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시약, 공정한 보도 당부
복약지도료와 관련 전체를 보지 않고 일부 부분만 집중 부각시켜 문제 삼는 언론에 대해 보다 객관적이고 공정한 기사로 잣대를 들이대라는 일선 약사회의 목소리가 높다.
특히 건강보험공단 조차도 복약 지도료가 마치 건보재정 절감의 본질인양 호도하는 부분에 대해 강력하게 항의하고 싶다는 움직임이 강하다.
부천시약사회는 이와관련 “종합병원들은 몇 시간 대기에 몇분 진료가 다반사고 심지어 의사면담 없이 처방만 받는 경우에도 진료비와 더불어 특진료까지 내는 현실을 감안한다면 의사의 도덕성 운운하며 진료를 깍아야 한다는 유치한 대립을 해야 하는건지 우려스럽다”고 강조했다.
특히나 “팩단위 단순 조제약의 조제료 과다를 논한다면 반대로 조제난이도가 복잡한 소아과약의 분쇄나 소분조제, 1일조제가 십수개인 장기조제약의 조제료는 반대로 올려주어야 하는 것 아닌가”라며 “언론의 행태가 약사직능 인신공격이 목표인지, 왜곡된 건보재정 보전 전도사인지 알수 없다며 공정한 기사를 다뤄달라”고 촉구했다.
부천시약사회는 특히 언론에 대해 “약사의 기본인 복약지도의 부실을 꾸짖으면 겸허히 수용하겠지만 이를 빌미로 건보재정과 연계해 삭감 운운하는 것은 용납하기 힘들며, 왜곡된 의약분업 현실을 포괄적으로 제대로 직시해서 진정 무엇이 문제인지를 살피고 형평성 있는 지적을 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상품명처방으로 인한 약국 재고의 부담과 건강보험 재정의 지속악화 의료전달 체계의 편중과밀 현상으로 인한 동네약국의 몰락 등 곳곳에 숨어있는 문제점을 제대로 파악한다면 우리나라 보건의료제도 전반의 구조적 문제가 더욱 절실함을 인식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성분명처방▲의약품재분류▲처방전리필제▲행위별 수가의 재검토▲처방조제 난이도 따른 차등화등에 대한 적정성 검토와 약사로서 철저한 처방조제와 복약지도를 무기로 공정한 가치를 보전 받을 수 있는 정책적 인센티브가 가능한 의료환경 개선을 진정으로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