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멘스 혈구분석기 아드비아, 환자 단기사망률 예측
원발성 세균성 복막염 환자 30일 이내
지멘스의 한국법인 헬스케어 부문(대표: 박현구)은 지멘스 헬스케어 혈구분석기 아드비아(ADVIA) 2120i의 DNI(Delta Neutrophil Index) 지표를 통해 원발성 세균성 복막염(Spontaneous bacterial peritonitis, SBP) 환자의 단기사망률 예측이 가능하다는 내용의 연구 결과가 최근 미국 공공과학 도서관 온라인 학술지 플러스원(PlosOne)에 게재됐다고 밝혔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화기내과 박준용 교수, 인천백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이종욱 부장 등이 공동으로 진행한 이번 연구는 원발성 세균성 복막염이 동반된 간경변 환자 75명을 대상으로 원발성 세균성 복막염 초기 진단 시, 델타 뉴트로필 인덱스(Delta neutrophil index, 이하 DNI) 를 측정한 후 이와 30일 이내 사망률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간경변증 환자에서 원발성 세균성 복막염 진단 시 DNI를 5.7% 기준 (임계치, cut-off value)으로 환자군을 분류했을 때, 고DNI 집단(DNI≥5.7%)은 저 DNI 집단에 비해 패혈성 쇼크 발생(84.2% vs. 48.2%, p = 0.007) 및 30일 사망률(57.9% vs. 14.3%, p<0.001)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DNI를 원발성 세균성 복막염 환자의 향후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독립인자로 활용 가능함을 제시하였다.
원발성 세균성 복막염은 중증 간경변 환자에게 흔하게 동반되는, 그러나 치명적인 감염성 합병증으로 사망율이 20%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발생시 신속한 인지와 치료를 요한다.
2003년 인천백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이종욱 부장이 개발한 DNI는 지멘스 헬스케어의 자동 혈액분석기 아드비아(ADVIA) 2120i에서 나오는 MPO(Myeloperoxidase) 채널과 백혈구의 핵 엽상(Baso/Lobularity) 채널에서 측정된 감별 백혈구의 차이로 순환 혈액 내의 미성숙 과립구의 분획을 나타낸다.
DNI는 감염과 패혈증의 지표(마커)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중증패혈증 및 쇼크의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지표로 발표된 적도 있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화기내과 박준용 교수는 “간경변증 환자에서는 감염증 동반시 기존에 알려져 있는 진단 지표들이 예후를 예측하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어, 새로운 지표(biomarker)를 정립할려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며, “본 연구를 통해 DNI가 원발성 세균성 복막염을 진단 받은 중증 간경변 환자의 감염 심각성을 평가하고 예후를 예측하는 유용한 기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의료/병원/바이오벤처 > ◁바이오벤처,의료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바이오, 작년매출 5281억원, 전년비 10.4% 성장 (0) | 2014.03.13 |
---|---|
카엘젬백스, CPA글로벌과 특허갱신 관리 계약 (0) | 2014.03.12 |
JW중외메디칼, KIMES 2014 참가 “신제품 선보여” (0) | 2014.03.10 |
현대아이비티,메디컬화장품 '아토시스플러스' 출시 (0) | 2014.02.26 |
솔타메디칼, 씨앤비 퍼미아 레이저 공식 론칭 (0) | 2014.02.24 |
인튜이티브서지컬코리아, 청소년다빈치 교실 열어 (0) | 2014.02.24 |
면역성 피부질환 치료시대 열렸다 (0) | 2014.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