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C녹십자랩셀·아티바, 美 MSD에 2조원대 기술수출
GC녹십자랩셀이 아티바와 함께 2조원대 초대형 플랫폼 기술수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GC녹십자랩셀은 미국에 설립한 NK세포치료제 현지 개발기업인 아티바(Artiva Biotherapeutics)가 미국 MSD와 총 3가지의 CAR-NK세포치료제 공동 개발을 위한 계약 체결했다. 전체 딜 규모는 18억 6,600만 달러로, 공시에 따르면 이번 계약에 따라 GC녹십자랩셀로 직접 유입되는 금액은 총 9억 8,175만 달러규모이다.
이 가운데 반환 의무가 없는 계약금은 1,500만 달러, 마일스톤은 9억 6,675만 달러로 산정됐으며, 상업화로열티는 별도로 받게 된다.
이들 회사는 총 3가지의 고형암을 타깃하는 CAR-NK세포치료제를 공동 개발하기로 했다. 미국 MSD는 향후 임상 개발과 상업화에 대한 전세계 독점 권리를 갖게 되며, 이는 특정 신약 후보물질을 기술이전하는 일반적인 경우와 달리 원천 플랫폼의 기술수출 성격으로 볼 수 있다는 설명이다.
특히 글로벌 제약사가 GC녹십자랩셀의 CAR-NK 플랫폼 기술을 몇 개 프로젝트에만 활용하는 데 수 조원의 가치로 산정한 것은 매우 이례적이라는게 업체측 설명이다.
GC녹십자랩셀·아티바가 자체적으로 개발하는 고형암·혈액암 타깃의 파이프라인까지 합하면 플랫폼 기술 전체 가치는 이보다 훨씬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빅딜은 GC녹십자랩셀과 아티바의 글로벌 수준의 역량이 더해진 결과로 평가되고 있다.
GC녹십자랩셀의 NK세포치료제 상용화를 위한 세계 최고 수준의 대량 배양 및 동결보존, 유전자 편집 등의 기술력과 글로벌 바이오텍 출신들이 이끄는 아티바의 풍부한 글로벌 약물 개발 경험 등 각자의 강점이 녹아든 사업구조는 글로벌 선진시장에서 외부와의 협력을 창출할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아티바는 GC녹십자랩셀 기술 기반의 차세대 NK세포치료제 개발을 위해 지난해 6월 미국에서 7,800만 달러 규모의 시리즈A를 유치하며 글로벌 투자자들과 협업 체계를 확보한 바 있다.
한편, CAR-NK치료제는 극소수 제품이 상용화된 기존 차세대 면역항암제보다 안전성이 우수하고 타인에게 사용할 수 있는 등의 장점으로 인해 최근 글로벌 제약사 간 기술이전 등 대형 딜이 이어지며 차세대 항암제로 급부상하고 있다.
'◆제약 > ▷국내제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약바이오협-국립암센터, 희귀난치암 치료제 개발 협력 (0) | 2021.02.01 |
---|---|
의수협, 국제바이오 제약전시회 개최 MOU 체결 (0) | 2021.02.01 |
동아ST, 스티렌2X정 SCI 국제학술저널 ‘Medicine’ 등재 (0) | 2021.01.29 |
대웅제약, 미국 FDA에 이노톡스 조사 요청할 것 (0) | 2021.01.29 |
GC녹십자, 오은영 박사와 ‘노발락 랜선 토크콘서트’ (0) | 2021.01.29 |
한독, 설 명절을 맞아 건강기능식품 등 특별 기획전 (0) | 2021.01.29 |
함소아제약, '건강더함 저분자 콜라겐' 출시 (0) | 2021.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