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조 증상 없는 위암환자, 60~70대가 61% 차지
60대 53,465명(33.4%), 70대 44,167명(27.6%)
위암(C16)은 원칙적으로 위에 생기는 모든 암을 일컫는 말이지만, 주로 위점막의 선세포(샘세포)에서 발생한 위선암을 말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강도태)은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하여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위암(C16)’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현황을 발표하였다.
진료인원은 2017년 156,128명에서 2021년 159,975명으로 3,847명(2.5%) 증가하였고, 연평균 증가율은 0.6%로 나타났다.
남성은 2017년 104,941명에서 2021년 107,183명으로 2.1%(2,242명) 증가하였고,여성은 2017년 51,187명에서 2021년 52,792명으로 3.1% (1,605명) 증가하였다.
2021년 기준 ‘위암’ 환자의 연령대별 진료인원 구성비를 살펴보면, 전체 진료인원(159,975명) 중 60대가 33.4%(53,465명)로 가장 많았고, 70대가 27.6%(44,167명), 50대가 18.2%(29,053명)의 순이었으며, 남성 환자가 여성 환자에 비하여 2.03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60대가 차지하는 비율이 35.8%로 가장 높고, 70대가 29.0%, 50대가 17.8%를 차지하였으며, 여성의 경우도 60대 28.7%, 70대 24.9%, 50대 18.9%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 환자가 많은 현상에 대해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외과 최서희 교수는 “자세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나 위암의 중요 위험요인인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의 감염률이 남성에서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예측되며, 다른 주요 위험요인인 잦은 음주나 흡연이 위암 발생률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고 설명하였다.
인구 10만 명당 ‘위암’ 환자의 진료인원을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70대가 1,266명으로 가장 많았다.
성별로 구분해보면, 남성은 70대가 1,951명으로 가장 많고, 80세 이상이 1,856명, 60대가 1,128명 순이며,여성도 70대가 691명으로 가장 많고, 80세 이상이 644명, 60대가 422명 순으로 나타났다.
‘위암’ 환자의 건강보험 총진료비는 2017년 5천 197억 원에서 2021년 6천 206억 원으로 2017년 대비 19.4%(1천 9억 원) 증가하였고, 연평균 증가율은 4.5%로 나타났다.
2021년 기준 성별 ‘위암’ 환자의 건강보험 총진료비 구성비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60대가 32.0%(1천 984억 원)으로 가장 많았고, 70대 25.0% (1천 551억 원), 50대 19.0%(1천 178억 원)순 이었으며, 성별로 구분해보면, 남성과 여성 모두 60대가 각각 35.0%(1천 457억 원), 25.7%(527억 원)로 가장 많았다.
진료인원 1인당 진료비를 살펴보면, 2017년 332만 9천 원에서 2021년 388만 원으로 5년간 16.6% 증가하였으며, 성별로 구분해보면, 남성은 2017년 331만 4천 원에서 2021년 388만 원으로 17.1% 증가하였고, 여성은 2017년 336만 원에서 2021년 387만 8천 원으로 15.4% 증가하였다.
2021년 기준 진료인원 1인당 진료비를 연령대별로 보면, 20대가 1천 59만 원으로 가장 많았고, 성별로 구분해도 남성과 여성 모두 20대가 각각 1천 281만 원, 921만 원 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위암 발생원인. 증상. 예방법은?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외과 최서희 교수는 '위암' 발생 원인 및 주요 증상, 예방법 등 주의사항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고 봐야 하지만, 헬리코박터 균이 있으면 위암 발생률이 2~6배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위축성 위염이나 장상피화생 등과 같은 위암 전구병변이 있거나 염장식품이나 가공식품의 섭취, 음주, 흡연 등 좋지 않은 식습관과 생활습관도 위암 관련 위험인자로 작용할 수 있다.
초기에는 특별한 증상이 없고 다른 소화기 질환과 감별이 어렵다.
조기 위암의 경우 대부분 증상이 없기 때문에 건강검진 시 발견되는 경우가 많으며, 구토, 토혈, 복통, 혈변, 체중감소, 빈혈, 복수에 의한 복부 팽만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암이 상당히 진행된 경우가 많다.
위암의 발생 요인으로 알려진 짠 음식, 탄 음식, 질산염이 다량 함유된 음식(염장식품, 가공육류, 훈제식품 등)을 피하고 흡연과 음주도 되도록 삼가는 게 좋다.
위암가족력이 있거나 위축성위염, 장상피화생과 같은 소견이 있는 고위험군은 정기적인 검진을 시행해야 하며,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에 감염되어 있다면 제균치료를 받는 것 또한 위암 예방에 효과적이다.
또한 건강보험공단에서 만 40세 이상을 대상으로 2년마다 실시하는 위암 검진을 정기적으로 받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 관련 연구에 의하면 위암 진단을 받고 치료를 하지 않는 경우 평균 29개월 뒤 4기 위암으로 악화되었다고 한다.
치료를 하지 않을 경우 사망까지의 기간은 병기에 따라 다르며 증식 속도를 결정하는 변수는 개인마다 달라 평균 기간을 예측하는 것은 어렵다. 위암으로 진단되면 미루지 말고 적극적으로 치료를 받는 것이 현명한 선택이다.
반응형
'◆의약정책 > ▷의료계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근 5년동안 자궁근종 환자수 크게 증가 (0) | 2022.11.29 |
---|---|
간암, 의료기관별 평가 첫 도입 (0) | 2022.10.31 |
백신 접종률 하락에도 오접종 사례는 오히려 증가 (0) | 2022.10.04 |
염색체 분리 담당하는 단백질 원리 규명 (0) | 2022.08.11 |
케이메디허브, 전임상센터 생체영상제제 연구실 개소 (0) | 2022.08.08 |
뇌졸중 평가대상 5곳 중 3곳 집중치료실 없어 (0) | 2022.08.03 |
탈모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법 연구 (0) | 2022.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