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엘젬백스, 췌장암과 바이오마커의 상관 관계 결과 발표
2014 미국 임상종양학회에서
카엘젬백스는 지난 5월 31일 (미국 현지 시간)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2014년 미국 임상종양학회 (ASCO 2014)에서 Telovac(텔로백, 췌장암 3상 임상)에서 규명한 췌장암과 바이오마커의 상관 관계 결과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ASCO 발표 내용에 따르면 GV1001과 바이오마커인 이오탁신(eotaxin)과의 생존율 상관 관계 분석결과 기존 췌장암의 화학치료제인 GemCap과 GV1001을 병용 투여한 환자에 있어서 높은 이오탁신 수치가 환자의 생존율 향상을 예측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임이 규명되었다.
이오탁신이 높은 환자에게 GV1001을 투여시 14.8개월이라는 높은 생존중앙값을 얻었으나, 이오탁신이 낮은 환자에게 GV1001을 투여시 생존중앙값은 9.8개월에 지나지 않았다.
또한 혈청 사이토카인 분석 결과 화학치료제인 GemCap 투여시 그 값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과는 달리 GemCap과 GV1001을 병용 투여시에는 이오탁신을 포함한 19개의 사이토카인 레벨이 유지가 되는 결과를 보여 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GV1001이 GemCap 화학치료로 인해 유발되는 면역력의 저하를 막아 줌으로써 기존 화학치료제들의 부작용을 극복하고 항암 치료시 암환자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 하는 근거를 뒷받침하는 매우 중요한 결과이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이오탁신이 췌장암 치료에 있어 GV1001의 바이오마커가 된다는 결과는 바이오마커 위주의 항암제 개발이 우선시 되고 있는 현 추세에 잘 부합된다고 보여 진다.
이러한 췌장암에서 새로운 바이오마커에 대한 결과는 항암면역백신 GV1001이 기존 항암제의 한계성을 극복하고 환자의 면역 체계를 활성화 시키는 면역치료제로서 각광을 받을 것으로 전망 한다.” 라고 밝혔다.
조기진단이 필수이기는 하나 현 기술로는 조기진단이 어렵게 때문에, 효과적인 치료제와 치료법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췌장암 치료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라고 덧붙였다.
'◆의료/병원/바이오벤처 > ◁바이오벤처,의료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엘젬백스, 켈로이드 억제 효과 특허 출원 완료 (0) | 2014.06.04 |
---|---|
카엘젬백스, MDSC 저해 효능 특허 출원 완료 (0) | 2014.06.03 |
지멘스 헬스케어 ‘의료공학 박물관’ 개관 (0) | 2014.06.02 |
'BIO & MEDICAL KOREA 2014' 성료 (0) | 2014.06.02 |
의료기기 ‘국산화’로 해외시장 노린다 (0) | 2014.05.30 |
카엘젬백스, 전립선암 임상 승인 완료 (0) | 2014.05.28 |
카엘젬백스, 말라리아 백신 유럽 특허 획득 (0) | 2014.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