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헬스 수출 견조한 성장세, 전년비 22.5%
코로나19 여파 수출 위축 우려에도 불구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권덕철, 이하 진흥원)은 2020년 1분기(1~3월) 의약품·의료기기·화장품 등 보건산업 수출 실적을 발표하였다.
2020년 1/4분기 보건산업 수출액은 총 44억 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22.5% 증가하였고, 분야별로는 의약품 17억 달러(+45.0%), 화장품 18억 달러(+16.3%), 의료기기 9억 달러(+4.4%) 순으로 증가율이 높게 나타났다.
2020년 1/4분기 보건산업 수출은 글로벌 경기 둔화, 유가 급락, 글로벌 공급망 훼손 등 대외 여건 악화에도 불구하고 주력산업 및 新수출성장동력 산업 대비 견조한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다.
의약품국가별 수출순위는 독일(3.0억 달러, +270.5%), 미국(2.1억 달러, +32.1%), 터키(2.0억 달러, +99.0%) 등 순이며, 수출 품목은 바이오시밀러(8.7억 달러)가 총 수출의 52.0%를 차지했다.
셀트리온의 바이오시밀러 ’램시마SC’ 제품이 올해 최초 독일에 출시(‘20.2월) 후 처방 및 판매가 이루어지면서 큰 폭의 수출 증가를 기록하였다.
의료기기 국가별 수출순위는 미국(1.7억 달러, +14.9%), 중국(1.0억 달러, △32.7%), 일본(0.8억 달러, +6.5%) 등 순이며, 수출 품목은 초음파영상진단기(1.1억 달러), 임플란트(0.8억 달러), 체외진단기기(0.8억 달러) 등 순으로 나타났다.
국내 체외진단기기업체의 코로나19 진단키트 신속개발 및 전세계 확산에 따라 유럽(이탈리아, 스페인, 독일 등) 및 미국 수출이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화장품국가별 수출순위는 중국(8.4억 달러, +26.7%), 홍콩(2.2억 달러, △10.2%), 일본(1.3억 달러, +42.6%) 등 순이며, 수출 품목은 기초화장용제품류(8.1억 달러)가 총 수출의 45.7%를 차지하였다.
코로나19에 따른 개인위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손 세정제 등 계면활성제품과조제품(0.6억 달러, +64.0%)의 수출이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특히, 계면활성제품 상위 수출국 중 싱가포르·베트남 등의 수출 증가율이 각각 396.2%, 109.2% 증가하는 등 한국이 코로나19 방역·위생 모범사례로 주목을 받으면서 세안용품·손세정제 제품류의 수요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진흥원 신유원 산업통계팀장은 “코로나19 여파로 글로벌 무역환경 불확실성 등 대외 여건 악화로 전산업의 수출은 부진한 가운데, 국내 바이오헬스산업은 2020년 2/4분기 역시 필수의약품의 소비 지속, 바이오시밀러 제품 수출 확대 및 진단기기의 글로벌 진출이 본격화됨에 따라 현 수출 증가 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밝혔다.
코로나19(COVID-19) 세계적 유행과 관련하여, 주요국 동향 파악 및 보건산업 수출성과를 세부 분석한 KHIDI브리프는 진흥원 홈페이지(http://www.khidi.or.kr)와 보건산업 통계포털(http://www.khiss.go.kr)을 통해 제공할 예정이다.
'◆의약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구첨복재단 신약개발 오픈이노베이션 결실 (0) | 2020.04.13 |
---|---|
심평원, 코로나19 확진 후 격리해제자 정보 확대 (0) | 2020.04.13 |
심사평가원 부산지원 플라워 버킷 챌린지 동참 (0) | 2020.04.13 |
제4차 약제급여평가위원회 심의결과 공개 (0) | 2020.04.10 |
보건산업진흥원, 감염병 관리 웹 세미나 개최 (0) | 2020.04.09 |
암센터-크레너채널즈, 건강 강의 콘텐츠 공동 기획 (0) | 2020.04.09 |
심사평가원, 플라워 버킷 챌린지 동참 (0) | 2020.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