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g5 대형병원 진료비 상승 가속화
최근 5년 사이 진료비 1조원 증가
자유한국당 김상훈 의원(대구 서구, 보건복지위원회)이 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 동안 Big 5 대형병원의 진료비가 큰 폭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 현재 ‘종합병원’ 건강보험 진료비는 21조 1,124억 원으로 전체 64조 5,768억 원 중 32.7%를 점유하고 있다. 이중 ‘상급종합병원’ 진료비는 종합병원 진료비의 51.8%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빅5 병원이 종합병원 건강보험 진료비의 34.2%인 약 3조7천억 원이다.
또한 최근 5년 동안 전체 진료비는 연평균 7.8% 증가한 반면, 상급종합병원과 빅 5 병원은 각각 10%, 9.9% 늘어나 평균보다 높은 상승세를 보였다.
한편, 빅 5 병원의 경우 환자 수 증가량에 비해 진료비가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2년 196만5천여 명에서 2016년도 진료 인원은 222만2천명으로 25만7명(13%) 증가한 반면 진료비는 2012년 2조7천억 원에서 3조7천억 원으로 1조원(37%) 가까이 증가한 것이다.
의료계 일각에서는 전체 병원의 0.3%에 불과한 종합병원이 진료비의 3분의 1을 차지하고 있는 기형적인 구조는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김 의원은 “무작정 보장성을 확대하기 보다는 대형 병원 위주의 의료 전달 체계를 손봐야 한다.”며 “문재인 케어의 무분별한 급여확대로 인해 병원문턱이 낮아지면서 환자들의 대형병원 쏠림현상은 더욱 가속화 될 것”이라며 “이대로 두면 동네병원은 문을 닫고 1차 의료 전달체계가 붕괴할 수도 있는 만큼 대책마련을 서두를 것”을 주문했다.
<2012-2016 진료비 점유율 현황>
(단위 억 원, ()구성비)
구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연평균 증가율 |
전체 (구성비) |
478,312 (100) |
509,541 (100) |
543,170 (100) |
579,546 (100) |
645,768 (100) |
7.8% |
종합병원 (전체대비) |
145,188 (330.4) |
159,417 (31.3) |
167,496 (30.8) |
180,039 (31.1) |
211,124 (32.7) |
9.8% |
상급종합 (종합병원대비) |
74,617 (51.4) |
81,584 (51.2) |
84,601 (50.5) |
91,071 (50.6) |
109,360 (51.8) |
10.0% |
BIG5 (상급종합대비) |
25,628 (34.3) |
27,880 (34.2) |
29,204 (34.5) |
30,307 (33.3) |
37,399 (34.2) |
9.9% |
<2006-2015 건강보험 보장률>
(단위: %)
연도 |
건강보험 보장률 |
법정 본인부담률 |
비급여 본인부담률 |
2006년 |
64.5 |
22.1 |
13.4 |
2007년 |
65.0 |
21.3 |
13.7 |
2008년 |
62.6 |
21.9 |
15.5 |
2009년 |
65.0 |
21.3 |
13.7 |
2010년 |
63.6 |
20.6 |
15.8 |
2011년 |
63.0 |
20.0 |
17.0 |
2012년 |
62.5 |
20.3 |
17.2 |
2013년 |
62.0 |
20.0 |
18.0 |
2014년 |
63.2 |
19.7 |
17.1 |
2015년 |
63.4 |
20.1 |
16.5 |
'◆의약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평원, 키트루다주·옵디보주 허가초과 신속 승인 (0) | 2017.09.21 |
---|---|
심사평가원, 제1회 정보보호 골든벨 개최 (0) | 2017.09.21 |
의료기관 종사자의 잠복결핵 감염 심각하다. (0) | 2017.09.21 |
2017년도 글로벌헬스케어 유공포상 공고 발표 (0) | 2017.09.18 |
한의약 외국인환자 유치의 지속성장 가능성 보여 (0) | 2017.09.17 |
의료기관 종류별 비급여본인부담률 최대 11배 이상 차이 (0) | 2017.09.17 |
GHKOL 의료해외진출 전략 세미나 및 현장 컨설팅 (0) | 2017.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