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노포비르, 국내 내성 환자에서 단독요법 치료효과 입증
지난 12일 영국런던에서 개최된 제49차 유럽간학회에서 아데포비어 내성이 확인된 국내환자에 대한 테노포비르 단독요법의 치료 유효성을 입증한 연구결과가 발표되었다.
울산대학교 임영석교수팀(서울아산병원소화기내과)은 아데포비어 내성환자(n=102)에 대한 테노포비르 단독요법(TDF300mg, n=50)과 테노포비르+엔테카비르 병용요법(TDF300mg+ETV1.0mg, n=52)의 치료효과를 관찰한 다기관 무작위배정 임상시험 치료결과를 발표했다.
이 연구는 2012년 12월부터 서울아산병원, 삼성서울병원, 고려대학교구로병원, 건국대학교병원, 서울대병원에 내원한 만성 B형 간염환자 102명을 대상으로 테노포비르+엔테카비르 병용요법과 비교하여 테노포비르 단독요법의 치료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임상시험에 참여한 모든 환자는 아데포비어 내성이 확인되었으며 HBV DNA≥60IU/mL인 만성 B형간염 환자 10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중 라미부딘에 추가 내성이 있는 환자는 51명(50%)이었고, 라미부딘과 엔테카비르에 추가 내성이있는 환자는 35명(34.3%)이었다. 즉, 86명(84.3%)의 환자가 다제내성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 아데포비어 내성환자 또는 기존치료에서 바이러스 불충분 반응인 환자대상으로 테노포비르 단독요법은 엔테카비르와 테노포비르의 병용요법에 비해 바이러스 반응 측면에서 통계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치료군에서 48주차 평균 바이러스 반응률은 63%(1차 평가 기준HBV DNA<15IU/mL, ITT 분석)로 유사하였다.
강력한 바이러스 억제를 통해 약제내성 유발 바이러스 돌연변이 검출수치의 감소를 확인하였으며, 테노포비르에 대한 내성은 발현되지 않았다.
또한, 기저 시점에서 바이러스 수치가 높은(HBV DNA>5log10IU/mL) 환자(n=21)들에 대한 하위분석에서도 48주차에 바이러스 억제정도는 두그룹 간(TDF n=11, TDF+ETV n=10)의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한편, 치료제 안전성을 검증하는 크레아틴 수치(serum creatinine)와 골밀도 검사(Bone Mineral Density)상에서는 치료기간 동안 유의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불량한 복약순응도로 인해 바이러스 돌파현상(HBV DNA≥1log10IU/mLfromnadir)이 나타난 환자는 36주차에 각 치료 군에서 1명씩 발생했다.
임영석 교수는 “아데포비어 및 다제내성 환자에 대해서도 테노포비르 단독요법만으로 HBV DNA 수치가 확실하게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강력한 바이러스억제는 간염으로 인한 간 조직 손상을 막고 추가적인 약제내성을억제하는 첫걸음이다”며, “이런 결과는 다약제 내성 B형간염 환자들에서 테노포비르를 기반으로 하는 병용요법과 단독요법 모두 적합한 치료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 연구에서도 확인 되었듯이, 테노포비르에 대한 추가내성은 아직 전세계적으로 발생했다는 보고가 없다는 점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제약 > ▷외자계제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릴리, 남성 갱년기 치료제 ‘악세론’ 출시 (0) | 2014.04.29 |
---|---|
노바티스, 수막구균성 뇌수막염 예방 캠페인 진행 (0) | 2014.04.24 |
먼디파마, 이머징마켓 총괄 이사 문한림 박사 선임 (0) | 2014.04.24 |
한국다케다제약–다음세대재단 문화 나눔 동행 (0) | 2014.04.23 |
노바티스, GSK 종양치료제 사업부 인수 (0) | 2014.04.23 |
로슈진단, ‘영마이스터 프로그램’ 설명회 개최 (0) | 2014.04.23 |
화이자,항암제 강자 아스트라제네카 인수 추진 (0) | 2014.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