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9~10월 감기 환자 급증
인재근 의원, 최근 5년간 총진료비 8조 2천억원
인재근 의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건보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최근 5년간 감기로 인해 진료를 받은 환자는 총 약 1억132만 명에 달했으며 이로 인한 총진료비는 약 8조2천억 원, 건강보험 지출은 약 5조9천억 원에 달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인재근 의원에 따르면 최근 5년간 감기 진료를 받은 환자의 연평균 인원은 약 2천26만 명에 달했다. 성별로는 남성이 약 909만 명, 여성이 약 1,117만 명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많았으며, 연령별로는 ‘9세 이하’ 아동이 약 363만 명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30대’가 약 308만 명, ‘40대’ 약 286만 명, ‘10대’ 약 267만 명,‘50대’ 약 263만 명, ‘20대’약 220만 명 순이었다.
연평균 감기 진료 현황을 월별로 살펴보면, 지난 5년간 3월에 가장 많은 인원인 약 445만 명이 감기 진료를 받았고, 이어 2월(약 437만 명), 12월(약 426만 명), 4월(약 419만 명), 1월(약 411만 명), 11월(약 405만 명) 순이었다.
반면 감기 환자 증가 현황을 월별로 살펴보면, 8월에서 9월로 넘어갈 때 약 105만 명이 증가해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으며, 이어 ‘9월→10월’이 약 35만 명, ‘1월→2월’약 26만 명, ‘11월→12월’약 21만 명, ‘10월→11월’약 17만 명 순으로 집계되었다.
감기 진료 현황을 소득수준별로 분석한 결과,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진료를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기준 소득하위 1분위의 감기 진료 환자는 약 97만 명이었고 이로 인한 총진료비는 약 733억 원이었다. 반면 소득상위 10분위 진료환자는 약 344만 명으로 1분위 진료인원의 약 3.6배가량 많았다.
한편 감기로 인한 전체 진료 인원수는 5년 전인 2012년에 비해 전체적으로 줄어든 반면(2012년 약 2,039만 명→2016년 약 1,796만 명, 약 12% 감소), 소득수준이 높은 9분위, 10분위의 경우 오히려 감기 진료율이 각각 3.3%, 13.8%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인재근 의원은 “계속되는 경기침체에 일부 고소득자를 제외한 대다수 국민이 감기가 걸려도 병원을 찾지 않는 경향을 보이는 것 같다.”라고 분석하며 “최근 들어 날씨가 추워지고 있다. 감기 환자가 급증하는 환절기 기간인 만큼 마스크 착용, 기침예절 생활화 등 감기 전염 예방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의약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국인 건보적용자 금년 8월말 현재 87만2,825명 (0) | 2017.10.18 |
---|---|
줄기세포 재생의학 국제심포지엄 개최 (0) | 2017.10.13 |
5년간 임상시험 중 82명 사망 (0) | 2017.10.12 |
병원 가서 링거도 못 맞을 수 있다 (0) | 2017.10.12 |
심근경색 치료 신약 후보물질, 미국 특허 등록 (0) | 2017.10.12 |
심사평가원, 2017년 8월 진료심사평가위원회 심의사례 공개 (0) | 2017.09.30 |
첨복단지특별법 개정안 9.28일 국회 본회의 통과 (0) | 2017.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