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외자계제약

글로벌제약사, 지난해 국내 임상연구 총 8,729억원 투자

jean pierre 2024. 11. 12. 09:30
반응형

글로벌제약사, 지난해 국내 임상연구 총 8,729억원 투자

최근 5년간 R&D 투자 총비용 연평균 15.9% 증가

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이하 KRPIA)는 국내에 진출한 31개의 글로벌제약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2024년 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 R&D 비용과 연구인력에 대한 조사 결과 보고서’를 12일 발표했다.

 

이번 연구에는 2023년 기준 R&D 총 투자비용, 종사 인력 및 다양한 임상연구 관련 현황과 글로벌제약사의 국내 R&D 분야 공동연구와 제도개선 제안 등이 포함됐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글로벌제약사가 2023년 한 해 동안 국내 임상연구에 투자한 R&D 총비용(해외 본사의 국내 R&D 직접 투자 비용 제외)은 약 8,729억원으로 전년 대비 6.7% 증가했으며, 2019년에서 2023년까지 최근 5년간 연평균 15.9%의 지속적 증가율을 보였다.

2023년 기준, 글로벌제약사가 임상시험을 통해 국내 환자에게 지원한 임상연구용 의약품의 비용은 약 3,208억원으로 집계됐다. 

 

2023년에 진행된 임상연구는 전년 대비 약 7.7% 증가한 총 1,723건이었다. 최근 5년간 임상연구 건수 또한 연평균 2.9%로 성장하며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였고, 이 중에서 3상 임상시험의 수행 건수는 전년 대비 12.8% 상승한 644건으로 가장 많았다. 

 

또한 절차가 복잡하고 난이도가 높은 1~2상의 초기 임상시험 수행 건수도 최근 5년간 연평균 각각 14.5%, 7.9% 증가해 한국의 임상시험 역량이 질적인 측면을 포함해 글로벌 시장 속에서 인정받고 있음을 시사했다.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글로벌제약사의 중증∙희귀질환에 대한 활발한 임상 연구와 지속적인 투자 확대도 확인할 수 있었다. 

 

2023년 주요 임상 연구1) 대비 항암제 연구는 69.0%(975건), 희귀질환 연구는 13.5%(191건)를 차지했으며, 최근 5년간의 임상 연구 연평균 성장률에서도 항암제 연구(10.0%) 및 희귀질환 연구(35.3%)가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이는 글로벌제약사가 국내 임상시험 인프라 투자를 해 기존 의약품으로 치료가 어려웠던 중증∙희귀질환 환자들에게 효과가 입증된 새로운 치료 옵션을 제공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와 함께 글로벌제약사의 꾸준한 임상연구 투자는 국내 전문인력 창출 및 제약산업 발전에도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 R&D 활동 종사 인력은 총 2,299명으로 2018년도 이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며, R&D 인력 중 특히 임상연구 인력의 비중이 52.9%로 두드러졌다. 

 

KRPIA 소속 글로벌제약사들은 임상시험을 통한 R&D 투자 외에도 국내의 제약사·연구소·국내병원 및 기타 단체와의 연구 개발을 위한 협약 등 다양한 공동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있었다. 또한, 국내 대학과 연구소 등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도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대학교병원의 김동완 임상시험센터장은 “2024 KRPIA R&D 보고서는 글로벌제약사들이 한국에서 활발하게 임상연구를 진행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좋은 예시”라며, “임상시험은 과학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새로운 치료법을 안전하게 도입하는 중요한 과정이다. 임상시험이 활발히 진행되면 의료진은 최신 의학 지식을 활용해 보다 나은 진료를 제공할 수 있으며, 환자들은 새로운 치료 기회를 얻게 된다.”라고 언급했다. 

 

또한 “최근에는 신기술이 도입된 다양한 임상시험이 시도되고 있으며, 임상시험은 의료의 질을 향상시키고 환자들의 생존율과 삶의 질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이러한 선진화된 형태의 임상시험이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 조성 및 제도의 뒷받침이 중요하다.”라고 강조했다.

한편 KRPIA는 “임상적 효과와 안전성이 확인된 글로벌 신약의 경우 치료가 절실한 환자들에게 보다 신속하게 제공될 수 있도록 급여나 약가 결정에 있어서도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