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잘렉스,삼중 불응성 다발골수종 단독요법치료제 승인
얀센, 생존기간 1년 연장...치료 영역 확대
한국얀센(대표이사: 김옥연)은 다잘렉스주(성분명: 다라투무맙)가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로부터 프로테아좀억제제와 면역조절제제를 포함하여 적어도 세 가지 치료를 받은 재발 또는 불응성 다발골수종 환자를 위한 치료제로 허가를 받았다고 밝혔다.
다잘렉스는 다발골수종 세포 표면에 과발현 돼있는 표면 당단백질인 CD-38을 직접 찾아내 결합하는 최초의 인간 단일 클론 항체 치료제다. 이번 다잘렉스 허가는 삼중 불응성 다발골수종 환자가 포함된 다양한 임상연구를 근거로 이뤄졌다.
다잘렉스는 삼중 불응성 환자를 포함한 재발 및 불응성 다발골수종 환자를 대상으로 한 무작위, 공개시험, 임상 2상 연구에서 단독투여의 효과를 입증 하였다.
시험에 참여한 106명의 환자 중 기존 치료제인 보르테조닙, 레날리도마이드, 카필조밉, 포말리도마이드 등 최소 3가지 약제에 불응한 환자는 약 70명(66%)이었으며, 본 환자군의 전체반응률(ORR)은 28.6% 로 전체 환자군의 반응률 29.7% 와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존 문헌에서 보고된 비슷한 환자군을 대상으로 한 타 약제보다 더 깊은 반응을 보였다.
실제 다발골수종 임상현장의 데이터와 다잘렉스 단독요법 데이터를 분석한 연구결과, 삼중불응성 다발골수종 환자에게 다잘렉스를 단독으로 투여했을 시 생존률 중앙값은 17.5개월로 5.1개월인 대조군에 비해 1년 이상 개선된 생존률을 보였다
다잘렉스 투여와 관련한 주요 이상 반응으로는 피로, 발열 등 대부분 경미했으며 치료 독성으로 인한 중단 없이 좋은 내약성 및 안전성을 보였다.
이제중(화순전남대병원 혈액내과 교수) 한국다발골수종연구회 위원장은 “재발을 반복하는 희귀난치성혈액암인 다발골수종은 재 치료가 일반적이라 다양한 치료 옵션이 필요하다. 현재 다발골수종 치료의 마지막 옵션인 포말리도마이드에 재발 또는 불응한 환자에게 치료대안이 없는 상황에서 다잘렉스가 다발골수종 치료의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한국얀센은 이번 다잘렉스의 허가로 조혈모세포 이식 적합 여부에 상관없이 다발골수종 전 치료과정에서 사용이 가능한 치료제 벨케이드와 함께 다발골수종 치료영역을 확대하게 되었다.
다발골수종은 혈액암의 일종으로, 국내에서는 약 6,500여 명의 환자가 치료를 받고 있다.
50세 이상의 환자가 전체의 8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중년 이상에서 호발하며,이 중 조혈모세포 이식 대상인 65세 미만 환자들은 전체의 약 40%를 차지한다.
'◆제약 > ▷외자계제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GSK아노로 엘립타, 대조군 대비 폐기능 개선 효과 입증 (0) | 2017.11.08 |
---|---|
사노피, 당뇨병 및 내분비 전문가들과 앰배서더 심포지엄 (0) | 2017.11.08 |
베네토클락스, 2017년 갈렌상 최고의약품으로 선정 (0) | 2017.11.07 |
바라크루드 만성B형간염 환자 장기 안전성 입증 (0) | 2017.11.06 |
메낙트라, 우리 아이 모델 사진 담긴 달력과 영상 공개 (0) | 2017.11.06 |
GSK, 국내 연구기관과 신약 R&D 협력 강화 (0) | 2017.11.06 |
사노피파스퇴르-화이자,아다셀주와 메낙트라주 공동 프로모션 (0) | 2017.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