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아스트라제네카 포시가, 만성 심부전 치료 적응증 추가
좌심실 수축기능이 저하된 만성 심부전 치료에
한국아스트라제네카(대표이사 사장 김상표)의 SGLT-2 억제제 계열 제 2형 당뇨병 치료제 포시가(성분명: 다파글리플로진)가 12월 22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만성 심부전 치료 적응증 추가를 승인 받았다.
추가된 적응증에 따라 포시가는 만 18세 이상 좌심실 수축기능이 저하된 만성 심부전 환자의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 이로써 포시가는 당뇨병 유무와 관계 없이 심부전 치료제로 사용되는 최초의 SGLT-2 억제제가 되었다.
심부전은 심장 기능 저하로 체내 대사에 필요한 양의 혈액을 공급하지 못하는 질환으로,심부전 치료의 목표는 ▲심부전 환자의 임상적 상태 개선, ▲환자의 기능 범위와 삶의 질 향상, ▲입원 예방 및 사망률 감소이다.생존율 개선을 위한 약물로는 레닌-앤지오텐신계 차단제, 베타차단제 등이 쓰이고 있다.
이번 포시가 심부전 치료 적응증 추가는 DAPA-HF 연구가 근거가 됐다. DAPA-HF 연구는 제 2형 당뇨병 유무와 관계 없이 좌심실 수축기능이 저하된 (좌심실 박출률 [LVEF] 40% 이하) 만성 심부전 (NYHA functional class II~IV) 환자 총 4,744명을 대상으로 연구되었으며, 전체의 약 55%는 제2형 당뇨병을 동반하지 않은 환자였다. 또한, 전체 환자 중 94% 이상의 환자들이 레닌-앤지오텐신계 차단제, 96% 이상의 환자들이 베타차단제를 복용하고 있었다.
DAPA-HF 연구 결과, 포시가는 1차 종료점인 심부전 악화 및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을 위약 대비 26%를 감소시켰다. 또한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위험과 심혈관계 사망 위험 모두 위약 대비 각각 17%, 18%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제 2형 당뇨병을 동반하지 않은 환자군에서는 심부전 악화 및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을 위약 대비 27% 낮춰 당뇨병 동반 유무에 관계없이 심부전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DAPA-HF 연구에서 확인된 포시가의 안전성 프로파일은 기존 연구와 일관되게 나타났다.
한국아스트라제네카 CVRM사업부 심일 전무는 “포시가가 심부전 환자의 생존율을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 옵션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기쁘게 생각한다”라며, “이번 포시가의 적응증 확대는 제 2형 당뇨병 치료제에서 나아가 심부전 치료제로 확장하고 있는 SGLT-2 억제제의 이정표를 제시하는 중요한 기점이 될 것이다” 라고 말했다.
'◆제약 > ▷외자계제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원제약, 취약 계층 및 의료진에 마스크로 온정 나눔 (0) | 2020.12.29 |
---|---|
릴리 속효성 인슐린 ‘룸제브’ 성인 당뇨병 환자 허가 승인 (0) | 2020.12.29 |
노바티스, 신규 2제 및 3제 천식 복합제 허가 (0) | 2020.12.28 |
[2021신년사]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KRPIA) 이영신 부회장 (0) | 2020.12.24 |
노바티스, 만성 두드러기 ‘제3회 온라인 건강 강좌’ 성료 (0) | 2020.12.23 |
프리베나13, 영화배우 최귀화와 함께한 SNS광고 마케팅 강화 (0) | 2020.12.21 |
COVID-19가 HIV 치료 접근성에 미친 영향 서베이 발표 (0) | 2020.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