·바이오헬스산업 전문인력양성 교육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약가 인하, 블록버스터급 의약품의 특허 만료 등으로 인한 지식재산권(IP)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국제 IP 환경에서의 위기와 기회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나아가 제네릭 중심의 국내 제약업계의 한계를 극복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제약·바이오기업으로 발돋움하기 위해, 강한 특허 창출 및 권리 확보 방안, 특허기술 이전 및 실용화 전략 수립을 위한 제약·바이오업계 실무자들의 역량 함양을 목적으로 실시됐다.

이를 위해 제약·바이오 기술 관련 국내외 지재권 제도, 국제 IP 환경에서 국내 제약·바이오기업 분석 및 진단, 글로벌 제약·바이오기업의 IP 확보 전략 및 실용화 사례 분석, 국내 제약·바이오기업의 IP Management 성공사례, IP 포트폴리오 최적화 전략 등 IP Management 전략 수립을 위한 실질적인 단서를 제공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교육프로그램을 기획되었으며 교육생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한편 신약조합 조헌제 연구개발진흥실장은 지난 3월을 시작으로 올해 12월까지 조합 회원기업을 포함한 국내 연구개발중심 제약·바이오기업 임직원을 대상으로 R&D, 해외 인허가(RA), R&D기획 3대 분야에서 R&D전략 IP Management 천연물 개량신약 바이오의약품 해외 인허가 전략 수립 해외 인허가 Documentation R&D기획 전략 수립 Project Management 기술사업화 및 Valuation 10개의 교육과정을 운영하여 매년 1,000여 명의 전문인력을 양성할 계획이며, “특히 이번 교육을 통해서 IP Management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와 노하우를 겸비하고, 제약·바이오기업의 R&D 방향 및 효율성 제고, 강한 특허 창출 전략 수립과 고부가가치 IP 창출 및 실용화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IP 분야 전문인력이 배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