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타뱅크/▷건강(질환)정보

삼차신경통, 최소 침습 미세신경감압술로 치료

jean pierre 2022. 2. 22. 07:54
반응형

삼차신경통, 최소 침습 미세신경감압술로 치료

 

가천대 길병원 신경외과 박광우 교수

 

 

3년 전부터 오른쪽 얼굴에 원인모를 통증을 앓아온 올해 71세 최정임 씨(가명, 여성). 최 씨는 오른쪽 광대뼈 주변을 포함해 어금니와 송곳니 부위에 심한 통증을 느꼈다. 

 

 

특히 어금니 부위를 중심으로 시리고 뭔가에 찔리는 듯한 느낌 때문에 치통으로 생각했다. 치통의 원인으로 생각한 충치를 제거하고 임플란트 시술도 받았다. 하지만 통증은 계속됐고 결국 어금니를 모두 발치했지만, 통증은 사라지지 않았다.

 

결국 동네 의원에서 삼차신경통으로 진단을 받고 약물치료를 시작했다. 약 복용을 시작하면서 통증은 나아지는 듯했지만 사라지지 않았다. 약물치료를 시작한지 3년이 지난 최근까지도 통증은 지속됐다.

 

최 씨는 의료진의 권유로 가천대 길병원 신경외과 박광우 교수를 찾았다. 정밀 진단을 위해 MRI를 촬영한 결과, 최 씨의 우측 삼차신경이 혈관에 의해 심하게 압박받고 있었다. 박 교수는 환자의 빠른 회복을 위해 최소침습 미세신경감압술을 시행하기로 했다.

 

수술 일정이 잡히고 최 씨는 귀 뒤쪽으로 5cm 남짓 절개, 현미경과 기구를 삽입해 삼차뇌신경과 뇌혈관을 분리하는 수술을 받았다. 

 

박 교수는 혈관이 삼차뇌신경을 압박하지 못하도록 혈관과 신경 사이에 테플론이라는 스펀지를 삽입했다. 최 씨는 귀 뒤쪽에 약간의 수술 상처를 남긴 채 무사히 수술을 마칠 수 있었다. 최 씨는 현재 퇴원해 통증 없는 건강한 삶을 살고 있다.

 

 

삼차신경통 치료를 위한 최소 침습 미세신경감압술은 기존 수술과 효과는 같고, 부작용은 적어 효과적이다.

 

삼차신경통은 가끔씩 얼굴이 감전된 듯 심한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통증의 원인은 안면의 감각을 담당하는 삼차신경이 뇌혈관에 의해 자극돼 발생한다. 삼차신경과 뇌혈관이 너무 밀접하게 붙어있어 발생하는 것.

 

치료는 1차적으로 약물치료가 가능하지만, 부작용이 생기거나 효과가 없을 경우 수술 치료가 이뤄진다. 기존의 수술 치료는 밀접한 삼차신경과 뇌혈관을 충분히 분리하기 위해 귀 뒤를 크게 절개해 이뤄진다. 

 

이때 의료진이 미세한 혈관과 신경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해 충분한 크기로 절개한다. 귀 뒤쪽으로 약 10~15cm C자 모양으로 피부를 크게 절개하고, 또 신경을 확인하기 위해 추가로 크게 구멍을 뚫어 혈관과 신경을 분리하는 수술이 이뤄졌었다.

 

게다가 이 과정 중 환자의 미세한 움직임을 통제하기 위해 핀을 활용해 머리 부위와 수술대를 단단하게 고정하게 된다. 

 

확실한 고정을 위해 긴 수술 시간 동안 이마 부위가 핀에 의해 심하게 압박받다 보니, 원치 않는 상처가 남기 일쑤였다. 수술 상처는 귀 뒤쪽에서 이뤄지지만, 고정을 위한 이마 상처는 눈에 잘 띄어 환자의 신체적, 심리적 부담을 가중시켰다.

 

가천대 길병원 신경외과 박광우 교수는 “기존 수술법의 단점을 개선한 것이 최소 침습 미세신경감압술로 환자의 신체적 부담을 줄이고 수술 후유증을 줄이기 위해 두상 내 절개를 최소화하고 머리에 핀을 고정하지 않고 수술을 진행한다”며 “이 수술은 기존에 절개가 크게 이뤄지는 수술과 효과는 같고, 합병증은 적으며 회복이 빠른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최소 침습 미세신경감압술은 최소 부위만 절개해 시야를 현미경으로 확보하고 머리를 핀으로 고정하지 않은 상태로 이뤄진다. 

 

귀 뒤쪽으로 5cm 정도 절개하고, 수술 시 필요한 두상 내 구멍 역시 2cm 남짓한 크기로 뚫어 진행한다. 모든 과정이 현미경과 최소 침습 도구로 이뤄진다. 또 머리를 핀으로 고정하지 않아 이마에 흉터가 남지도 않는다.

 

박 교수는 “수술 시 절개는 귀 뒤쪽으로 이뤄지고 환자의 머리를 핀으로 고정하지 않아 수술에 따른 상처가 눈에 띄게 남지 않는다”며 “환자의 손상을 최소화한 상태로 이뤄지기 때문에 후유증이 남지 않고, 회복이 빠르게 이뤄져 환자의 경제적, 신체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실제 효과는 매우 우수해 환자들의 만족도도 매우 높은 편”이라고 말했다.

 

◆ 약물 치료 우선...반응 없을 시 수술 필요

 

삼차신경(trigeminal nerve)은 얼굴의 감각을 담당하는 뇌신경으로 이 부위에 통증이 발생하는 것을 삼차신경통이라고 한다. 보통 인구 10만 명당 4.5명 정도에서 발생한다.

 

주요 원인은 외상이나 감염, 혈관이나 신경에 의한 압박 등으로 발병할 수 있다. 진단은 MRI 등을 통해 이뤄진다. 초기 증상은 안면 감각 저하나 씹기 근육의 약화이다. 이후 전기가 흐르는 듯 심한 통증이 수초~2분 정도 반복된다.

 

치료는 우선 항경련제인 약물로 이뤄지지만, 약물 치료가 효과 없을 경우나 약물부작용이 발생하면 수술로 이뤄진다.

 

박 교수는 “삼차신경통 환자는 양치질이나 식사를 위해 씹는 등 일상생활에서도 극심한 통증을 느끼게 된다”며 “약물 치료가 우선되지만, 통증이 오래 지속되면 수술로 치료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최소 침습 미세신경감압술은 수술 자체 난이도가 높고, 섬세한 작업이 요구되는 만큼 수술 전 의료진과 충분히 상담하고, 숙련된 의료진에게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