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기기업체 부채비율 56.0% ... 대체로 건전
재무구조 개선 노력으로 부채비율 12.2%p 감소
국내 주요 의료기기업체의 지난해 평균 부채비율이 56.0%로 나타났다. 부채비율이 전년 대비 두 자리수 이상 감소하는 등 대체로 재무구조가 건전한 것으로 조사됐다.
보건의료 분석평가 전문사이트 팜스코어는 12월말 결산 국내 30개 주요 의료기기업체의 사업보고서(연결기준)를 토대로 자산현황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분석결과, 지난해 주요 의료기기업체의 평균 부채비율은 56.0%로 전년(68.2%) 대비 12.2%p 감소했다.
이 같은 결과는 전환사채 발행과 유상증자, 주식매수선택권 행사 등 일부 업체의 재무구조 개선 노력과 업계 전반적인 우수한 영업실적의 결과로 풀이된다.
지난해 30개 주요 의료기기업체의 매출액은 9.8% 증가했고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27.5%, 79.1% 크게 늘었다.
부채비율 1위는 치과용 임플란트 사업 등을 영위하는 오스템임플란트였다. 이 회사의 지난해 부채는 2643억원, 자본은 1251억원으로 부채비율이 211.2%에 달했다. 하지만 전년(259.5%) 대비 부채비율은 48.3%p 감소했다.
이어 파나진(187.9%), 로보스타(168.1%), 메타바이오메드(118.8%), 바텍(101.6%), 루트로닉(73.0%), 씨유메디칼(66.4%), 엘앤케이바이오(63.1%), 신흥(61.5%), 휴비츠(54.4%) 순으로 부채비율이 높았다.
반면 부채비율이 가장 낮은 업체는 하이로닉으로 4.3%에 불과했다. 이어 인바디(8.1%), 큐렉소(12.3%), 뷰웍스(14.5%), 세운메디칼(18.0%) 순이었다.
한편 부채비율은 부채를 자본으로 나눈 비율로 기업의 재무 건전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된다. 부채비율은 업계마다 차이가 있으나 100% 이내를 이상적으로 보고 있다.
팜스코어 최성규 수석연구원은 "일반적으로 부채비율이 낮은 기업일수록 건전한 재무구조를 갖추고 있다고 말할 수 있으나, 부채는 감소하지 않고 유상증자 등으로 자본금을 늘려 부채비율을 낮추는 기업도 있다"며 "기업이 부진한 실적을 유상증자를 통해 재무 건전성을 유지하는 상황을 투자자들이 인지하지 못하면 투자손실이 발생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의료/병원/바이오벤처 > ◁바이오벤처,의료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아이비티, 화장품 분야 대상 '그랜드 골드상' 수상 (0) | 2016.04.26 |
---|---|
‘원터치 베리오뷰’ 혈당측정기 출시 (0) | 2016.04.25 |
SAP, 신규 솔루션 ‘SAP 헬스 인게이지먼트’ 공개 (0) | 2016.04.22 |
메디포스트, 치매 치료 관련 특허 취득 잇따라 (0) | 2016.04.20 |
국산 의료기기 중국 시장 진출 확대 도모 (0) | 2016.04.20 |
홍익메디칼시스템즈, SIDEX 2016서 신제품에 관심 집중 (0) | 2016.04.20 |
지멘스, ‘2016 하노버 산업박람회’ 참가 (0) | 2016.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