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지바이오, 3D프린팅 기반 맞춤 인공광대뼈 제조허가
소재. 공정. 장비 모든 분야 국산화
시지바이오(대표 유현승)는 지난 6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3D 프린팅 기반 맞춤형 인공광대뼈의 제조허가를 획득했다고 9일 밝혔다.
시지바이오에서 개발한 3D 프린팅 기반 맞춤형 인공광대뼈는 자체 개발한 특허받은 생체활성 결정화 유리 소재(BGS-7)를 3D 프린팅 기술에 접목한 것으로. 최종 제품을 만들기 위한 3D 프린팅 소재부터 공정, 장비에 이르는 모든 분야를 국산화했다는 점에 큰 의의가 있다.
현재 사업화되었거나 연구되고 있는 금속/폴리머 기반 맞춤형 의료기기들은 외국산 소재와 장비를 활용하여 최종 제품만 국산화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생체활성 결정화 유리 소재(BGS-7)는 고분자나 금속 소재와 달리 체내 이식되었을 때 골과 직접 결합하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골과 직접 결합하는 다른 바이오세라믹 소재에 비해서도 뼈와 더 강하게 결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번 3D 프린팅 맞춤형 인공광대뼈는 이물 반응 없이 뼈와 빠르고 강하게 유합되기 때문에 재건수술의 부작용 및 합병증을 최소화하여 환자의 부담을 줄여주고 심미성은 향상시켜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제작된 제품이다.
한편, ‘바이오 세라믹 3D프린팅 공정’은 정봉용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 세라믹 PD기획의 바이오세라믹 소재 R&D 과제 수행 주관기관인 한국재료연구소(KIMS)의 윤희숙 박사팀이 국내 처음 개발한 기술을 시지바이오에서 기술 이전한 것이다.
유현승 대표는 “시지바이오의 3D 프린팅 인공광대뼈는 2000년부터 9년간 산업자원통상부의 지원을 받아 개발한 생체활성 원천소재(BGS-7)를 기반으로 제조되는 인공광대뼈로 뼈와 가장 친화적인 바이오 세라믹을 소재로 이용해 만든 3D프린팅 골대체제는 국내 최초”라며, “앞으로 다양한 골 결손 부위에 적용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기술 개발하여 아직 세계적으로 초기 단계인 의료용 바이오세라믹 3D 프린팅 임플란트 시장에서 자사의 제품을 통해 국내와 글로벌 무대에서 확실하게 선점하겠다.”고 밝혔다.
'◆의료/병원/바이오벤처 > ◁바이오벤처,의료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슈진단, ‘임신중독증의 조기진단 중요성’ 워크숍 (0) | 2018.04.16 |
---|---|
지멘스, 국내 최초 의정부 성모병원에 CT 장비 도입 (0) | 2018.04.13 |
멀츠 ‘제오민’, 국내 최초 이마주름 적응 식약처 승인 (0) | 2018.04.11 |
척수장애인의 축제 ‘어울림한마당’ 참여 (0) | 2018.04.10 |
피씨엘, '알에이아이 인플루엔자 에이/비 테스트 키트 제조허가 (0) | 2018.04.10 |
암 줄기세포 억제하는 마이크로RNA 세계 최초 확인 (0) | 2018.04.09 |
메디포스트, 제대혈소문내기 이벤트 6월말까지 (0) | 2018.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