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정책

국민연금 수급자. 매년 30만명 증가

jean pierre 2018. 3. 27. 14:05
반응형

국민연금 수급자. 매년 30만명 증가

  

   김상훈 의원, 작년말 기준 469만3천여명

 

 국민연금공단이 자유한국당 김상훈 의원(대구 서구)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국민연금 수급자가 해마다 30만명씩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급액으로는 해마다 2조원가량씩 늘어나고 있다.

 

자료에 따르면 2017년말현재 국민연금 수급자는 4692,847명이고, 연금 지급액은 19838억원이다. 2016년의 4362,2,54, 17682억원, 2015년의 4028,671, 151,840억원을 감안하면, 해마다 30만명, 지급금액으로는 2조원가량씩 증가하고 있는 셈이다.

 

최근 3년간 국민연금(노령, 장애, 유족, 일시금)지급내역 현황

 

구분

총계

연금

일시금

소계

노령

장애

유족

2017

수급자

4,692,847

4,475,143

3,706,516

75,486

693,141

217,704

금액

19,083,886

18,155,323

15,931,616

349,017

1,874,690

928,563

2016

수급자

4,362,254

4,135,292

3,412,350

75,497

647,445

226,962

금액

17,068,159

16,107,103

14,047,956

337,333

1,721,814

961,056

2015

수급자

4,028,671

3,832,188

3,151,349

75,688

605,151

196,483

금액

15,184,010

14,342,683

12,415,111

336,568

1,591,004

841,327

(기준 : 해당년도 말, 단위 : , 백만원)

 

이런 상황에서 보험료를 13개월이상 체납한 지역가입자가 1277,069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액으로는 45,457억원에 이른다.

 

김상훈 의원은 저술산고령화로 인해 연금을 내는 가입자는 계속해서 줄어들고, 수급자는 급격히 늘어나며, 보험료 장기체납까지 늘어나 연금고갈 시기는 당초 계획보다 더욱 앞당겨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면서, “이런 상황에서 소득대체율까지 높이자면 급격한 보험료 인상이 불가피한 상황인 만큼 사회적 논의가 시급하다.”고 진단했다.

 

한편, 20181월말현재 국민연금 가입자는 2,1383,122명으로 이중 사업장가입자가 1,3418,180, 지역가입자가 7631,354, 임의가입자가 333,588명으로 나타났다. 1월말현재 납부예외자는 3885,793명이며, 이중 지역가입자가 378758명으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지역가입자가 105,035명이다.

가입종별 가입자 수와 징수 금액

단위: , 억 원

구분

가입자 수1)

징수 금액2)

사업장가입자

13,418,180

29,282

지역가입자

7,631,354

2,852

임의가입자

333,588

314

: 1) 2018. 1. 31. 기준

: 2) 201712월 고지보험료에 대한 2018. 1. 10. 기준 납부 보험료

 

가입종별 납부예외자 수

2018. 1. 31. 기준 / 단위:

사업장가입자

지역가입자

임의가입자*

105,035

3,780,758

-

* 임의가입자는 납부예외자가 없음

시도별 지역가입자 13개월 이상 체납 현황

2018. 1. 10. 기준 / 단위: , 억 원

지역

인원

금액

Total

1,277,069

45,457

서울특별시

215,341

7,916

부산광역시

84,220

3,004

대구광역시

58,895

2,055

인천광역시

74,592

2,693

광주광역시

37,806

1,254

대전광역시

36,467

1,273

울산광역시

28,091

1,026

세종특별자치시

4,788

170

경기도

317,855

11,769

강원도

43,890

1,484

충청북도

41,477

1,432

충청남도

56,042

2,014

전라북도

47,011

1,546

전라남도

54,002

1,748

경상북도

69,041

2,302

경상남도

89,348

3,152

제주특별자치도

18,203

6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