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타뱅크/▷건강(질환)정보

비부비동 및 뇌하수체 종양

jean pierre 2016. 3. 8. 10:57
반응형

비부비동 및 뇌하수체 종양

부비동은 비강(콧 속)과 연결된 두개골 내의 빈 공간을 의미하며, 이 곳에 염증이 생기고 농이 고이는 질환을 비부비동염(축농증)이라 한다. 이러한 부비동에 종양이 발생하는 경우 비부비동염과 구별되는 특이 증상이 있는 게 아니라서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가 많다.

차이점이 있다면 비부비동염(축농증)은 주로 양쪽으로 발생해서 양쪽 코막힘, 누런 콧물, 후각 저하 등 증상이 나타나지만, 종양은 대부분 한쪽에서 발생하므로 한쪽의 코막힘과 누런 콧물이 지속되거나 코피가 동반되는 경우에는 신속하게 이비인후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비부비동 종양은 양성과 악성으로 나눌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특이 증상은 없으며 가장 흔한 증상은 한 쪽의 코막힘이다.

종양의 위치와 진행 정도에 따라 코막힘과 누런 콧물을 비롯하여 후각장애와 두통이 동반될 수 있으며 코피가 반복되는 경우도 있다. 더욱 진행이 되면 눈물이 계속 흐르는 유루증, 사물이 두 개로 보이는 복시와 같은 눈 증상이 동반될 수 있으며 안구돌출이 나타날 수도 있다.

진단은 코 내시경 검사에서 종양 소견이 관찰되면 전산화단층촬영(CT)이나 자기공명영상(MRI) 등의 영상 검사를 통해 일차 진단을 내리게 되며, 조직검사로 확진한다. 비부비동 양성 종양의 경우 대부분 콧구멍을 통한 내시경 수술로 완전 절제가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잇몸 점막의 추가 절개가 필요할 수 있으나 얼굴에 흉터를 남기는 절개는 대개 필요없다.

비부비동 악성 종양()은 드물게 발생하지만 초기 증상이 비부비동염과 유사하여 조기 진단이 어렵고, 많은 경우 진행된 상태에서 발견된다. 그리고, 양성 종양과 달리 눈, 구개(입천장), 피부, 두개저(뇌바닥뼈) 등 주변 구조물을 침범하여 수술의 범위가 커지게 되며 얼굴과 코의 피부 절개로 인해 흉터를 남기는 경우가 많다.

또한, 다른 부위에 생기는 악성 종양()과 마찬가지로 림프절이나 간, , 뇌 등 전신적으로 전이가 일어날 수 있으며 수술 이외에 방사선치료와 항암치료를 병행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진행된 암의 경우 외부 절개 (흔히, 안면 절개)를 통한 수술이 필요하며, 이로 인해 외형적, 기능적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비부비동 악성 종양은 이렇듯 조기 발견이 어렵고 치료도 어려워 예후는 불량한 편이다. 하지만 최근 내시경을 이용한 두개저(뇌바닥뼈) 수술이 눈부시게 발전했고 항암-방사선 치료의 발달에 힘입어 생존율이 높아지는 추세이다.

그러므로 잘 낫지 않는 비부비동염(축농증) 증상이 있는 경우 신속하게 이비인후과 전문의의 진료를 통해 종양의 발생 여부를 진단받고 필요한 치료를 조기에 받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수술 이후에 증상이 없더라도 종양의 재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정기적인 이비인후과 통원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하다.

뇌하수체는 신체에 필요한 여러가지 호르몬을 분비하는 기관으로 부비동 중 가장 깊은 곳에 위치한 접형동의 천장에 위치하고 있다. 뇌하수체 종양 중 호르몬을 분비하는 기능성 종양의 경우 거인증과 같은 증상을 일으킬 수 있지만 대부분은 비기능성 종양으로 크기가 작은 경우 특이 증상이 없으며 종양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시야 장애와 두통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특별한 이유 없이 두통이 지속되거나 점점 보이는 시야가 좁아지는 증상이 있는 경우 뇌하수체 종양의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과거에는 두개골 절개(개두술)를 통해 현미경 하에 수술을 시행하였지만, 내시경 수술의 발달에 힘입어 최근에는 거의 모든 경우 개두술 없이 콧구멍을 통해 내시경 수술로 치료가 가능하며 주로 이비인후과와 신경외과의 협진 수술로 진행이 된다.

뇌하수체 종양은 뇌종양이지만 부비동과 접해있어 기본적으로 수술적 접근법이 부비동 수술과 크게 다르지 않으며, 과거와 달리 피부에 절개를 남기지 않고 코 속으로 수술을 진행하므로 합병증도 적고 입원 기간도 많이 단축되었다.

 

반응형