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국내제약

일양약품, “슈펙트” ‘ESH학회’서 3상 임상 결과 발표

jean pierre 2016. 9. 20. 19:15
반응형

일양약품 슈펙트‘ESH학회3상 임상 결과 발표

 

 

일양약품(사장 김동연)이 개발한 아시아 최초 백혈병 신약 슈펙트(성분명: 라도티닙 RADOTINIB)”ESH학회에서 1차 치료 효과를 다시 한번 발표해 주목을 받았다.

 

지난 915~18, 미국 텍사스 주 휴스턴 Sonesta호텔에서, ESH(European School of Haematology)iCMLf(international Chronic Myeloid Leukemia foundation) 가 공동 주관하는 “18th Annual John Goldman Conference”에서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도영록 교수(혈액종양내과)가 처음 진단된 아시아 만성골수성백혈병 환자 241명을 대상으로 진행 된 슈펙트(성분명: 라도티닙) 3상 임상시험의 추가적인 결과를 구연 발표했다.

 

금번 발표는 2세대 만성골수성백혈병 치료제인 슈펙트를 초기 진단된 환자에서 처방초기 3개월 시점에 BCR-ABL1(만성골수성백혈병(CML) 환자의 약 90%에게서 발견되는 필라델피아 염색체의 유전자) 레벨이 10% 이하(조기분자유전학적반응, Early Molecular Response, EMR)로 떨어진 환자가 슈펙트 투여군(86%)이 글리벡 투여군(71%)보다 더 많았다.

 

이러한 초기 반응율이 높은 환자들은 12개월까지의 주요유전자반응율 (57% vs 38%), 완전세포유전학적반응율 (94% vs 85%) 및 완전유전자반응율 (18% vs 13%)이 모두 높았던 것으로 발표되었다. 이것은 초기 치료 반응율이 좋을수록 향후 예후가 더 좋다는 것으로, 초기 3개월에 빠른 반응을 획득하는 것이 향후 주요유전자반응율 및 완전유전자반응 도달에 중요한 예후 인자가 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지난해 12, 미국에서 개최된 “57차 미국혈액학회 (ASH)”발표 이후, “슈펙트가 글로벌 의료진들에게 화제가 되면서, ESH ‘슈펙트발표현장에는 미국과 유럽 등 전세계 500여명의 전문의들이 대거 참석하였으며,‘기존 치료제와 효과와 부작용을 비교해달라는 질문과 고위험군 환자에서 타 약물과의 차이는 어떠했는지를 묻는 등 3상 결과에 대한 많은 질문들이 이어지면서 슈펙트의 글로벌 인지도가 확산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날 참석한 학회 관계자들은 슈펙트를 2세대 글로벌 치료제보다 20% 저렴한 경제적 약가와 효능효과가 우수한 치료제로 환자들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는 성공 가능성이 큰 약물로 평가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