흡입스테로이드, 병원과천식환자 적극적 사용 필요
심평원, 5차 천식 적정성 평가 결과 공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김승택, 이하 ‘심사평가원’)은 천식 5차 적정성 평가 결과를 4월 11일(목) 심사평가원 누리집(홈페이지) 및 건강정보 이동통신 응용프로그램(앱)을 통해 공개한다.
천식은 꾸준한 방문과 관리로 질병의 악화 및 입원을 예방할 수 있는 외래 민감성 질환으로 적정성 평가는 전체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한다.
천식의 정확한 진단과 향후 치료방향 결정을 위한 폐기능 검사 시행률, 증상조절과 급성 악화예방을 위한 주기적 진료를 측정한 지속방문 환자비율, 천식 치료에 중요한 흡입스테로이드·필수약제 처방 환자비율 등 3개 영역, 7개 지표가 평가대상이다.
2015년 1차 평가 이후 전체 지표가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있으나, 폐기능 검사 시행률과 흡입스테로이드 처방 환자비율은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
특히, 흡입스테로이드는 약제가 직접 기도점막으로 투여되어 전신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효과적인 항염증 천식 치료 약제이다.
규칙적으로 매일 저용량 흡입스테로이드를 사용하는 것은 천식과 관련된 급성악화, 입원, 사망의 위험성을 줄인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반면, 우리나라 흡입스테로이드 처방 환자비율은 36.6%로 아시아권 타 국가(싱가폴 88%, 대만 55%, 인도 44%)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흡입스테로이드는 먹는 약에 비해 사용방법이 어려운 점과 일시적 증상 완화로 흡입을 중단하는 경우가 있으나, 사용을 중단할 경우 증상이 악화 될 수 있으므로 환자가 관심을 가지고 꾸준히 사용해야 한다.
심사평가원은 적절한 천식 관리를 위해 의료기관과 협력하여 국민이 관심을 갖도록 대국민 홍보활동 등을 실시하였고, 평가결과가 낮은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의료의 질 향상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심사평가원은 천식 환자가 동네의원 중심으로 지속적 관리를 받아 급성악화와 입원을 예방할 수 있도록 평가결과가 양호한 의원 1,667개소를 공개하였다.
양호기관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전국적으로 골고루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결과 2년 연속 양호한 의원은 844개소로 전체 양호기관의 50.6%를 차지했다.
의료기관 유형별로는 의원을 이용한 천식 환자가 76.7%로, 이 중 1개 의원만 다니는 환자는 84.8%이다. 1개 의원을 다니는 환자는 여러 의원을 다니는 환자에 비해 흡입스테로이드 및 필수약제 처방 환자 비율 평가결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기관 이용 유형별 평가 결과> | ||||
(단위: %) | ||||
구분 |
전체 |
의원 | ||
1개 의료기관 이용그룹 |
여러 의료기관 이용그룹 |
1개 의료기관 이용그룹 |
여러 의료기관 이용그룹 | |
폐기능검사 시행률 |
31.8 |
33.8 |
17.2 |
25.8 |
흡입스테로이드 처방 환자비율 |
45.2 |
31.7 |
30.7 |
22.4 |
필수약제 처방 환자비율 |
70.9 |
61.9 |
60.5 |
53.9 |
심사평가원 박인기 평가관리실장은 “폐기능 검사와 흡입스테로이드 제제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의료기관의 맞춤형 질 향상 지원 교육(‘19년 상반기)을 실시하고, 사회적 관심을 높이고 국민의 인식을 변화시키기 위해 홍보물 제작·배포도 지속 실시 할 예정이다”고 전했다.
심사평가원은 2018년부터 의료기관 및 약국, 관련 학회 등과 협력하여 교육용 홍보 포스터와 책자를 제작·배포하고 있으며, 홍보물의 원본파일은 심사평가원 및 관련 단체 홈페이지에서 누구나 내려 받아 활용 할 수 있다.
'◆의약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무장병원, 부당이득 압류절차 단축하고 고의 미납자 신상 공개 추진한다 (0) | 2019.04.15 |
---|---|
혈관운동성 및 앨러지성 비염 ,월평균 100만 명 진료 (0) | 2019.04.15 |
심평원 홈페이지 모니터링단 활동 개시 (0) | 2019.04.13 |
보건신기술(NET) 인증 우수제품‧기술 전시 (0) | 2019.04.11 |
심사평가원, 강원 산불피해 지역에 따뜻한 사랑의 손길 전달 (0) | 2019.04.11 |
고혈압․당뇨합병증 예방, 꾸준한 약 복용, 정기적 관리 최선 (0) | 2019.04.11 |
슈퍼박테리아로 인한 사회적 비용 연간 5,500억원 (0) | 2019.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