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병원/바이오벤처/▷의료(의원,학회,논문. 신의술, 신간등)

고혈압과 고지혈증, 복약순응도가 관건

jean pierre 2015. 11. 2. 17:14
반응형

고혈압과 고지혈증, 복약순응도가 관건

 

국제성모병원 황희진 교수, 대한갱년기학회 학술대회서 강조

 

111건국대병원 대강당에서 대한갱년기학회 (회장 오한진) 추계학술대회가 개최됐다.

 

"고혈압과 고지혈증, 복약순응도 높이기"를 강의한 가톨릭관동대학교 국제성모병원 가정의학과 과장 황희진 교수(사진)는 고혈압과 고지혈증은 마치 동전 양면과 같이 붙어 다닌다면서 고혈압이 있다가 고지혈증이 생겼거나, 반대로 고지혈증만 있다가 고혈압이 생겼거나, 아니면 처음부터 고혈압과 고지혈증이 동시에 발견된 경우, 복용약제가 2개가 된다는 사실이 환자와 의사에게 부담으로 다가온다.”, 합병증 발생 및 의료비 사용을 줄이는데 가장 효과적이라고 알려진 복약 순응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접근의 필요성을 역설하였다.

 

황교수에 따르면, 심장혈관질환과 뇌혈관질환을 합쳐서 일컫는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를 위해 정기적으로 혈압과 콜레스테롤을 측정하고, 고혈압이나 고지혈증이 있으면 꾸준히 치료해야하는데, 20대 이상 성인 4명중 1명은 고혈압, 5명중 한명은 고지혈증인데도, 이를 인지하고 있는 비율이 중장년층에서는 60~70% 정도되나 30, 40대는 30%대에 그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실제 치료를 받는 비율도 현저히 낮으며,. 혈압은 수축기 20mmHg, 이완기 10mmHg 올라갈 때마다 심혈관계 질환에 의한 사망률이 2배씩 증가하는데, 수축기 혈압을 2mmHg만 낮춰도 위험도를 10% 정도 줄일 수 있고, 몸에 나쁜 콜레스테롤로 알려진 LDL-콜레스테롤을 1mmol/L만 낮춰도 20% 줄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고혈압치료 중인 환자에게서는 고지혈증 발생여부를, 고지혈증 환자에게서는 고혈압 발생여부를 정기적으로 확인하고 발생했을 때는 약물 추가가 필요한데 복용하는 약물 갯수가 늘어나는 것에 대한 환자 및 보호자의 거부감이 실제 임상현장에서 꽤 높기 때문에 적극적인 약물치료를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 복합제를 제시하였다.

 

현재 혈압약 중 가장 복약 순응도가 높은 계열이 사르탄 계열과 고지혈증 치료의 근간인 스타틴 계열 약물이 합쳐진 약물로는, 2013년 한미약품의 로벨리토 (이베르사르탄+아토르바스타틴)을 필두로, 2014년 대웅제약의 올로스타 (올메사르탄+로슈바스타틴)에 이어, 2015년에는 머크의 로바티탄 (발사르탄+로슈바스타틴), 유한양행의 듀오웰 (텔미사르탄+로슈바스타틴), 중외제약의 리바로 브이 (발사르탄+피타바스타틴)까지 출시되어 환자의 상태에 가장 적합한 맞춤형 치료가 가능하게 되었다.

 

한편 대한갱년기학회는 대한가정의학회 산하 자학회로 국민 보건 향상과 갱년기 여성 및 남성의 건강 증진을 위한 의학 발전 및 학술 진흥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춘·추계 학술대회 및 하계·동계 워크숍을 통해 갱년기 건강관리에 대한 연구, 교육, 그리고 진료를 위해 매진하고 있다.

 

갱년기 치료의 개요, 갱년기의 뼈 건강, 갱년기와 동반된 만성 질환의 효율적 관리 등 다양한 주제로 심도 깊은 토론의 장을 마련한 금번 학술대회에는 갱년기 환자 케어를 직접 담당하고 있는 대학병원 가정의학과 교수진 및 종합병원 가정의학과 과장 등 100 여명의 가정의학과 전문의들이 참석하여 실질적인 갱년기 치료에 대한 노하우을 나누면서, 향후 한국형 갱년기 관리지침 개발을 위한 작업을 지속적으로 시행하기로 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