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D강화는 고사하고 생존 하기 바쁜 제약업계
|
제약협회, '약가인하 후 정책보고서'.. 제약계 실태 알려 본업 외 사업다각화 진출 통해 손실 보전 |
정부의 고강도 건보재정 긴축 정책과 이에따른 약가인하 여파 및 다양한 제도적 압박으로 제약계가 본업보다 부업으로 버텨나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약협회는 18일 ‘약가인하 후 제약산업의 변화’ 정책 보고서를 통해 “정부의 연쇄적인 약가인하 조치로 국내 제약기업들의 약품비 청구실적이 최고 두자리 수까지 감소하는 등 큰 폭으로 줄어들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제약사들이 비급여 의약품과 화장품, 의료기기분야 진출 등 수익 다각화를 위한 몸부림과 판매관리비 축소 등 긴축경영으로 매출과 이익규모를 비롯한 외형을 유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2011년 7월1일부터 3개년 계획으로 시작된 기등재 의약품 목록 정비에 따른 약가 인하와 지난해 4월 일괄 약가인하 조치 등이 제약산업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계수적으로 분석했다.
보고서에 의하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의약품 청구실적과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자료 등을 분석한 결과 국내 68개 상장 제약기업들의 2012년 약품비 청구액이 5조2,914억원으로 전년에 비해 6.8% 감소했다.
특히 올해 1분기 약품비 청구실적은 1조2,677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 12%나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제약사들의 약품비 청구액이 큰 폭으로 감소한데 비해 청구액 상위 16개 다국적 제약사의 올해 1분기 실적은 전년 동기대비 2% 줄어드는데 그쳐 최대 6배의 격차를 보였다.
또 이들 국내 제약사들의 올 1분기 매출액이 약품비 청구액 감소에도 불구, 전년 동기대비 7.1% 늘어났으나 그 원인은 사업 다각화와 수출 증대 등에 따른 것으로 분석했다.
보고서는 “약가인하에 따른 손실 보전과 생존전략의 일환으로 일반의약품(OTC) 사업을 강화하고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화장품, 의료기기 분야에 대거 진출하는 등 사업 다각화를 통해 보험의약품 의존성을 탈피하기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수출 확대를 통한 매출손실 보전 현상도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지난해 제약산업의 총 수출액은 일본으로의 원료수출 증대 등으로 사상 처음으로 1조원대를 넘어 1조3,675억원을 기록, 2011년의 9,302억원보다 46.7%나 증가했다.
◆선순환 위한 정부지원은 먼나라 얘기
상장 제약사들의 매출액 대비 판매관리비 비중은 2008년 39.1%에서 2011년 35.5%에 이어 지난해 34.9%로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다. 이같은 판관비 절감 추세와 신입사원 채용 축소 등 긴축경영으로 이들 회사의 영업이익은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제약기업 본연의 의약품 연구개발, 생산판매, 연구개발 재투자를 통한 선순환 구축 측면에서 볼 때 제약사들의 매출 회복 현상만을 놓고 약가인하 충격을 회복했다고 판단하기에는 시기상조”라며 “향후 2, 3년간 산업구조 등의 변화 추이를 지속 점검해서 미래 성장 동력인 제약산업의 잠재력을 상실하지 않도록 하는 정부의 관심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또 “제약기업의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은 2010년 5.8%에서 2011년 7.7%, 혁신형 제약기업 인증제도가 시행된 2012년에는 8.3%로 크게 증가했다”면서 “그러나 올해 1분기에는 6.3%로 주춤하고 있어 정부의 제약산업 육성을 위한 R&D 투자 목표에 제약기업들이 부응할수 있을지 여부는 좀더 지켜봐야한다”고 밝혔다.
이어 “전체 매출의 외형적인 증대에도 불구, 제약기업 본연의 사업영역인 보험의약품 부문의 매출 악화는 연구개발 투자 및 막대한 임상시험 비용 투입 등 글로벌화 전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고 우려했다.
협회는 보고서에서 “정부가 지난해 일괄약가인하이후 제약기업의 약품비 청구행태 변화 등을 지속 모니터링하여 그 결과를 발표하기로 하였다”며 “당초 계획대로 약가인하 1년간의 모니터링 결과를 발표해야할 것”이라고 요청했다.
'◆제약 > ▷국내제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양약품, 리베이트건 임직원 추가 기소 (0) | 2013.07.19 |
---|---|
안국약품-연세의료원, 산학협력 MOU체결 (0) | 2013.07.19 |
현대약품, 1분기 흑자전환 지속 이어가 (0) | 2013.07.19 |
현대약품, 문자상담 서비스 본격 도입 시행 (0) | 2013.07.18 |
동화약품, 안산밸리 록 페스티벌 스폰서 참여 (0) | 2013.07.18 |
광동제약, 비타민D 함유 '100세D' 출시 (0) | 2013.07.18 |
코오롱생명과학, 日 원료약 수출로 매출확대 기대 (0) | 2013.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