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병원/바이오벤처/▷병원계(병원소식,병원협회)

병협, 외래환자 원내조제 추진 가속도낸다

jean pierre 2013. 2. 26. 09:28
반응형

병협, 외래환자 원내조제 추진 가속도 내나

 

'국민 중심' 새정부 통해 적극 활동 방침

 

대한병원협회(회장 김윤수)가 새정부 출범에 맞춰 국민에게 조제권을 되돌려주기 위한 의약분업 제도 개선에 다시 박차를 가하기로 했다.병협은 지난 20116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 600곳이 넘는 전국 병원에서의약분업제도 개선 전국민 서명운동을 벌인 바 있다.

 

서명운동 결과, 264만명이 넘는 많은 국민들이 서명운동에 참여해 조제처 선택권 회복에 대한 열망을 보여주었다고 밝혔다.

 

이를 기반으로 병협은 지난해 제19대 국회가 새로 구성되고 225일 박근혜정부가 새로 출범함에 따라 서명운동 때 확인한 국민들의 조제처 선택권에 대한 열망을 실현시키기 위한 대정부 및 국회 활동을 다시 시작할 계획이다.

 

김윤수 대한병원협회 회장은 외래환자에 대한 조제를 금지시킨 현행 기관분업 형태의 강제분업은 국민불편 만 가중시키고 있다며 의약분업 제도 개선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의사가 진료결과에 따라 처방한 것을 약사가 조제하는 것이 의약분업의 본질인데, 우리나라의 의약분업은 의료기관에 약사가 있어도 외래처방에 대해서는 조제할 수 없게 해 국민들을 불편하게 하고 있어 이를 해소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병협측에 따르면 전국 20세에서 69세까지의 남녀 1,000여명을 상대로 조사한 지난 20107월 한국리서치의 조사 결과, 응답자의 73%가 병원 내 조제실과 병원 밖 약국중 조제장소를 선택할 수 있게 의약분업 제도를 개선하자는데 찬성 표를 던졌다.

 

병협은 특히 의약분업 이후 급증한 진료비와 약제비 급증도 현행 의약분업 방식과 무관치 않다는 지적이다.

 

실제 의약분업 시행이후 2000년부터 2009년까지 10년간 병원급 의료기관과 의원의 총 의료비용은 각각 169%, 49% 늘어난 반면 약국은 약 744% 증가해 건강보험 재정악화의 원인이 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정부가 의약분업 시행 당시 제시한 약제비 절감을 통한 건강보험 재정 안정화라는 정책목표와는 정반대로 가고 있다.

 

병협은 정부가 의약분업의 성과로 내세운 의약품 오남용 감소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적정성 평가에 따른 항생제 처방률 변화 때문 일 뿐, 의약분업 효과로 보기는 어렵다는 주장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