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정책

체외진단의료기기 모델명 곧바로 변경 가능

jean pierre 2020. 12. 10. 07:59
반응형

체외진단의료기기 모델명 곧바로 변경 가능

식약처, 허가·심사제도 개선 2개 고시 개정 완료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강립)는 체외진단의료기기 연구·개발 및 제품화를 활성화하기 위해 체외진단의료기기 허가·신고·심사 등에 관한 규정및 체외진단의료기기 임상적 성능시험계획 승인에 관한 규정 2개 고시를 개정했다.

이번 개정은 올해 5월 체외진단의료기기법 시행 후 업계 애로사항 해소 및 절차적 규제 완화 등을 위해 추진했다.

경미한 변경사항은 신속히 반영한다.

체외진단의료기기의 신속한 수출 또는 통관을 위해 즉시 현행화가 필요한 모델명 변경·추가 등 식약처장이 지정한 경미한 사항에 대해서는 종전에 분기마다 보고하여 변경 하던 것에서 상시 보고하여 신속하게 변경내용을 허가사항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허용했다.

또 희소체외진단의료기기 지정 신청에 필요한 지정추천서 제출이 어려운 경우에는 대체진단법 등 의학적 근거와 대상 질환에 대한 통계자료 등과 같은 근거서류도 제출할 수 있도록 자료 요건을 완화했다.

수수료를 납부한 자가 허가 또는 인증 신청 등을 철회하는 경우 수수료 반환 진행 절차 및 기준 등을 구체적으로 명시했다.

수수료 금액이 잘못 납부된 경우에는 납부된 수수료 전액 신청일로부터 5일 이내에 자진 취하한 경우에는 납부액의 80% 반환 납부자에게 반환사실을 통지하고 수입징수관에게 반환금 지급을 요청하도록 절차를 마련했다.

또 체외진단의료기기법상의 인체로부터 검체를 채취하는 방법의 위해도가 큰 경우를 구체적 으로 나열하여 명확히 제시했다.

구체적으로인체의 피부, 점막, 안구, 요도를 침투 또는 관통하거나, 외이도, 외비공, 인두, 직장 또는 자궁경부를 넘어 귀, , , 항문관 또는 질에 들어가는 방법이다.

다만, 정맥채혈 등 이미 널리 알려진 방법으로 검체를 채취하거나 잔여검체를 사용하는 시험은 제외됐다.

연구자 또는 탐색 임상적 성능시험을 할 때 잔여검체 사용 등 피험자에게 중대한 위험을 미치지 않는 경우는 임상적 성능시험 기관의 심사위원회(IRB) 승인으로 임상적 성능시험을 실시할 수 있도록 완화했다.

식약처는 이번 개정이 체외진단의료기기 허가·심사 문턱을 낮춰 업계의 제품개발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하며, 앞으로도 체외진단의료기기 허가 제도의 운영 중 발생할 수 있는 미비점 등을 지속적으로 개선·보완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개정과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식약처 누리집(www.mfds.go.kr) 법령·자료 제개정고시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