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바 ‘프레마네주맙’장기 임상 결과 발표
편두통 예방치료제.. 2019 미국신경과학회서
한독테바(사장 박선동)는 이달 4일부터 10일(현지시간)까지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진행되는 미국신경과학회(American Academy of Neurology, AAN) 제71차 연례학술대회에서 만성∙삽화성 편두통 환자를 대상으로 한 테바의 편두통 예방치료제 ‘프레마네주맙’의 새로운 장기 임상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고 밝혔다.
이번 AAN 학술대회에는 프레마네주맙 관련 총 13건의 초록이 발표됐다.
공개된 초록들은 성인 편두통 환자를 대상으로 52주간 프레마네주맙의 효과와 안전성을 평가한 다기관, 무작위 배정, 이중맹검, 평행설계, 장기 연장연구를 통해 분석된 결과로, 1차 및 기타 주요 평가변수를 비롯한 통합∙하위군 분석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
즉, 이전에 여러 계열의 예방치료에 불충분한 반응을 보인 환자군을 포함한 편두통 환자군에서 12개월간 관찰한 프레마네주맙의 임상적 유효성 및 삶의 질, 안전성 프로파일 관련 결과 등이 발표됐다.
발표 자료에서 프레마네주맙 투여군은 만성∙삽화성 편두통 환자 모두에서 투여 방법에 관계없이 증상을 개선시키는 결과를 보였다.
12개월 차에서 최소 중등도 이상의 월 평균 두통 일수가 50% 이상 감소한 만성 편두통 환자는 분기별 투여군에서 54%, 월별 투여군에서 59%였고, 삽화성 편두통 환자의 경우 12개월 차에서 편두통 일수가 50%이상 감소한 환자의 비율이 분기별 투여군에서 66%, 월별 투여군에서 68%로 나타났다. 급성 두통약 복용 빈도가 줄어든 점도 고무적이다.
테바는 연구 시작시점에 만성 편두통을 앓고 있던 환자 813명에 대한 사후분석도 진행했는데, 연구기간 중 67%(548명)가 삽화성 편두통으로 전환됐다.
해당 하위그룹 분석 결과, 베이스라인에서 12개월 차까지 월 편두통 발생일수의 평균 변화는 분기별 투여군 -10.3일, 월별 투여군 -10.4일로 나타났다.
연구에 등록된 전체 편두통 환자 1,890명을 대상으로 한 안전성 프로파일 분석에서 가장 흔한 부작용은 주사부위 반응이었다. 부작용으로 인해 치료를 중단한 환자의 비율은 4%였다.
두통 관련 장애 및 삶의 질에 있어 프레마네주맙 효과에 대한 환자 만족도는 임상적으로 검증된 질문지를 통해 평가됐으며, 프레마네주맙의 장기 사용이 만성∙삽화성 편두통 환자들의 장애 및 삶의 질을 잠재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박선동 한독테바 사장은 “올해 미국신경과학회에서 발표된 13건의 프레마네주맙 연구결과는 편두통 환자의 예방치료 옵션으로 프레마네주맙을 사용할 수 있는 임상적 근거를 더욱 강력하게 만들었다”며, “광범위한 편두통 환자군을 아우르는 꾸준한 연구를 통해 많은 편두통 환자들이 하루빨리 치료옵션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
'◆제약 > ▷외자계제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스트라제네카, 사내 바자 수익금 등 2천만 원 상당액 기부 (0) | 2019.05.13 |
---|---|
화이자 프리베나13, 온라인캠페인 진행 (0) | 2019.05.13 |
존슨앤드존슨 이노베이션, 전 세계 간호사 대상 퀵파이어 챌린지 (0) | 2019.05.13 |
머크-보건복지부. ‘독거노인사랑잇기사업’ MOU (0) | 2019.05.10 |
화이자'젤잔즈', 궤양성 대장염 급여 확대 출시 (0) | 2019.05.10 |
GSK, 최우수 제약기업상 수상 (0) | 2019.05.09 |
바이엘, 3회 ‘G4A 코리아 스타트업 3개사 발표 (0) | 2019.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