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당뇨 직장인 스트레스 '심혈관질환 초래'↑
직장인 질환중 사망자 가장 높은 질환
올해로 40대가 된 평범한 직장인 박씨. 평소 혈압이 좀 높았던 그는 지난해 건강검진에서 고혈압과 당뇨 판정을 받고 적잖은 충격을 받았다.
그도 그럴 것이 바쁠 때는 일주일에 2-3일 야근을 하고, 한 두 번 술자리를 갖는 등 여느 직장인과 다를 바 없이 생활해 왔기 때문.
일을 하면서 자주 답답함을 느끼거나 신경이 날카롭게 곤두설 정도로 스트레스를 받기도 했지만, 회사를 다니다 보면 어쩔 수 없는 일이라 생각하며 대수롭지 않게 여겨왔다.
대다수 직장인들의 새해 1순위 목표는 ‘건강’과 관련된 습관을 세우는데, 무엇보다 이러한 결심이 작심삼일로 끝나지 않도록 꾸준히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박씨처럼 심혈관질환의 대표적인 위험인자라고 할 수 있는 ‘고혈압’ 또는 ‘당뇨’등을 앓고 있는 직장인이라면 주의가 더 필요하다.
직장인들의 심혈관질환 위험도는 어느 정도일까?
2019년도 고용노동부의 산업재해통계에 따르면, 직장인 질환 중 사망자 수가 가장 높은 질환은 ‘심혈관질환’(386명, 42.2%)으로 나타났다.
또한, 2014년 발표된 한 연구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직장인들이 직무스트레스를 느끼는 비율은 87%로 OECD국가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여러 연구에서 업무 스트레스는 좌심실 기능 이상, 심근경색, 협심증 발생 및 심혈관계질환과 관련된 사망률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고하고 있다.
과도한 업무 등으로 인한 심리적 스트레스는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수질 축을 활성화시켜 스트레스 호르몬 분비 증가, 내피세포 기능 저하, 염증, 그리고 자율신경계 기능 저하 등을 야기시킴으로 심혈관질환 위험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제시되고 있다.
또한 교대작업, 연장근무, 이상기온, 소음 등과 같은 작업 환경으로 인한 스트레스로 심혈관질환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생활리듬이 손상되거나 수면부족, 한랭 환경이나 열사병, 소음으로 인한 혈압 상승 등으로 인해 심혈관질환 위험이 높아지는 것이다.
한편 연령,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흡연 여부 등과 같은 위험 요인들 또한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심혈관질환 발생 확률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높은 수준의 심폐체력과 규칙적인 운동이 심혈관계 건강에 보호적 효과를 주며, 또한 심혈관질환 예방을 위해 저용량 아스피린과 같은 약물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대표적으로, 바이엘의 아스피린 프로텍트는 다양한 임상연구를 통해 복합적 심혈관질환 위험인자(고혈압, 고콜레스테롤혈증, 당뇨병, 비만, 허혈성 심장질환의 가족력 등)를 가진 환자에서 심혈관질환 예방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2019년도 미국심장학회/미국심장협회(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American Heart Association) 가이드라인에 의하면, 40-70세 사이의 성인 중에서 당뇨•고혈압 등의 복합 위험인자, 젊은 나이에 급성심근경색이 발생한 가족력이 있거나 관상동맥 칼슘 수치가 증가한 경우와 같이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높을 때 아스피린이 도움 될 수 있다.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심장내과 박만원 교수는 “평소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자신의 심혈관질환 위험성을 체크하고, 위험인자를 가진 고위험군 환자라면 저용량 아스피린 복용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특히 심혈관질환 재발을 위해 저용량 아스피린을 복용하는 경우에는 하루 한 알 꾸준히 먹는 것이 중요하다. 중간에 임의로 중단할 경우 오히려 심혈관질환 재발 위험성이 높아질 수 있기 때문에 주변 가족의 도움도 필요하다.”며 ”평소 직장에서의 근무 환경과 스트레스 관리는 어떤지 잘 살펴보고 담배는 반드시 끊으며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이 있다면 꼭 치료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데이타뱅크 > ▷건강(질환)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잘못된 양치질‧뻣뻣한 칫솔모 치아 손상 (0) | 2020.04.22 |
---|---|
부정맥, 무증상부터 돌연사까지 증상 다양하다 (0) | 2020.04.01 |
마스크 ‘의약외품, KF등급 반드시 확인하고 사용해야’ (0) | 2020.03.23 |
폐렴, 국내 사망원인 4위에서 3위로 (0) | 2019.11.13 |
수면무호흡증, 우울증과 불안장애 위험 2배 높아 (0) | 2019.09.20 |
벌초 '야생 진드기' 주의해야..벌레기피제 사용 효과적 (0) | 2019.08.28 |
과민성대장증후군, 커피. 콩. 두유 피하라 (0) | 2019.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